장미과 황매화속 식물들 비교 : 황매화, 죽단화, 황매화 '골든 기니', 황매화 '킨칸', 황매화 '픽타'
국가표준식물목록(국표식)에 장미과 황매화속으로 등재되어 있는
식물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겹꽃이 피는 종을 겹죽단화로 따로 분류했었는데 현재는 황매와에
통합되었습니다.
자생식물 : 황매화
재배식물 : 황매화 '골든 기니', 황매화 '킨칸', 황매화 '픽타'
▼ 황매화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는 기록은 있으나 실제 자생 여부가
불확실한 나무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
현재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있습니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노란색으로 가지 끝에 한 개씩 잎과 같이 달리고
지름 2.0~3.5cm입니다.
꽃잎은 5개이며 달걀모양 또는 난상 원형이고 수술은 많으며 암술대와
길이가 비슷하고 꽃잎 길이의 절반 정도입니다.


암술은 5~8개로 서로 떨어져 있고 겉에 털이 있습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달걀모양이며 첨두이고 털이 없으며 잔톱니가
있고 녹색입니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3-7cm, 폭 2-3.5cm로서 가장자리에는 결각상의
겹톱니가 있으며 측맥은 6-7쌍입니다.


표면은 털이 없고 잎맥이 오목하게 들어가며 뒷면은 맥이 돌출하고
맥 위에 털이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 5-15mm이며 털이 없고 턱잎은 선형으로 좁고 길며
일찍 떨어집니다.

일년생가지는 녹색으로 능선이 지고 털이 없습니다.


잎자국은 초승달 모양이고 관다발자국은 3개라고 하는데 아래
사진에서는 관다발자국이 4개로 보이네요.
열매는 수과로 난상 원형이고 끝까지 남아있는 꽃받침 속에서 8~9월경에
흑갈색으로 익습니다.

아래 사진들을 보면 열매가 익어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 죽단화 --> 황매화
겹꽃으로 피는 황매화를 죽단화라고 따로 분류했었는데 지금은
황매화에 통합되었습니다.



▼ 황매화 '골든 기니' (Kerria japonica 'Golden Guinea')
모종인 황매화는 꽃의 지름이 2.0 ~ 3.5cm인 데 비해 황매화 '골든 기니'는
꽃의 지름은 5~6cm로 큰 것이 특징입니다.
이 꽃의 색상과 크기가 영국에서 17~19세기에 통용되던 금화 '골든 기니'를
연상시킨다는 이유에서 이런 품종명이 붙었다고 합니다.
영국왕립정원학회(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로부터 정원공로상
(The Award of Garden Merit)을 받은 품종입니다. (위키피디아)

▼ 황매화 '킨칸' (Kerria japonica 'Kinkan')
항매화는 줄기가 녹색인데 본 품종은 줄기가 황색 바탕에 녹색 줄이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황매화 '픽타' (Kerria japonica 'Picta')
잎에 흰색 무늬가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