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29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식물들 비교 : 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수원사시나무, 일본사시나무, 황철나무, 물황철나무, 중국황철나무, 당버들, 미루나무, 은백양, 양버들, 이태리포플라 우리나라 버드나무과에는 버드나무속, 사시나무속, 신유자나무속,이나무속 등 4개 속이 있습니다.여기서는 이중 사시나무속 식물들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합니다.사시나무속 식물들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생식물 : 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수원사시나무, 황철나무,                  물황철나무, 당버들재배식물 : 일본사시나무, 중국황철나무, 미루나무, 은백양,                  양버들, 이태리포플라  다음은 한국식물지에 실려 있는 검색표입니다.   아래는 같은 버드나무과 내의 사시나무속과 버드나무속과의차이점 비교표입니다. 구  분사시나무속버드나무속새싹의 눈비늘 수여러 개1개꽃차례암수꽃차례 모두 아래로 늘어짐암꽃차례는 비스듬히 서거나 직립, 드물게 아래로 늘어짐.포 가장자리톱니 또는 치아 .. 2025. 3. 31.
'황철나무' 종류 비교 : 황철나무, 물황철나무, 중국황철나무 표제 3종은 모두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식물들입니다.이들 중 개인적으로 직접 실물을 본 건 물황철나무밖에 없기에 물황철나무부터 소개하기로 합니다.3종 모두 암수딴그루로 꽃은 잎이 나기 전에 먼저 피고 꼬리모양꽃차례에 달립니다.    ▼ 물황철나무 우리나라 함경도, 평안도, 강원도 등에 자생하며 높이 25m, 직경1m까지 자라는 큰키나무입니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월에 피며 꼬리모양꽃차례에 달리고 잎이나기 전에 먼저 핍니다.   암꽃차례는 길이 3~5cm이나 과시에는 12cm까지 자랍니다.   화반은 술잔같으며 씨방은 난형으로 자루와 털이 없고 암술머리는2~4개로 노란빛이 돕니다.포는 갈색이고 구형이며 불규칙하게 25~3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좁은 삼각형 내지 선형입니다.   수꽃의 수술은 10~30개인.. 2025. 3. 31.
분버들과 좀분버들 비교 둘 다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식물입니다.    ▼ 분버들 우리나라 경남(지리산), 경북, 강원 이북의 산기슭이나 냇가에서 자랍니다. (hosho.ees.hokudai.ac.jp, https://hosho.ees.hokudai.ac.jp/tsuyu/top/plt/willow/salix/ror.html )  높이 10-15m, 지름 30cm인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75122&cid=46694&categoryId=46694 )  꽃은 암수딴그루로 4~5월에 유제화서로 핍니다. *** 유제화서(葇荑花序) : 무한 꽃차례의 하나. 단성화(單性花)로,      수꽃이삭은 각 꽃마다 포(苞)가 있고 꽃은 꽃차례의 기.. 2025. 3. 26.
노루귀 주금산 노루귀는 항상 복수초에 비해 개화가 늦습니다.올해도 복수초는 만개했는데 노루귀는 이제 겨우 몇 포기만올라왔습니다.   *** 노루귀속 식물들 비교 : 노루귀, 새끼노루귀, 섬노루귀, 유성노루귀     ==>  https://kualum.tistory.com/17046922 2025. 3. 23.
복수초 포천 주금산의 복수초는 작년과 비슷한 시기에 피었습니다.해마다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어 다행입니다.   *** 복수초속 식물들 비교 :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털복수초,      꿩복수초, 여름꿩복수초, 유럽복수초     ===>  https://kualum.tistory.com/17048323 2025. 3. 22.
단향과 식물들 비교 : 겨우살이속, 동백나무겨우살이속, 제비꿀속 우리나라 단향과 식물에는 3개 속이 있습니다.유사한 꼬리겨우살이속과 참나무겨우살이속은 단향과가 아니라꼬리겨우살이과입니다. 겨우살이속 : 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둉백나무겨우살이속 : 동백나무겨우살이제비꿀속 : 제비꿀, 긴제비꿀    '겨우살이' 종류 비교 : 겨우살이, 붉은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https://kualum.tistory.com/17050004  단향과 제비꿀속 식물들 비교 : 제비꿀, 긴제비꿀==> https://kualum.tistory.com/17049284 2025. 3. 22.
단향과 제비꿀속 식물들 비교 : 제비꿀, 긴제비꿀 우리나라 단향과 제비꿀속에는 제비꿀과 긴제비꿀이 있습니다. 다음은 한국식물지에 있는 검색표입니다.   우선 몇몇 자료들의 기재문 내용을 토대로 아래와 같이 이 둘에대한 비교표부터 만들어 보았습니다. 구  분제비꿀긴제비꿀학명Thesium chinenseThesium refractum영명East Asian thesiumLong-leaf thesium잎 길이1.5~4.5cm x 0.8~2.5mm3~5cm x 1~2.5mm꽃자루 비스듬히 서고 없거나 극히 짧음옆으로 퍼지고 길이 5~7mm꽃받침조각 길이2.5~3mm4~5mm열매 길이2mm3mm열매자루 길이3~5mm최대 10mm열매 표면그물맥5~10개의 세로맥열매 형태타원형 또는 광타원형, 거의 구형타원형 또는 난형  다음은 꽃의 구조입니다.제비꿀과 긴제비꿀 모두.. 2025. 3. 16.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식물들 비교 : 단풍나무, 당단풍나무, 섬단풍나무, 고로쇠나무, 털고로쇠나무, 만주고로쇠, 시닥나무, 청시닥나무, 신나무, 복자기, 복장나무, 부게꽃나무, 산겨릅나무, 네군도단풍, 자주네군도단풍, 개복장나무, 은단풍, 꽃단풍, 뜰단풍, 설탕단풍, 중국단풍, 공작단풍 우리나라 단풍나무속 식물들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단풍나무속은 Engler 분류체계로는 단풍나무과이지만 APG Ⅳ분류체계로는 무환자나무과입니다. 자생식물 : 단풍나무, 당단풍나무, 섬단풍나무, 고로쇠나무,                 털고로쇠나무, 만주고로쇠, 시닥나무, 청시닥나무,                  신나무, 복자기, 복장나무, 부게꽃나무, 산겨릅나무재배식물 ; 네군도단풍, 자주네군도단풍, 개복장나무,                  은단풍, 꽃단풍, 뜰단풍, 설탕단풍, 중국단풍, 공작단풍  다음은 이들에 대한 한국식물지의 검색표인데 내용 중 틀린부분은 붉은색 글자로 수정했습니다.신나무는 학명이 Acer tataricum subsp. ginnala인데 아래검색표에 있는 9번 분류군은 신나무의 .. 2025. 3. 16.
너도바람꽃 천마산 자락에 드디어 너도바람꽃이 폈습니다.작년보다 보름이나 늦었네요.   *** '바람꽃' 종류 비교 : 너도바람꽃, 변산바람꽃, 풍도바람꽃, 만주바람꽃,     나도바람꽃, 매화바람꽃, 바람꽃, 꿩의바람꽃, 홀아비바람꽃, 쌍동이바람꽃,     회리바람꽃, 태백바람꽃, 들바람꽃, 외대바람꽃, 국화바람꽃, 세바람꽃,      가래바람꽃, 바이칼바람꽃, 남바람꽃, 북바람꽃, 조선바람꽃     ==>  https://kualum.tistory.com/17045858 2025. 3. 15.
꿀풀과 누리장나무속 식물들 비교 : 누리장나무, 털누리장나무, 섬누리장나무, 꽃누리장나무, 당오동, 연화수 누리장나무속은 APG Ⅳ 분류체계로는 꿀풀과이지만 앵글러분류체계로는 마편초과입니다. 자생식물 : 누리장나무, 털누리장나무, 섬누리장나무재배식물 : 꽃누리장나무, 당오동, 연화수 등     ▼ 누리장나무 잎과 줄기에서 누린내가 난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한자로는취오동(臭梧桐)이라고도 합니다.   우리나라 강원특별자치도 및 황해도 이남 전체에 분포하는높이 2m에 이르는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꽃은 8~9월에 피며 양성화이고 취산꽃차례는 나비 24cm로새가지 끝에 달립니다.  꽃은 꽃술이 꽃 밖으로 길게 나와 있습니다.    꽃부리는 지름 3cm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이고흰색 또는 분홍색입니다.   꽃받침은 홍색이 돌고 부풀어 있으며 5각이 지고 5개로 깊게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또는 장난형입.. 2025. 2. 28.
꿀풀과 개차즈기속 식물들 비교 : 개차즈기 우리나라 꿀풀과 개차즈기속 식물로는 개차즈기가 유일하며자생식물입니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한해살이풀입니다.   "한글명 개차즈기는 쓸모없는 또는 흔해빠진 차즈기란 의미에서붙여진 이름이다. ...  꽃이 아주 자그마한 배암차즈기의 꽃과 같은이미지이고, 가지가 갈라지는 형태까지 닮았기 때문에 차즈기라는이름을 빌려온 것으로 보인다."는 게 '한국식물생태보감 1'의 설명입니다.   다음은 한국식물생태보감의 학명에 관한 소개입니다. 속명 아메티스테아(Amethystea)는 자색의 석영(石英) 아메티스토스(amethystos)란 의미의 희랍어에서 유래하며, 백색과 은은한 푸른빛을 띠는 꽃 색깔에서 비롯한다. 종소명 코에룰레아(coerulea)도 유리 같은 청명한 하늘빛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하며, 꽃 .. 2025. 2. 21.
꽃고비과 식물들 비교 : 꽃고비속, 풀협죽도속 꽃고비과 꽃고비속 식물들 비교 : 꽃고비, 가지꽃고비, 참꽃고비==>  https://kualum.tistory.com/17050052 꽃고비과 풀협죽도속 식물들 비교 : 풀협죽도, 드람불꽃, 꽃잔디==>  https://kualum.tistory.com/17050055 2025. 2. 17.
꽃고비과 풀협죽도속 식물들 비교 : 풀협죽도, 드람불꽃, 꽃잔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꽃고비과 풀협죽도속식물들은 모두 재배식물들로 총 42종이나 되는데 이중 표제3종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 풀협죽도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길가나 화단에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풀협죽도란 협죽도 같은 꽃이 달리는 풀이란 뜻입니다. (두산백과) 협죽도과 협죽도속의 협죽도(https://kualum.tistory.com/17049068)와는다른 식물입니다.   꽃은 홍자색 또는 흰색, 살몬색, 분홍색, 보라색 등 다양한색으로 핍니다. (한국화재식물도감) (한국화재식물도감)  꽃은 7~8월에 피는데 원줄기 끝에 둥근 원추꽃차례로 달립니다.  꽃부리는 통부분이 길이 2~4cm로 길고 위쪽이 5갈래로갈라지는데 갈래조각은 아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2025. 2. 17.
춘천 몽덕산 - 가덕산 - 삿갓봉 - 피자봉 - 토깽이봉 연계산행 ● 언   제  :  2025. 02. 16 (일)​​● 누구와  :  나 홀로● 어   디  :  춘천 몽덕산 - 가덕산 - 삿갓봉 - 피자봉 - 토깽이봉 ● 코   스  :  홍적종점 - 몽덕산 - 가덕산 - 삿갓봉 - 피자봉 - 토깽이봉                   - 매운탕골 - 춘천댐 ​​●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 : 15.8 km.  7시간 39분   ​​● 교통편   ​​● 날씨    오늘은 몽덕산 - 가덕산 - 삿갓봉 - 피자봉 - 토깽이봉을 연계해서산행하기로 합니다.  ▼ 0635  경춘선 가평역  전철 경춘선을 타고 가평역에 내린 후 1번 출구로 나옵니다.오늘의 출발지인 홍적종점으로 가기 위해서는 길 건너편에서화악리행 15-4번 버스를 타야 합니다.    ▼ 0645  버스 탑승 한동.. 2025. 2. 17.
꽃고비과 꽃고비속 식물들 비교 : 꽃고비, 가지꽃고비, 참꽃고비 우리나라 꽃고비과 꽃고비속 식물들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생식물 : 꽃고비, 가지꽃고비재배식물 : 참꽃고비 외 5종 이들 3종에 대한 동정 포인트를 명확히 제시해주고 있는 자료를 찾지 못했기에 아래 내용에는 개인적인 추정이 상당 부분 개진되어 있습니다.따라서 아래에서 가지꽃고비와 참꽃고비에 대한 소개는단순히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 꽃고비 우리나라 함경남 · 북도, 평안북도 등의 북부 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랍니다.   "식물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고 다만 이 식물잎이 고비 잎과 닮은 구석이 있고 꽃이 피어 있으니 꽃고비라고부른 것이 아닌가 추측할 뿐이"라고 합니다.(약업신문, https://www.yakup.com/pharmplus/index.html?mode=view&ni.. 2025.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