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 제 : 2023. 09. 10(일)
● 누구와 : 나홀로
● 어 디 : 남양주시 복두산 - 철마산 - 내마산 - 시루봉 - 주금산
● 코 스 : 오남소방서 버스정류장 - 체육쉼터 - 복두산 - 천마산/철마산 갈림길
- 초당 갈림길 - 철마산 - 길재 - 신창아파트 갈림길 - 내마산
- 수산리 갈림길 - 팔야리 갈림길 - 내방리 갈림길 - 시루봉
- 비금리 갈림길 - 철탑 - 음현리 갈림길 - 헬리포트 - 팔각정
- 몽골문화촌 갈림길 - 주금산 - 3코스 (내촌면사무소 하산길)
- 독바위 - 양쪽바위 - 쉼터바위 - 임도 - 내촌면사무소
- 내1리, 내촌축협앞 버스정류장
●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 :22.66 km. 11시간 50분
● 이동시간 및 소요비용
오늘은 남양주시에 있는 복두산, 철마산, 내마산, 시루봉, 주금산 등 봉우리
5개를 연계산행할 겁니다.
우리 동네에 있는 '오남소방서, 두산아파트, 오남고등학교' 버스정류장이
출발지점입니다. (좌석, 2000번, 100번, 일반 202번, 9번, 10번 등이 이곳 경유)
아침에 일어나니 몸 상태가 썩 좋질 않아 그걸 핑게로 오늘 산행은 포기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가도 다시 부실한 신체를 다스리는 데는 아무래도 집콕보다는
등산이 나으리란 생각이 들어 결국은 느지막이나마 집을 나섭니다.
▼ 0950 출발지점
버스에서 내려 버스 진행 방향에 있는 사거리에서 우회전을 합니다.
▼ 0952 오남고등학교
곧바로 나오는 오남고등학교 정문 앞에서 좌측으로 갑니다.
▼ 0953
오남고등학교 담장 끝에서 우측 산길 소로로 들어섭니다.
▼ 0956
학교 철책 끝에서 우측으로 갑니다.
이후 길만 따라가다 능선에 올라서서 좌측으로 가면 됩니다.
▼ 1026 체육쉼터
체육쉼터를 만나면 우측 내리막 쪽으로 갑니다.
▼ 1059 복두산
진행 방향으로 계속 직진합니다.
▼ 1138 송암봉
평소에 제가 운동 삼아 이쪽 산을 오를 때의 반환점이 이곳입니다.
집에서 출발해서 이곳까지 왔다가 다시 되돌아가면 3시간 정도 걸립니다.
봉우리도 아니고 별도로 이름이 있지도 않은데 이곳에 바위와 소나무가
있다는 단순한 이유만으로 개인적으로 송암봉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 1151 천마산/철마산 갈림길
오늘은 여기서 철마산 쪽으로 진행합니다.
▼ 1158 초당 갈림길
▼ 1221 작은 무명 암봉
▼ 1230 삼각점 (성동 427)
▼ 1231 철마산 (711m)
▼ 1240
정상에서 주금산 방향으로 갑니다.
▼ 길재
▼ 등산로들
▼ 1332 신창아파트 갈림길
▼ 등산로들
▼ 1354 내마산 (774.5m)
철마산보다 더 높은데 정상석은 없습니다.
▼ 1416 주의지점 1
아래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에서 이정표 화살표가 가르키는 주금산 방향은
직진 쪽인데 정작 가야 할 길은 좌측입니다.
이곳 폐타이어에 누군가 친절하게도 주금산 방향 표시를 해 두었기에
초보자에게는 크게 도움이 될 겁니다.
▼ 1446 주의지점 2
좌측에 쓰러진 고목이 길을 가로지르고 있는 갈림길에서도 가야 할 주금산
방향은 직진 쪽이 아니라 좌측입니다.
좌측에 리본도 하나 매달려 있고
작은 돌 위에 화살표도 있습니다.
▼ 1456 팔야리 갈림길 1
▼ 1506 팔야리 갈림길 2
▼ 1510 묵은 헬리포트
▼ 1519 쉼터
▼ 1524 내방리 갈림길
▼ 1607 시루봉 (651m)
이곳도 내마산처럼 정상석이 없습니다.
▼ 1611 주금산 정상 원경
▼ 1619
잠시 쉬었다가 주금산 방향으로 길을 잇습니다.
▼ 등산로들
▼ 1630 등산로 위 장애물
이 나무에 이마를 찧어 상처가 났네요. ㅠㅠ
▼ 1633 비금리 갈림길
여기서 좌측으로 갑니다.
▼ 1637 철탑
▼ 1639 음현리 갈림길
▼ 등산로 옆 풍경들
▼ 1701 헬리포트
▼ 1702 독바위와 팔각정
▼ 1708 몽골문화원 갈림길
▼ 1720 주금산 정상
이곳에는 정상석이 2개나 있습니다.
하나는 포천시에서, 다른 하나는 가평군에서 각각 세운 것입니다.
일몰 시간이 멀지 않은 것 같아 곧바로 하산에 돌입합니다.
하산은 3코스로 할 건데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왔던 길로 되짚어가야
합니다.
▼ 1735 3코스 이정표
아래 이정표에서 내촌면사무소 방향으로 우회전합니다.
▼ 1737 독바위 앞
2분 후 만나는 암괴 앞에서 하산 길은 좌측입니다.
우측 길로 직진을 하면 독바위에 오를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독바위야
이전에 자주 올라가 보았고, 또 올라가 봐야 특별한 조망도 없기에 이번에는
그냥 통과하기로 합니다. (파란색 하산로, 빨간색 독바위 가는 길)
그래도 살짝 아쉬운 마음이 들어 독바위 오르는 계단 정도 디카에
담아 보았습니다.
하산로는 독바위 앞에서 좌측으로 잠시 멀어집니다.
▼ 1741
그러다가 얼마 안 가 다시 독바위 밑자락으로 붙습니다.
하산로는 독바위 끝부분에서 다시 좌측 긴 돌길로 이어지는데 돌길인지라
뚜렷한 등산로 궤적은 없지만 보조 로프의 친절한 안내 덕분에 알바는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1750
이후의 하산 길 찾기는 이정표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 1805 양쪽바위
▼ 1812 쉼터바위
▼ 1832 임도 접점
등산로가 임도를 만나는 곳에서는 좌측으로 갑니다.
▼ 1833 내촌면사무소 갈림길
몇 미터 못 가 우측에 서 있는 이정표를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이정표에서 임도를 버리고 내촌면사무소 쪽으로 우회전해야 하거든요.
▼ 1844
드디어 등산로를 벗어납니다.
▼ 1846
다음 갈림길에서 이정표 안내대로 좌측으로 갑니다.
▼ 1853
다음 갈림길에서는 우측으로 가야 합니다.
▼ 1855 등산안내도
▼ 1908 내촌로 접점
주도로인 내촌로를 만나면 좌측으로 갑니다.
▼ 1908 내촌면사무소
곧바로 내촌면사무소가 나타납니다.
▼ 1911 내촌삼거리
▼ 1913 내1리, 내촌축협앞 버스정류장
이제 내촌삼거리 길 건너편에 있는 버스정류장에서 나를 집으로 실어다줄
버스를 기다릴 일만 남았군요.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향나무 (0) | 2023.09.14 |
---|---|
눈향나무 잎 (바늘잎과 비늘잎) (0) | 2023.09.13 |
주름조개풀 (0) | 2023.09.12 |
붉은호장근 --> 호장근 (0) | 2023.09.12 |
닭의덩굴속 식물들 비교 : 호장근, 왕호장근, 감절대, 하수오, 삼도하수오, 나도하수오, 닭의덩굴, 큰닭의덩굴, 나도닭의덩굴 (0) | 2023.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