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식에 등재되어 있는 노박덩굴속 식물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생식물 : 노박덩굴, 개노박덩굴, 털노박덩굴, 해변노박덩굴, 푼지나무
덤불노박덩굴(얇은잎노박덩굴)과 노랑노박덩굴은 더이상 따로
분류하지 않고 노박덩굴의 변이로 보고 있습니다.
다음은 한국식물지에 있는 검색표입니다.
▼ 노박덩굴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
암수딴그루 또는 잡성주이고 꽃은 잎겨들아이에서 나온 취산꽃차례에
1~10개씩 달립니다.
우선 수꽃부터 소개합니다.
노박덩굴 종류의 꽃은 모두 황록색입니다.
꽃이 떨어진 후의 꽃대입니다.
꽃대가 3차까지 있네요. (큰 꽃대, 중간 꽃대, 작은 꽃대)
3차 꽃대에 꽃이 매달린 모습입니다.
꽃자루와 꽃대 사이에 마디가 보입니다.
잎이 타원형이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가장자리 톱니는
둔합니다.
푼지나무는 잎가장자리 톱니가 털 같이 생겼다는 점이 다릅니다.
잎 앞면에는 털이 없습니다.
뒷면에도 털이 없습니다.
아래와 같이 맥 위에 날개 같은 게 달려 있는 잎을 두고 이를
개노박덩굴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데 개노박덩굴은 잎 뒷
면 맥 위에 날개가 아니라 주상의 돌기가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아래는 암꽃입니다.
암꽃이지만 짧은 수술이 5개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양성화가 피기도 해서 잡성주입니다.
노박덩굴 열매는 아래처럼 생겼습니다.
종자가 황적색 종의에 싸여 있습니다.
▼ 털노박덩굴
작은가지 및 꽃차례에 털이 있고 잎 뒷면, 특히 주맥 위에 굽은 털이 많은
것을 털노박덩굴이라고 합니다.
직접 본 적은 없습니다.
▼ 덤불노박덩굴 --> 노박덩굴
잎이 원형이고 얇다는 점이 노박덩굴과 달라서 한때 따로 분류했었는데
지금은 노박덩굴에 통합되었습니다.
잎의 형태적 특징 때문에 얇은잎노박덩굴 또는 둥근잎노박덩굴이라고
별칭하기도 했었습니다.
아래 사진 두 장은 차례대로 수꽃과 암꽃입니다.
잎은 아래처럼 생겼습니다.
잎 양면에 털이 없습니다.
▼ 개노박덩굴
잎은 노박덩굴처럼 타원형입니다.
잎 뒷면에 원기둥 형태의 돌기가 있는 게 특징입니다.
▼ 노랑노박덩굴 --> 노박덩굴
노박덩굴은 종자가 황적색 종의에 싸여 있는 데 비해 노랑노박덩굴은
노란색 종의에 싸여 있어서 따로 분류했었는데 지금은 노박덩굴에
통합되었습니다.
사진 참조 ==> https://blog.naver.com/andyou34/223190469295
▼ 해변노박덩굴
잎이 두꺼우며 윤채가 있고 표면의 잎맥이 오목하며 줄기에 껍질눈이
뚜렷한 것을 해변노박덩굴이라 합니다.
우리나라 제주도와 전라남도에서 자랍니다.
▼ 푼지나무
공중뿌리가 있어 바위나 나무에 붙어 기어오르고 땅 위를 기면서
자라기도 합니다.
(중국식물도감)
노박덩굴과 유사한데 꽃대가 없는 점이 다릅니다.
노박덩굴은 꽃이 잎겨드랑이에 1~10개씩 피는 데 비해 푼지나무는
수꽃은 1-3개씩, 암꽃은 1개씩 핍니다.
바로 아래는 수꽃인데 잎이 2개이고 꽃이 6개이니 잎겨드랑이당
세 송이씩 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는데 갈래조각은 사각형이고 꽃잎은 5개로
연한 녹황색이며 좁은 사각상 도란형 또는 주걱형입니다.
수술은 5개이고 퇴화된 암술이 있습니다.
암꽃에는 1개의 암술과 5개의 퇴화된 헛수술이 있습니다.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집니다.
사진을 보니 꽃잎 밑부분에 노란 꿀샘이 하나씩 있네요.
노박덩굴의 잎가장자리 톱니는 둔한 데 비해 푼지나무는 털 같습니다.
자료에 따라서는 이 털 형태는 곡침(曲針), 즉 굽은 바늘이라고 표현하고
노박덩굴은 턱잎이 떨어지지만 푼지나무는 짧은 가시가 되어 숙존합니다.
노박덩굴은 잎몸이 타원형이고 길이가 3~10cm인 데 비해 인 데 비해
푼지나무는 잎몸이 넓은 타원형, 아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는 2~4cm로
노박덩굴보다 작습니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는 강모가 산생합니다.
사진을 보니 잎자루에 녹색 꿀샘이 하나 관찰됩니다.
줄기와 가지에 턱잎이 변해서 생긴 갈고리같은 가시가 있습니다.
여름 줄기에서 공기뿌리가 나와 바위나 이웃 나무에 달라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