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66

배추과 무속 식물들 비교 : 무, 갯무, 서양무아재비 자생식물 : 갯무재배식물 : 무외래식물 : 서양무아재비 ▼ 무 무의 원산지에 대해서는 지중해 연안이라는 설, 중앙아시아와중국이라는 설, 중앙아시아와 인도 및 서남아시아라는 설 등이 있습니다. (문화원형백과)중국에는 무가 BC400년 경 실크로드를 통하여 전래되었고우리 나라에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중국에서 들어와 삼국시대부터 재배되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ハイポネックスジャパン) 꽃은 4-5월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거의 백색입니다. (India Biodiversity Portal) 꽃받침조각은 길이 7mm로서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십(十)자형으로 배열되며 넓은 도란상 쐐기모양이고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며 1개의 암술과 넷긴수술이 있습니다.. 2025. 4. 23.
미나리아재비과 매발톱속 식물들 비교 : 매발톱, 하늘매발톱, 몽골매발톱 현재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매발톱속자생식물은 표제 3종뿐입니다.몽골매발톱은 2023.12.22일에 처음으로 등재되었습니다. ▼ 매발톱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산지의 숲 가장자리, 계곡, 경사면의 풀밭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높이 30~130cm이며 줄기는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집니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서 3~5개가 취산꽃차례로 밑을 향해 달리며, 노란빛을 띤 자주색입니다. 꽃잎처럼 보이는 것이 꽃받침이고 안쪽에 노란빛이 도는 것이 꽃잎입니다.꽃잎 아래쪽에 꿀주머니가 있는데 꿀주머니는 자줏빛이며 끝이 안으로 굽습니다.이 꿀주머니가 매의 발톱을 닮았다는 데서 매발톱이란 이름이 유래했습니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꽃잎처럼 보이며 갈.. 2025. 4. 23.
털제비꽃 제비꽃속 식물들 비교 (1) : 제비꽃, 호제비꽃, 서울제비꽃, 털제비꽃, 민둥제비꽃, 왜제비꽃, 흰털제비꽃, 둥근털제비꽃, 잔털제비꽃, 남산제비꽃, 단풍제비꽃, 태백제비꽃, 민둥뫼제비꽃, 자주잎제비꽃, 흰젖제비꽃, 흰들제비꽃,흰제비꽃, 고깔제비꽃, 금강제비꽃, 애기금강제비꽃==> https://kualum.tistory.com/17045905 제비꽃속 식물들 비교 (2) : 노랑제비꽃, 털노랑제비꽃, 털대제비꽃, 장백제비꽃, 구름제비꽃, 콩제비꽃, 반달콩제비꽃, 졸방제비꽃, 왜졸방제비꽃,큰졸방제비꽃, 섬제비꽃, 우산제비꽃, 울릉제비꽃, 흰울릉제비꽃, 뫼제비꽃, 알록제비꽃, 자주알록제비꽃, 왕제비꽃, 여귀잎제비꽃, 선제비꽃, 넓은잎제비꽃, 얇은잎제비꽃, 누운제비꽃==> https://kualum.ti.. 2025. 4. 22.
고깔제비꽃 제비꽃속 식물들 비교 (1) : 제비꽃, 호제비꽃, 서울제비꽃, 털제비꽃, 민둥제비꽃, 왜제비꽃, 흰털제비꽃, 둥근털제비꽃, 잔털제비꽃, 남산제비꽃, 단풍제비꽃, 태백제비꽃, 민둥뫼제비꽃, 자주잎제비꽃, 흰젖제비꽃, 흰들제비꽃,흰제비꽃, 고깔제비꽃, 금강제비꽃, 애기금강제비꽃==> https://kualum.tistory.com/17045905 제비꽃속 식물들 비교 (2) : 노랑제비꽃, 털노랑제비꽃, 털대제비꽃, 장백제비꽃, 구름제비꽃, 콩제비꽃, 반달콩제비꽃, 졸방제비꽃, 왜졸방제비꽃,큰졸방제비꽃, 섬제비꽃, 우산제비꽃, 울릉제비꽃, 흰울릉제비꽃, 뫼제비꽃, 알록제비꽃, 자주알록제비꽃, 왕제비꽃, 여귀잎제비꽃, 선제비꽃, 넓은잎제비꽃, 얇은잎제비꽃, 누운제비꽃==> https://kualum.ti.. 2025. 4. 22.
큰개별꽃 *** 개별꽃속 식물들 비교 : 개별꽃, 큰개별꽃, 가는잎개별꽃, 그늘개별꽃, 긴개별꽃, 덩굴개별꽃, 보현개별꽃, 비슬개별꽃, 산개별꽃, 설악개별꽃, 숲개별꽃, 애기개별꽃, 정영개별꽃, 지리산개별꽃, 참개별꽃, 큰개별꽃, 태백개별꽃 ===> https://kualum.tistory.com/17047024 2025. 4. 22.
각시붓꽃 *** 붓꽃과 식물들 비교 : 붓꽃, 각시붓꽃, 넓은잎각시붓꽃, 난장이붓꽃, 금붓꽃, 노랑붓꽃, 노랑무늬붓꽃, 대청부채, 만주붓꽃, 부채붓꽃, 신부채붓꽃, 솔붓꽃, 연미붓꽃, 제비붓꽃, 진보라붓꽃, 타래붓꽃, 꽃창포, 신꽃창포, 범부채, 독일붓꽃, 노랑꽃창포, 연미붓꽃, 애기범부채, 등심붓꽃, 연등심붓꽃, 글라디올러스,사프란 ==> https://kualum.tistory.com/17048288 2025. 4. 22.
금붓꽃 *** 붓꽃과 식물들 비교 : 붓꽃, 각시붓꽃, 넓은잎각시붓꽃, 난장이붓꽃, 금붓꽃, 노랑붓꽃, 노랑무늬붓꽃, 대청부채, 만주붓꽃, 부채붓꽃, 신부채붓꽃, 솔붓꽃, 연미붓꽃, 제비붓꽃, 진보라붓꽃, 타래붓꽃, 꽃창포, 신꽃창포, 범부채, 독일붓꽃, 노랑꽃창포, 연미붓꽃, 애기범부채, 등심붓꽃, 연등심붓꽃, 글라디올러스,사프란 ==> https://kualum.tistory.com/17048288 2025. 4. 22.
미치광이풀 가지과 미치광이풀속 식물들 비교 : 미치광이풀==> https://kualum.tistory.com/17049363 2025. 4. 22.
개감수 *** 대극속 식물들 비교 : 대극, 두메대극, 단주대극, 등대풀, 붉은대극, 암대극, 참대극, 흰대극, 개감수, 낭독, 톱니대극, 아메리카대극, 솔잎대극, 꽃기린, 설악초, 포인세티아, 땅빈대, 애기땅빈대, 큰땅빈대, 누운땅빈대, 뿌리땅빈대, 털땅빈대 ==> https://kualum.tistory.com/17049215 2025. 4. 22.
피나물 *** 매미꽃과 피나물(노랑매미꽃) 비교 ==> https://kualum.tistory.com/17048434 2025. 4. 22.
산괴불주머니 *** 현호색과 현호색속 식물들 비교 (1. '괴불주머니' 계열) : 괴불주머니, 산괴불주머니, 선괴불주머니, 가는괴불주머니, 갯괴불주머니, 눈괴불주머니, 염주괴불주머니, 자주괴불주머니, 큰괴불주머니, 백두산괴부주머니, 둥근빗살괴불주머니 ==> https://kualum.tistory.com/17049392 2025. 4. 22.
일본잎갈나무 웅성구화수 일본잎갈나무는 암수한그루인데 웅성구화수만 보이고 자성구화수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웅화선숙형인가 봅니다. *** 잎갈나무속/개잎갈나무속 식물들 비교 : 잎갈나무속 - 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 개잎갈나무속 - 개잎갈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9139 2025. 4. 22.
진달래과 진달래속 식물들 비교 : 철쭉, 산철쭉, 겹산철쭉, 흰산철쭉, 진달래, 반들진달래, 산진달래, 섬진달래, 털진달래, 한라산진달래, 꼬리진달래, 황산차, 백산차, 좁은백산차, 함경백산차, 왕백산차, 참꽃나무, 좀참꽃, 세잎참꽃, 한라산참꽃나무, 흰참꽃나무, 만병초, 노랑만병초, 홍철쭉, 황철쭉, 영산홍 아래는 우리나라 진달래과 진달래속 식물들 목록인데 편의상 이름이 유사한 것들끼리 묶어 보았습니다. 자생식물♣ 철쭉, 산철쭉, 겹산철쭉, 흰산철쭉♣ 진달래, 반들진달래, 산진달래, 섬진달래, 털진달래, 한라산진달래, 꼬리진달래♣ 참꽃나무, 좀참꽃, 세잎참꽃, 한라산참꽃나무, 흰참꽃나무 ♣ 황산차, 백산차, 좁은백산차, 함경백산차, 왕백산차 ♣ 만병초, 노랑만병초재배식물 ♣ 홍철쭉, 황철쭉, 영산홍 ▼ 철쭉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자랍니다. "철쭉을 개꽃이라고도 부른다. 먹을 것이 부족했던 시절에 먹을 수 있는 진달래를 참꽃이라고 부른 반면, 꽃 모양은 비슷하지만 먹을 수 없는 철쭉을 개꽃이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되었다. 경상도에서는 철쭉의 옛 이름을 연달래라고 했는데, 진달.. 2025. 4. 21.
섬노루귀 *** 노루귀속 식물들 비교 : 노루귀, 새끼노루귀, 섬노루귀, 유성노루귀 ==> https://kualum.tistory.com/17046922 2025. 4. 19.
새끼노루귀 *** 노루귀속 식물들 비교 : 노루귀, 새끼노루귀, 섬노루귀, 유성노루귀 ==> https://kualum.tistory.com/17046922 2025.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