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방태산에서 찍었던 분취 종류 중 서덜취와 각시서덜취, 꼬리서덜취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기에 차제에 다시 한 번 이들을 정리해봅니다.
이 셋은 모두 잎 양면에 털이 있고 개화 시에 뿌리잎은 말라 없어집니다.
구 분 | 잎 모양 | 잎의 털 |
총포 모양 |
총포편 모양 | 분포지 | 기 타 |
서덜취 |
난형, 난상삼각형. 끝 뾰족. 뒷면 약간 흰빛 |
양면에 털 | 종형, 끝 약간 좁음 |
7-10줄. 외편 넓은 달걀모양이고 흑색 |
전국 심산지역 | |
각시서덜취 |
난상삼각형. 끝 꼬리처럼 뾰족. |
양면에 털 약간 |
통형 |
6-7줄. 중편이 꼬리처럼 길어짐. 외편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 |
전국 심산지역 | 중편 가장자리에 털 |
꼬리서덜취 |
난형, 난상삼각형. 끝 뾰족. 뒷면 약간 흰빛 |
양면에 털 | 종형. 끝 약간 좁음 |
7-10줄. 외편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젖혀지며 흑색임 |
전국 심산지역 | 내편에 자줏빛 돎 |
홍도서덜취 | 콩팥 모양 | 양면에 털 약간 | 외편 뒷면 녹색, 1맥 | 전남 신안군 | ||
빗살서덜취 | 잎과 총포 중편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짐 |
0. 서덜취
잎 끝이 꼬리처럼 길기에 혹시 각시서덜취가 아닌가 싶었지만 아래 두 사진에서
보듯이 총포의 외편이 넓은 달걀형이라서 서덜취로 동정합니다.
서덜취도 포편 끝이 약간은 뒤로 젖혀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얘는 잎 앞면에 털이 없어 보이는군요.
아래는 같은 날 같은 산에서 찍은 겁니다.
얘는 포편 끝이 위의 것보다 덜 길고 덜 젖혀졌네요.
그래도 외편은 넓은 달걀형입니다.
얘는 잎 앞면에도 털이 있습니다.
0. 각시서덜취
아래 두 사진에서 보면 외편이 확실히 피침형으로 넓은 달걀형인 서덜취와
차별화됩니다.
중편 끝이 길어져 젖혀져 있구요.
중편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고 하는데 아래에서는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네요.
잎 끝이 꼬리처럼 깁니다.
0. 꼬리서덜취
꼬리서덜취도 각시서덜취처럼 중편 끝이 길어져서 젖혀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단지 아래 사진들에서 보듯이 외편이 중편보다 훨씬 더 길다는 게 각시서덜취와
다르지요.
어떤 자료에도 이런 차이점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기에 확신할 수는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생각된다는 얘기입니다.
이상에서 보듯이 잎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느냐 아니면 그냥 뾰족하기만
하느냐 하는 건 개체마다 변이가 좀 있는 것 같습니다.
잎의 털이나 형태 등도 마찬가지구요.
그러니 이것들을 기준으로 이 셋을 구분하려 시도하는 데는 좀 무리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이상의 관찰결과를 토대로 개인적으로 아래와 같은 검색표를 만들어보았습니다.
1. 총포 외편이 중편보다 훨씬 더 길다. ---------------------- 꼬리서덜취
1. 총포 외편이 중편보다 짧다.
2. 외편이 넓은 달걀형이다. ----------------------------- 서덜취
2. 외편이 피침형 또는 달걀꼴 피침형이다. ----------------- 각시서덜취
관찰결과가 맞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울고랭이, 새, 큰기름새, 갈대, 묏억새 (0) | 2014.09.15 |
---|---|
가야산은분취, 그늘취, 백운취, 덤불취 (0) | 2014.09.15 |
북방산비장이, 버들분취 (0) | 2014.09.14 |
돼지풀, 가시여뀌, 참배암차즈기 (0) | 2014.09.14 |
나도송이풀, 들깨풀, 가는잎왕고들빼기 (0) | 2014.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