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분 | 잎 모양 | 잎자루 | 잎 톱니 | 꽃받침 |
외 풀 | 달걀형, 삼각상 좁은 달걀형 | 짧음 | 둔한 톱니 | 얕게 5개로 갈라짐 |
논 뚝 외 풀 |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 | 없음 | 낮고 편평한 톱니 | 깊게 5개로 갈라짐 |
밭 뚝 외 풀 | 긴 타원형 (3~5맥 뚜렷) | 없음 | 없음 | |
미 국 외 풀 | 긴 타원형 | 없음 | 2~3쌍의 톱니 | |
가는미국외풀 | 달걀형 또는 타원형 (3~5맥 뚜렷) | 없음 | 2쌍 내외의 둔한 톱니 | |
참 새 외 풀 | 긴 타원형, 긴 타원상 피침형 등 | 짧고 넓음 | 있음 (7쌍 정도) | |
국생지에서 미국외풀을 검색하면 가는미국외풀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전자가 가는미국외풀로 통합된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서는 일단 둘이 서로 다른 것으로 보고 설명하기로 합니다. |
▼ 외풀
외풀은 한 번도 본 적이 없어 사진이 없네요.
국생지에 올라와 있는 사진을 필요한 부분만
확대 후 캡처해 보았습니다.
우선 외풀의 잎 모습에 대해 국생지에서는
"달걀모양, 삼각상 좁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
이라고 하고 있는데 "넓은 난형"이라고 하는
자료도 있습니다.
그만큼 잎 모습이 다양하다는 얘기인데 아래
사진 속 잎은 넓은 난형 쪽입니다.
다른 외풀 종류들은 모두 꽃받침이 깊게 갈라
지는데 유독 외풀만은 아래 사진 속에서처럼
얕게 갈라집니다.
그러니 잎 모습만으로 외풀을 가려내기 까다로운
경우에는 꽃받침을 참조하면 쉽게 구분해 낼 수
있을 겁니다.
▼ 밭뚝외풀
밭뚝외풀은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게
특징인데 아래 사진에서 잎 뒷면을 보니
톱니가 전혀 없다기보다는 거의 없다고 하는
게 맞을 것 같군요.
꽃받침은 깊게 갈라집니다.
꽃은 연한 홍자색입니다.
잎은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3~5개의
나란히맥이 있습니다.
▼ 밭뚝외풀 2
아래의 것도 밭뚝외풀입니다.
꽃은 연한 홍자색인데 욘석은 거의 흰색이네요.
역시 톱니가 전혀 없다고는 볼 수 없네요.
▼ 논둑외풀
잎이 피침형인 게 특징입니다.
▼ 미국외풀
밭뚝외풀은 잎몸이 장타원형으로 톱니가 없고
논뚝외풀은 잎몸이 피침형 또는 긴 장타원형으로
톱니가 낮으며 외풀은 잎몸이 삼각상 난형으로
톱니가 낮은데 비해 미국외풀은 잎몸이 대개 도란형으로
가장자리에 2~3쌍의 뚜렷한 톱니가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 가는미국외풀
미국외풀에 비해 전체가 가늘고, 잎은 난형이며,
꽃자루가 가늘고 포보다 길어서 구분됩니다.
▼ 참새외풀
국생지에는 올라와 있지 않은 종입니다.
남부지방과 제주도에서 주로 자라지만
경기도에서도 확인된 바가 있다고 하네요.
개인적으로는 한 번도 본 적이 없습니다.
잎은 "장타원형, 장타원상 피침형, 타원상
도피침형, 선상 피침형 등"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비학술적으로 설명하자면 다른 외풀 종류들의
잎보다 폭에 비해 길이가 길고 톱니가 날카롭
다는 게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참새외풀 사진
에서 본 잎에 대한 소감입니다. (아래 사진도
참조)
잎자루가 짧고 넓다고 하니까 이 점도 참고해
보면 좋을 듯싶습니다.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밥나물 (Hieracium umbellatum L.) (0) | 2021.08.18 |
---|---|
밭뚝외풀 (Lindernia procumbens (Krock.) Philcox) (0) | 2021.08.18 |
두메담배풀 (Carpesium triste Maxim.) (0) | 2021.08.18 |
참나물 (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0) | 2021.08.18 |
오리방풀 (Isodon excisus (Maxim.) Kudô) (0) | 2021.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