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갤러리-풀꽃나무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갈퀴아재비속/꽃갈퀴덩굴속 식물들 비교 : 갈퀴덩굴, 가는네잎갈퀴, 갈고리네잎갈퀴, 개갈퀴, 개선갈퀴, 검은개선갈퀴, 국화갈퀴, 잎갈퀴, 네잎갈퀴, 네잎갈퀴아재비, 둥근네잎갈퀴, 두메갈퀴, 민긴잎갈퀴, 민둥갈퀴, 산갈퀴, 민산갈퀴, 산개갈퀴, 선갈퀴, 실갈퀴, 좀네잎갈퀴, 참갈퀴덩굴, 큰잎갈퀴, 털둥근갈퀴, 흰갈퀴, 솔나물, 애기솔나물, 털솔나무, 털잎솔나물, 흰솔나물, 나도갈퀴덩굴, 민둥갈퀴덩굴, 갈퀴아재비, 꽃갈퀴덩굴

심자한2 2025. 1. 29. 12:40

아래는 우리나라 갈퀴덩굴속/갈퀴아재비속/꽃갈퀴덩굴속  식물들

목록입니다.

 

갈퀴덩굴속
자생식물 : 갈퀴덩굴, 가는네잎갈퀴, 갈고리네잎갈퀴, 개갈퀴,

                  개선갈퀴, 검은개선갈퀴, 국화갈퀴, 긴잎갈퀴,
                  네잎갈퀴, 네잎갈퀴아재비, 둥근네잎갈퀴, 두메갈퀴,
                  민긴잎갈퀴, 민둥갈퀴, 산갈퀴, 민산갈퀴, 산개갈퀴,
                  선갈퀴, 실갈퀴, 좀네잎갈퀴, 참갈퀴덩굴, 큰잎갈퀴,
                  털둥근갈퀴, 흰갈퀴
                  솔나물, 애기솔나물, 털솔나무, 털잎솔나물, 흰솔나물
외래식물 : 나도갈퀴덩굴, 민둥갈퀴덩굴

갈퀴아재비속
자생식물 : 갈퀴아재비

꽃갈퀴덩굴속
외래식물 : 꽃갈퀴덩굴

 

 

이들 중 '솔나물' 종류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고 여기서는

나머지에 대해서만 소개하기로 합니다.

'솔나물' 종류 비교 : 솔나물, 애기솔나물, 털솔나물, 털잎솔나물, 흰솔나물

==> https://kualum.tistory.com/17049887

 

아래는 2017년 식물분류학회지에 실렸던 둥근네잎갈퀴 관련

논문에 실려 있는 검색표입니다.

 

 

 

아래는 2012년 식물분류학회지에 실렸던 논문 "분계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 식물의 외부형태학적 

연구"에 있는 잎과 열매의 형태들입니다.

(잎과 열매에서 같은 알파벳은 국명이 같습니다..)

 

 

 

속명인 Galium은 우유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솔나물' 종류들의 모종인 Galium verum의 꽃이 치즈를 만들 때

우유를 발효시키고 응고시키는 데 사용됐었기 때문입니다.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Galium_aparine#Distribution )

 

동 속 내 식물들 잎은 거의 대부분 4개 이상이 돌려나는데 이 중

2개만 정상적인 잎으로 마주나고 나머지는 모두 턱잎입니다.

또한 꽃은 모두 양성화이고 보통 꽃부리가 4개로 갈라지며 수술

4개, 암술 1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지며 씨방은 하위로

 2실이고 쌍을 이룹니다.

열매는 분열과(分裂果)로 2개의 분과(分果)가 붙어 있다는 것도

이들의 공통점 중 하나입니다.

이하에서는 이런 공통점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언급하지 않기로

하겠습니다.


 

 

 

 

 

▼ 갈퀴덩굴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길가나

들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름에 덩굴이란 말이 들어가 있긴 하지만 덩굴식물은 아니고

"식물체 전체에 나 있는 갈고리 같은 털 또는 가시 덕택에 서로

뒤엉켜 있고, 이웃도 뒤덮"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게 되었습니다.

(한국식물생태보감 1)

 

 

 

꽃은 5~6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고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립니다.

 

 

 

잎은 6~8개씩 돌려나고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잎자루는

없고 잎맥은 1개이며 잎 끝은 짧은 까락으로 끝나고 밑은 점차

좁아집니다.

 

 

 

가장자리와 뒷면 주맥에 밑을 향한 잔 가시가 있습니다.

 

 

 

줄기는 덩굴지며 가지를 치고 네모지며 모서리에 밑을 향한

짧고 굳은 가시털이 많습니다.

 

 

 

열매는 갈고리같은 딱딱한 털로 덮여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습니다.

 



 

 

 

▼ 네잎갈퀴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숲 가장자리에서 자랍니다.

 

 

 

"네잎갈퀴는 줄기의 아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새 줄기가

생겨나서 항상 몇 포기가 한 묶음처럼 자란다. 그렇다고 큰 무리를

만들지는 않는다. "는 게 한국식물생태보감의 설명입니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의 원추꽃차례에 달립니다.

 

 

 

꽃은 연한 황녹색입니다.

 

 

 

잎은 4장씩 돌려나며 잎자루는 없습니다. 

잎몸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비스듬히 퍼지는 흰 털이 있습니다. 

 

 

 

잎 뒷면 맥에 밑을 향한 가시가 있습니다.

 

 

 

줄기는 털이 거의 없고 네모지며 연약합니다.

 

 

 

열매는 겉에 비늘같은 돌기가 밀생합니다.

학명은 Galium bungei Steud. var. trachyspermum 인데 여기서

변종명 트라키스페르마(trachysperma)는 종자(sperma)의 표면이 

거친(trachy) 모양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한국식물생태보감 1)

 

 

 

 

 

 

▼ 좀네잎갈퀴

 

우리나라 남부 지방과 제주도 저지대에서 자랍니다.

꽃이 연녹색이고 열매에 비늘같은 소돌기가 밀생하는 점은

네잎갈퀴와 같으나 잎이 네잎갈퀴는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0~15mm, 나비 3~6mm인 데 비해 좀네잎갈퀴는 선상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6~12mm, 나비 1.5~2.5mm로

네잎갈퀴보다 작다는 점이 다릅니다.

 

(野山の花たち)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원추꽃차례는 액생 또는 정생하고

소수의 꽃이 달립니다.

 

(野山の花たち)

 

 

잎은 4개씩 돌려나며 선상 긴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둔하며 길이 6-12mm, 나비 1.5-2.5mm로서 주맥과

가장자리에 비스듬히 퍼진 백색 털이 있습니다.

 

(野山の花たち)

 

 

열매는 비늘조각같은 소돌기가 밀생하며 7~9월에 익습니다.

 

(野山の花たち)

 

 

 

 

 

▼ 둥근네잎갈퀴

 

2017년 식물분류학회지에 실린 논문 "A new record of Galium 

bungei var. miltorrhizum (Hance) Jeong & Pak (Rubiaceae) in 

Korea"에서 소개된 신종입니다.

 

먼저 본 논문의 초록과 세밀화부터 소개합니다.

아래 초록에 의하면 국명에 붙은 '둥근'이란 이름은 잎의 형태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네잎갈퀴나 학명상 둥근네잎갈퀴의 모종인

Galium bungei의 잎도 둥근네잎갈퀴와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은데

정확히 어떤 부분이 둥글어서 그런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ABSTRACT: We reported an unrecorded plant species, Galium bungei var. miltorrhizum (Hance) Jeong & Pak in Korea. This species is found in Gyeonggi-do, Chungcheongbuk-do, Jeollabuk-do,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G. bungei var. miltorrhizum is distinguished from related taxa by glabrous stem and glabrous or rarely short papillate mericarps. This taxon was named ‘Dung-geun-ne-ip-gal-kwi’ in Korean based on shapes of leaves. We provided a descrip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a key of related taxa in Korea. And we propose a new combination (Galium bungei var. miltorrhizum)

 

 

여하튼 허두에서 소개한 검색표에 의하면 네잎갈퀴는 잎이 길이

5~18mm, 나비 3~6mm이고 열매 표면(아래 사진 A)에 유두상의

돌기가 밀생하는 데 비해 둥근네잎갈퀴는 잎이 길이 8~17mm,

나비 4~7(8)mm이고 열매 표면(아래 사진 C)이 대체로 매끈한

점이 다릅니다.

 

(ResearchGate)

 

 

아래는 본 논문에 있는 기재문 내용을 요약한 겁니다.

 

줄기 :     높이는 10–18 cm로 사각이 지고 털이 없음. 
잎 :         4개씩 돌려나는데 2개가 다른 2개보다 큼. 잎몸은 난형
              또는 도란형, 넓은 피침형으로 8–24 × 5–7 (8)mm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음.
꽃차례 : 정생 또는 액생하고 취산꽃차례 또는 원추꽃차례.
꽃 :        양성화. 꽃받침은 없고 꽃부리는 황록색, 바퀴 모양,
              4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 수술은 4개로
             꽃부리에 붙어 있고 꽃밥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씨방은
             구형이고 암술대는 2개, 암술머리는 두상.
열매 :    분과로 2개가 붙어 있고 표면은 매끈하나 드물게
             짧은 유두상 돌기가 있으며 2개의 암술대가 숙존. 
분포 :    경기도 포천시, 충청북도 단양군, 전라북도 남원시,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남도 산청군

 

 

 

 

 

 

▼ 가는네잎갈퀴

 

우리나라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랍니다.

 

(Minnesota Wildflowers)

 

 

꽃은 백색인데 드문드문 달리며 화관이 3-4개로 갈라지고 수술도

3-4개입니다.

3개씩의 수술과 화관열편이 있는 게 가는네잎갈퀴의 특징입니다.

학명은 Galium trifidum인데 여기서 종소명인 trifidum는 '세 개로

갈라진'이란 의미를 갖는 라틴어로 꽃잎이 세 개로 갈라지는 데서

유래한 작명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 종의 영명 "Three-petal bedstraw"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Minnesota Wildflowers)

(Turnbull Flora Index)

 

 

잎은 4장씩 돌려나며 장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크기가 고르지

않으며 끝이 둔하거나 둥굽니다.

 

(Minnesota Wildflowers)

(Turnbull Flora Index)

 

 

열매의 분과는 거의 둥글며 털도, 돌기도 없습니다.

 

(Minnesota Wildflowers)

(Turnbull Flora Index)

 

 

 

 

 

 

▼ 네잎갈퀴아재비 (Galium trifidum L. subsp. columbianum) 

 

학명은 'Galium trifidum L. subsp. columbianum'인데 여기서 Galium

trifidum은 가는네잎갈퀴의 학명입니다.

아종명 columbianum는 이 네잎갈퀴아재비가 캐나다의 British

Columbia주를 포함한 북아메리카 서부에서 주로 자라기 때문에 

붙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자료 부족으로 본 종이 가는네잎갈퀴와 정확히 뭐가 다른지

모르겠지만 한 일본 자료에 의하면 가는네일갈퀴는 꽃이 1~3개씩

모여 피고 네잎갈퀴아재비는 2~5개씩 모여 핀다고 합니다.

(三河の植物観察,  https://mikawanoyasou.org/data/hosobanoyotubamugura.htm )

 

(Mt. Rainier)

 

 

 

 

 

 

▼ 갈고리네잎갈퀴

 

우리라나 함경도, 황해도, 평안도, 강원, 경기, 전라도에서 

자랍니다.

 

 

 

꽃은 8~10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소수의 꽃이 드문드문 달리며 화경과 꽃자루는 가늘고 길어서

짧은 화경과 꽃자루에 다수의 꽃이 밀집해서 달리는 큰잎갈퀴와

구분이 됩니다.

 

 

  

씨방에는 짧은 갈고리 같은 가시가 밀생합니다.

 

 

 

꽃은 연녹색입니다.

 



잎은 줄기 밑에서는 5-6개씩, 위에서는 4-5개씩 돌려나고 넓은

도피침형 또는 도란상 장타원형으로 끝은 둔하거나 둥글고 갑자기

좁아지며 1맥이 있습니다.

 

 

 

잎 가장자리와 뒷면 주맥에 밑을 향한 가시가 있습니다.

 

 

 

줄기의 모서리 위에도 밑을 향한 가시가 있습니다.

 

 

 

열매는 겉에 짧은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는데 본 종의 국명은

여기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본 종은 잎가장자리에 밑을 향한 가시가 있고 1 맥인 것은

가는네잎갈퀴와 같으나 과실에 자모가 있고 잎이 4~6개 윤생하며

좁은 장타원형이고 과병이 긴 점이" 다릅니다. (한국원색기준식물도감)

 

 



 

 

 

 

▼ 큰잎갈퀴

 

갈고리네잎갈퀴와 큰잎갈퀴는 열매에 갈고리같은 가시가

밀생한다는 점이 유사합니다.

몇몇 자료들 내용을 종합하여 이 둘에 대한 비교표를 아래와

같이 만들어 보았습니다.

 

 

구  분 갈고리네잎갈퀴 큰잎갈퀴
높이 1~2m 30~60cm
돌려나는 잎의 개수 아래쪽에서는 5~6개, 위쪽에서는 4~5개 4~6개 (보통 6개 : 생)
잎몸 형태 도피침형, 도란상 좁은 장타원형 (다양) 장타원형, 도란상 타원형 (다양)
잎 크기 길이 15~30mm, 나비 5~10mm 길이  (11-)15-40(-55)mm,
나비 
(2-)3-10(-14) mm
개화기 8~10월 5~6월
꽃차례 느슨한 취산꽃차례 원추꽃차례 (줄기 윗부분에 달림 : 생)
꽃자루 길이 개화 시 5mm, 결실 시 10mm (가늘고 긺 : 국) 2~5mm
모여나는 꽃 개수 소수가 드문드문 달림 다수
꽃 색 연녹색 (아래에서 별도 설명)  
비 고 국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생 : 국립생물자원관, 논 : 허두에 소개한 2012년 논문, 중 : 중국식물지

 

큰잎갈퀴의 꽃 색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자료마다 다른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연한 노란색을 띤 녹색  네이버 국어사전
흰색 또는 연녹색 중국식물지, 두산백과
연녹색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허두에 있는 2012년 논문
흰색 국립생물자원관, 이우철도감,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그런데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기재문 전반에서는 "꽃부리는

흰색"이라고 하면서 후반에서는 "갈퀴덩굴에 비해 여러해살이풀이며, 

꽃차례는 가지 끝 부근에만 달리고 꽃부리는 흰색이므로 구별된다.

또한  꽃은 연녹색이고, 열매에 갈고리처럼 굽은 털이 있는 점에서

꽃이 흰색으로 열매의 겉이 거의 밋밋한 흰갈퀴와 구별된다."고

함으로써 한 기재문 내에서도 모순된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기준식물도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비슷한 언급을 하면서

큰잎갈퀴의 꽃 색이 연녹색이라는 설명은 전혀 하지 않습니다.

"본 종은 잎 가장자리에 밑을 향한 가시가 있는 것은 갈퀴덩굴과 같으나

화서가 가지 끝 부근에만 달리고 꽃이 백색인 점이 다르다. 잎끝이

둥글고 화서는 빽빽하며 화경이 짧고(1~4㎜) 과실에 털이 없는 것을

흰갈퀴 var. tokyoense (MakinoKufod.라 한다."

  

여하튼 자료들 내용을 정리해 보면 갈고리네앞갈퀴와 큰잎갈퀴는 

잎이 6개까지 돌려나기도 하고 열매 겉에는 갈고리같은 자모가

밀생한다는 점은 공통적이나 갈고리네잎갈퀴는 줄기 끝과 모든

잎겨드랑이에 꽃자루가 긴 소수의 꽃이 느슨한 취산꽃차례로 달리고

큰잎갈퀴는 꽃자루가 짧은 다수의 꽃들이 줄기 끝부분에서

느슨한 원추꽃차례로 정생 또는 액생하는 점이 다른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넷에 큰잎갈퀴라고 올려져 있는 거의 대부분의 사진들은

갈고리네잎갈퀴나, 갈퀴덩굴, 꼭두서니 종류이고 진정한 큰잎갈퀴다

싶은 것은 없던데 다행히 위 설명에 가장 부합하는 표본정보를 국생지에서

두어 개 찾았습니다.

이 표본사진에 의하면 꽃이 흰갈퀴처럼 풍성하게 달리지 않고

갈고리네잎갈퀴처럼 느슨하게 달린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http://www.nature.go.kr/kbi/plant/smpl/selectPlantSmplDtl.do 

 

 

 

열매는 겉에 갈고리같은 자모가 밀생한다는 점이 갈고리네잎갈퀴와

유사합니다.

 

 

 

 

 

 

 

▼ 흰갈퀴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낮은 지대의 약간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랍니다.

 

 

 

줄기는 높이 30~60cm로 곧게 자라거나 덩굴져 다른 물체를 감고

오르기도 합니다.

 

 

 

꽃은 흰색으로 6~7월 가지 끝 부근에서 빽빽한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4mm로 짧고, 털이 다소 있습니다.

 

 

 

씨방과 열매에 걸고리같은 가시가 밀생하는 큰잎갈퀴와는 달리

흰갈퀴는 씨방과 열매가 털이 없이 매끄럽습니다.

 

 

 

꽃부리는 지름 약 2mm입니다.

 

 

 

잎은 4~6개가 돌려나고 잎몸은 장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

도피침형이며 끝이 둥글거나, 약간 파지거나 또는 둔하고 잎맥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밑으로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립니다.

 

 

 

잎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짧은 역자(逆刺)가 있습니다.

 

 

 

"줄기는 옆으로 누워 자라며, 밑을 향한 가시털이 있는 점에서

줄기가 곧추서고, 가시털이 없는 솔나물류와 구별"됩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열매는 7월에 익고 겉에 털이 없어 매끄럽습니다.

유사한 큰잎갈퀴는 열매에 갈고리같은 털이 밀생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중국식물도감) 

 

 

 

 

 

▼ 긴잎갈퀴

 

우리나라 강원도 이북에서 자생합니다.

 

(Kew) 

 

 

높이 20~60cm인 여려해살이풀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취산꽃차례는 가지 끝에 모여서

산방상으로 되며 화경과 꽃자루는 굵고 마디 부분을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습니다.

포는 마주나고 길이 1~4mm로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며 꽃자루는

 0.5-2 mm인데 열매를 맺을 때는 3.5mm까지 길어집니다.

 

(Kew) 

 

 

꽃부리는 지름 3~4mm이고  4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장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입니다.

 

 

(Sernec) 

 

 

잎은 4개씩 돌려나고 장 타원상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끝은

둔하고 3 또는 5맥이 있으며 잎자루는 매우 짧거나 없습니다.

 

(FloraVeg.EU) 

 

 

잎 양면에는 약간의 털이 있거나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짧은

털이 있습니다.

 

(FloraVeg.EU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털은 없거나 드물게 있고 모서리에

짧은 가시털이 있습니다.

 

 (Go.Botany)

 

 

열매는 구형이며 센털이 밀생합니다.

민긴잎갈퀴는 열매에 털이 거의 없다는 점이 다릅니다.

 

(FloraVeg.EU

 

 

 

 

 

 

▼ 털긴잎갈퀴 -->  긴잎갈퀴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것을 털긴잎갈퀴로 따로 분류했었는데

지금은 긴잎갈퀴에 통합되었습니다.

 

(FloraVeg.EU

 

 

 

 

 

 

▼ 민긴잎갈퀴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 자라며 긴잎갈퀴에 비해 씨방과 열매에

털이 거의 없다는 점이 다릅니다.

 

 

 

 

 

▼ 민둥갈퀴

 

긴잎갈퀴처럼 잎에 3~5행맥이 있습니다.

다음은 둘 간의 비교표입니다.

 

구  분 긴잎갈퀴 민둥갈퀴
잎 형태 장 타원상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끝은 둔하다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끝은 길게 뾰족하다
줄기  털은 없거나 드물게 있고 모서리에 짧은 가시털이 있다 털이 전혀 없다
가지 가지가 짧고 모여난다 가지를 치지 않는다
열매 센 털이 밀생 털이 없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 山からの贈り物)

 

 

열매와 줄기에 털이 없어서 민둥갈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山からの贈り物)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취산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모여

달려서 전체가 원뿔모양꽃차례로 되며 꽃자루가 있습니다.

 

( 野山の花たち)

( asahi-net.or.jp)

 

 

꽃차례는 긴잎갈퀴에 비해 성글게 자랍니다.

 

(島根とその周辺の野生植物)

 

 

꽃부리는 지름 4mm입니다.

 

( 野山の花たち)

 

 

잎은 4장씩 돌려나며 좁은 난형, 넓은 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3(5)맥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윗부분이 차차 좁아져 뾰족해집니다.

 

( 山からの贈り物)

  

 

표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짧은 센털이 있습니다.

 

( 野山の花たち)

 

 

씨방과 열매는 둥글며 털이 없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2단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래쪽이 씨방이고 위쪽이

벌어지기 전의 꽃부리입니다.

 

 (宮崎と周辺の植物)

 

 

 

 

 

▼ 개갈퀴

 

 우리나라 전국의 산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40~80cm입니다.



 

줄기는 곧추섭니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으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산방상 취산꽃차례로 달립니다.

 

 

 

꽃부리는 깔대기 모양이고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라고 

하는데 실물을 보면 꽃부리가 3개로 갈라지고 수술이 3개인 것도

적지 않습니다.

 

 

 

유사한 갈퀴아재비와는 달리 꽃부리 등 쪽에 찌르는 털이 

없어서 구분이 됩니다.

 

 

 

꽃부리에 분홍빛이 도는 것도 있더군요.

 

 

  

잎은 4~5장이 돌려나고 가지의 잎은 대개 4개씩 돌려난다는 게

자료들의 설명입니다.

그런데 그간 실물 관찰 결과 줄기 아래쪽에서는 잎이 4~7장

돌려나고 줄기 위나 가지에서는 2~4장이 돌려 나더군요.

 



잎몸은 장타원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3맥이 뚜렷하며 밑부분은 좁아져 짧은

잎자루의 날개로 됩니다.

 

 

 

잎자루와 잎가장자리, 잎맥에 털이 많습니다.

 

 

 

줄기는 네모집니다.

 

 

 

열매는 털이 없습니다.

유사한 갈퀴아재비는 열매에 털이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 넓은잎개갈퀴 -->  개갈퀴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원형인 것을 넓은잎개갈퀴라고 따로 

분류했었으나 지금은 개갈퀴의 이명으로 처리되었습니다.

 

 

 

 

 

 

 

▼ 산개갈퀴

 

국생지 기재문은 딱 아래 문장 한 줄뿐입니다.

"잎은 보통 4엽 돌려나기하고 달걀모양이다."

다음 표의 산개갈퀴 내용은 중국식물지의 기재문을 참조하였습니다.

 

구  분 개갈퀴 산개갈퀴
꽃 지름 3mm 4~5mm
윤생엽 수 4~6(~8)개 보통 4개이나 드물게 6개까지
잎몸 형태 장타원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 타원형 또는 난형

 

(중국식물도감) 

 

 

 

 

 

 

▼ 갈퀴아재비

 

개갈퀴와  유사하나 꽃부리 등쪽에 자모(刺毛)가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구분 개갈퀴 갈퀴아재비
소속 갈퀴덩굴속 갈퀴아재비속
꽃부리 등쪽 털이 없음 자모(刺毛)가 있음.
잎몸 형태 전국 지리산 및 평남 성천군, 한국 고유종

 

 

 

개갈퀴와 마찬가지로 꽃은 주로 흰색이나 분홍빛이 도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개갈퀴와 달리 꽃부리 등쪽에 자모(刺毛)가 있습니다.

 

 

 

개갈퀴와 마찬가지로 꽃부리는 3~4개로 갈라집니다.

 

 

 

 

 

 

▼ 산갈퀴

 

먼저 유사한 네잎갈퀴와의 비교표부터 만들어봅니다.

 

구  분 네잎갈퀴 산갈퀴
윤생엽 길이 서로 같다 2개가 다른 2개보다 다소 길다
꽃부리 겉 털이 없다 털이 있다
꽅자루 길이  2~4mm 5~10mm
잎 형태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뾰족 넓은 선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

 

산갈퀴는 우리나라 강원도 이남에 분포하며 이름 그대로

산지의 건조한 숲속에서 자라고 높이는 30-50cm.입니다.

 

(Wikimedia Commons)

 

 

꽃은 6~7월에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보통 3갈래로

갈라진 취산꽃차례를 이룹니다.

 

(Wikimedia Commons)

 

 

꽃자루는 길이 5~10mm이고 꽃부리는 연녹색으로 지름은

1.5~3mm이며 겉에 털이 있습니다.

아래 사진들을 보니 꽃부리 겉의 털이 꽤 긴 편이네요.

꽃부리  겉에 털이 없는 것을 민산갈퀴라고 따로 분류합니다.

유사한 네잎갈퀴는 꽃자루 길이가 2~4mm이고 꽃부리 겉에 털이

없다는 점이 다릅니다.

 

(중국식물도감

(중국식물도감) 

 

 

잎몸은 넓은 선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가장자리와 맥 위에 위를 향한 짧고 굳은 털이 있습니다.

 

 (Wikimedia Commons)

 

 

열매는 둥글고 7월에 익으며 겉에 비늘 모양의 소돌기가 밀생합니다.

 

(중국식물도감)

 

 

 

 

 

▼ 민산갈퀴

 

충청남도 계룡산과 강원도 설악산 이남에서 자라며 산갈퀴에

비해 꽃부리에 털이 없다는 점만 다릅니다.

 

 

 

 

 

▼ 선갈퀴

 

먼저 유사한 개갈퀴와의 비교표부터 만들어봅니다.

 

구  분 선갈퀴 개갈퀴
윤생엽 수 5~10개 4~5(~8)
잎맥 중륵만 뚜렷 3맥이 뚜렷
분포 강원도 이북과 울릉도 전국

 

우리나라 강원도 이북과 울릉도에서 자라며 높이는 25-40cm입니다.

 

 

 

꽃은 5~6월에 피며 흰색이고 원줄기 끝에 다수가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가 있습니다. 

 

 

 

꽃부리는 윗부분이 4개로 갈라져서 다소 수평으로 퍼지며 지름

4-5mm입니다. 

 

 

 

실물을 보니 간혹 꽃부리가 5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더군요.

 

 

 

꽃부리는 깔대기 모양이며 판통이 열편보다 다소 깁니다.

 

  

 

잎은 6~10장씩 돌려나며 잎자루가 없고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한 개의 잎맥이 뚜렷합니다.

 

 

 

줄기 아래쪽 잎은 아래처럼 다소 다른 모양을 하고 있더군요.

 

 

 

잎 뒷면 주맥과 가장자리에 위를 향한 센털이 있습니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고 평활하며 털이 없고 네모집니다.

 

 

 

열매는 둥글고 겉에 갈고리같은 털이 밀생합니다. 

 

(Go Botany)

 

(위키피디아) 

 

 

 

 

 

▼ 개선갈퀴

 

먼저 선갈퀴와이 비교표입니다.

 

구  분 선갈퀴 개선갈퀴
윤생엽 수 6~10개 6개
잎몸 형태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 긴 타원형
원줄기 끝에서 꽃 다수가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모여 핀다.
꽃부리 판통 판통이 열면보다 다소 길다. 판통이 뚜렷하지 않다.

 

 

우리나라 평안북도, 경기도, 전라북도, 울릉도, 제주도 등지에서

자랍니다.


( 島根とその周辺の野生植物)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으로서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1~3개씩 달리고 수술은 4개입니다.

 

( 野山の花たち)

 

 

선갈퀴와는 달리 꽃부리가 기부까지 깊게 4개로 갈라져서 판통이

뚜렷하지 않습니다.

 

( 井伊影男の植物観察)

 

 

잎은 6개가 돌려나며 잎자루가 거의 없고 잎몸은 긴 타원형으로

1맥이 뚜렷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나 밑을 향한 가시털이 있습니다.

 

(위키피디아) 

 

 

잎 뒷면 맥 위에 가시털이 있습니다.

줄기는 가늘며 밑부분은 누워 자라고 윗부분은 거의 곧게 자라며 높이

20~40cm로 네모지며 모서리에 밑을 향한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으나

드물게 없기도 합니다.

 

( 野山の花たち)

 

 

잎 끝은 둥근데 주맥 끝이 돌출합니다.

 

( 島根とその周辺の野生植物)

 

 

열매는 겉에 갈고리같은 돌기가 밀생하고, 7~9월에 익습니다.

 

(松江の花図鑑)

 

 

 

 

 

 

▼ 검은개선갈퀴

 

개선갈퀴는 줄기에 밑을 향한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고 식물체가

마르면 짙은 녹색으로 되는 데 비해 검은개선갈퀴는 줄기에 가시가

없고 식물체가 마르면 검은색으로 변하는 점이 다릅니다.

전라남도, 경상북도 울릉도, 제주도 등에서 자랍니다.

 

 

 

 

 

 

▼ 국화갈퀴

 

우리나라 경남 가야산에서 자생하며 높이 30~50cm인

여러해살이풀입니다.

 

(草木365日)

( 野山の花たち)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나 줄기 끝에서 가는 화경이

나와 1~3개의 꽃이 모여 달리며 화경의 길이는 1~5mm이고 기부에

잎같은 피침형 포가 하나 있는 게 특징입니다.

꽃부리는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4개입니다.

 

(http://www.plantsindex.com)

 

 

잎은 4개씩(간혹 5개씩) 돌려나고 박질이며 좁은 거꿀달걀모양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1~1.5cm, 나비 5~8mm이며 끝은 둥글거나

둔하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만 상향하는 짧은 털이

있고 마르면 밝은 녹색입니다.

 

(島根とその周辺の野生植物)

 

 

열매는 분과가 장타원형이며 굽은 잔털이 밀생합니다.

 

( 野山の花たち)

 

 

줄기는 네모지고 평활하며 모여나고 곧추서나 하부는 땅을 기며

가끔 가지가 갈라집니다.

 

(野山の花たち)

 

 

 

 

 

 

▼ 두메갈퀴

 

우리나라 함경남 · 북도, 평안북도, 강원도, 경상남도, 제주도에서

자랍니다.

 

 

 

깊은 산에서 자라기 때문에 두메갈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잎이 줄기 아래쪽에서는 마주나고 위쪽에서는 4장씩 돌려나서

다른 갈퀴덩굴속 내 유사종들과 구분이 됩니다.

아래 사진 하단에서 마주난 잎들이 확인됩니다.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성긴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화경이 있고 꽃자루는 꽃이 진 다음 자라서

길이 6~7mm로 됩니다.

 

 

 

꽃부리는 4개로 갈라지는데 5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네요.

 

 

 

씨방과 열매에 갈고리같은 털이 밀생합니다.

 

 

 

열매는 2개씩 합쳐지고 분과는 둥글며 긴 갈고리같은 털이

밀생합니다.

 

 

 

잎은 난형 또는 장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좁으며

길이는 1-4cm, 폭 1-2cm로서 가장자리와 표면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를 향한 짧은 털이 있고 잎자루는 길이 1-4cm입니다.

 

 

 

줄기는 높이 10-25cm이고 마르면 짙은 녹색으로 되며 가지는 거의

갈라지지 않고 가시가 없습니다.

 

 

 

 

 

 

▼ 실갈퀴

 

평안북도 벽동(碧潼)의 산지에서 자라는 높이 15~65cm인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중국식물도감)

 

 

꽃은 8월에 피며 백색으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취산꽃차례에

드문드문 달리고 꽃자루는 가늘며 길이 2-3mm로서 털이 없습니다.

 

 (중국식물도감)

 

 

잎이 4장이 돌려나며 잎자루는 없거나 짧고 잎몸은 조금 뒤로

말리며  선형 또는 선상 주걱형으로 길이 1~6cm, 폭 1~4mm인

점이 특징입니다.

실갈퀴란 이름은 잎이 가늘다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중국식물도감)

 

 

열매는 털이 없습니다.

 

(중국식물도감)

 

 

 

 

 

▼ 참갈퀴덩굴

 

중부 이남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입니다.

잎이 "4개씩 돌려나기하고 피침형 도는 거꿀피침모양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1.5~2cm, 폭 7~12mm로서 가장자리에 위를 향한 깔깔한

돌기 같은 털이 있으며 3개의 맥이 뚜렷하고 기부는 좁아지면서

짧은 엽병을 이"룹니다.

"잎몸의 가장자리와 뒷면의 주맥을 따라 껄껄한 거꾸로 난 가시가

있고, 열매에 돌기 같은 가시털이 있는 점에서 다른 분류군들과

구별"됩니다.

인터넷에 올라온 사진들 중에서 진정한 참갈퀴덩굴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못 찾았습니다.. (거의 대부분 잎맥이 1개인 사진들뿐)

 

 

 

 

 

▼ 털둥근갈퀴

 

한반도 함경남도, 강원도, 경상남도, 제주도 등에서 자랍니다.

 

(Go Botany)

 

 

높이 5-15cm로 깊은 산의 다소 습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입니다.

 

(Go Botany)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녹황색이고 취산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며

10개 정도의 꽃이 2출 내지 3출상으로 달립니다.

씨방에는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습니다.

 

(Burke Herbarium Image Collection)

 

 

잎은 4장이 돌려나며 원형으로 끝은 급하게 뾰족해지고 밑은

둥글며 3맥이 뚜렷합니다.

잎 앞면에 가시같은 털이 있고, 뒷면 잎맥에 아래를 향한 가시가

있으며 때로는 가장자리에 가시가 듬성하게 납니다.

두메갈퀴도 털둥근갈퀴와 높이가 비슷하고 잎도 4개씩 돌려

나지만 잎몸이 난형 또는 장난형인 점이 다릅니다.

 

(iNaturalist)

 

 

열매는 갈고리같은 가시가 밀생합니다.

 

(Burke Herbarium Image Collection)

 

 

 

 

▼ 나도갈퀴덩굴 ( Galium aparine )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 등 원산지가 광범위한 일년생초본으로

줄기가 비스듬히 서거나 기어오르면서 길이 100cm 정도까지 자랍니다.

 

(Plant Identification)

 

 

학명은 Galium aparine인데 여기서 종소명인 aparine은 "붙잡다,

달라붙다"는 의미를 갖는 그리스어로부터 유래했습니다.

갈고리 모양의 털을 가진 줄기나 잎, 열매가 사람의 옷이나 동물들의

가죽에 잘 달라붙는 특성을 반영한 작명입니다. (위키피디아)

 

(Plant Identification)

 

 

갈퀴덩굴과 정확히 뭐가 다른지 잘 모르겠지만 국생지에 의하면

갈퀴덩굴은 꽃이 연한 황록색인 데 비해 나도갈퀴덩굴은 흰색이라는

점이 다릅니다.

 

국생지에 의하면 갈퀴덩굴과 나도갈퀴덩굴의 키는 거의 비슷하고

단지 전자의 잎은 길이 10~30mm, 나비 1.5~4mm인 데 비해 후자의

잎은 길이 8~60mm, 나비 1~5mm로 후자가 좀더 깁니다.

그래서인지 나도갈퀴덩굴은 일명 큰갈퀴덩굴이라고도 불립니다.

 

(Plant Identification) 

 

 

꽃차례는 거의 줄기 중앙부 위쪽 마디의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가

모여 달리거나 한 개만 달리고 위를 향합니다.

 

(Plant Identification)

 

 

꽃자루는 없거나 개화기엔 길이 1mm 정도이다가 결실기에는

길이 8mm까지도 자랍니다.

꽃잎은 흰색으로 길이 1.0~1.2mm이고,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 내지 난형이고 통부는 길이 0.5mm입니다.

암술머리는 머리 모양이고 연한 황색입니다. 

 

(위키피디아)

 

 

잎은 좁은 도피침형 또는 좁은 타원상 도피침형으로 마디에

6~8개가 윤생하며 자루가 없고, 옆으로 퍼지거나 다소 비스듬하게

펼쳐집니다.

 

(위키피디아)

 

 

잎 앞면에 보통 털이 있고 잎 끝이 갑자기 좁아져 날카로운 침상으로

되고 가장자리와 뒷면 중앙맥에 아래로 굽은 가시 같은 털이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대개 약간 뒤로 말립니다.

 

(위키피디아)

 

 

열매 표면은 길이 0.5~0.8mm인 갈고리 모양의 털과 함께 연모가

밀생합니다.

 

(위키피디아)

 

 

 

 

▼ 민둥갈퀴덩굴 (Galium tricornutum)

 

유럽, 북아프리카, 남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이름이 유사한,

우라니라 자생식물 민둥갈퀴와는 다른 식물입니다.

 

                                                                                                     (Kew,)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3~5개가 밀추화서 비슷한

취산꽃차례로 달리고 꽃대에는 밑을 향한 가시가 있습니다.

포는 없거나 잎같고 길이는 3~5mm이며 꽃자루는 0.3~2mm입니다.

 

(Kew)

 

 

꽃은 흰색으로 지름 1~1.5mm이고  2/3 이상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입니다.

 

(Kew)

 

 

잎은 6~8개가 돌려나고 잎자루는 거의 없으며 잎몸은 좁은

도피침형 내지 좁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잎가장자리와

뒷면 중륵에 밑을 향한 가시가 있고 1맥이 있습니다.

줄기는 네모지고 모서리에 밑을 향한 가시가 있습니다.

 

(JungleDragon)

 

 

열매는 사마귀같은 돌기가 밀생하고 활처럼 휜 열매자루 끝에

매달려 있어 갈퀴덩굴이나 나도갈퀴덩굴과 구분됩니다.

 

(Kew)

(Kew)

 

 

 

 

 

▼ 꽃갈퀴덩굴 (Sherardia arvensis)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국내에는 2003년 서울 난지도에서 

발견되었으며, 2006년 제주도에서도 분포가 확인되었습니다.

 

(Plant Identification)

 

 

이년생초본으로 높이 20~80cm까지 자랍니다.

 

(Plant Identification)

(위키피디아)

 

 

꽃은 5~6월에 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 끝에 여러

개가 머리 모양으로 달리며, 연한 분홍색입니다.

 

(Plant Identification)

(위키피디아)

 

 

꽃부리는 통부가 긴 깔대기 모양이고 윗부분이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입니다.

 

(Oregon Flora)

(위키피디아)

 

 

꽃받침은 6개의 깊은 송곳 모양의 자상돌기로 곧게 자라며 꽃이

핀 후에도 자랍니다.

꽃받침과 꽃부리의 통부는 총포에 싸여 있습니다.

 

(위키피디아)

 

 

총포는 8개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긴 삼각형으로 길이

3~8mm입니다.

 

(Oregon Flora)

 

 

잎은 4~7개가 돌려나는데 가지 끝에서는 보통 6개가 돌려나고

뿌리 근처에서는 보통 4개가 돌려납니다.

잎자루가 없으며 넓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양 끝이 뾰족합니다.

 

(Go Botany)

(Oregon Flora)

 

 

줄기는 네모지며 아래쪽부터 많이 갈라져 땅 위를 덮고

아래를 향한 가시가 있습니다.

 

(Oregon Flora)

 

 

열매는 삭과로 도란형 또는 타원형입니다.

 

(Go Botany)

 

 

열매에는 3개의 숙존 꽃받침 돌기와 왕관 모양의 2개의 측생

암술 잎이 있다는 게 국생지의 설명인데 측생 암술 잎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Oregon Flora)

 

 

 

 

 

갈퀴덩굴_가는네잎갈퀴_갈고리네잎갈퀴_개갈퀴_개선갈퀴, 검은개선갈퀴_국화갈퀴_잎갈퀴_네잎갈퀴_네잎갈퀴아재비, 둥근네잎갈퀴_두메갈퀴_민긴잎갈퀴_민둥갈퀴_산갈퀴_민산갈퀴_산개갈퀴, 선갈퀴_실갈퀴_좀네잎갈퀴_참갈퀴덩굴_큰갈퀴_털둥근갈퀴_흰갈퀴, 솔나물_애기솔나_ 털솔나무_털잎솔나물_흰솔나물, 나도갈퀴덩굴_민둥갈퀴덩굴_갈퀴아재비_, 꽃갈퀴덩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