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

'미나리아재비' 종류 비교 : 미나리아재비, 기는미나리아재비, 긴잎미나리아재비, 만주미나리아재비, 물미나리아재비, 바위미나리아재비, 북미나리아재비, 산미나리아재비, 왜미나리아재비, 털미나리아재비, 유럽미나리아재비, 좀미나리아재비

by 심자한2 2025. 5. 20.
자생식물
미나리아재비, 기는미나리아재비, 긴잎미나리아재비, 만주미나리아재비,

물미나리아재비, 바위미나리아재비, 북미나리아재비, 산미나리아재비,
왜미나리아재비, 털미나리아재비

외래식물
유럽미나리아재비, 좀미나리아재비

 

 

다음은 한국식물지에 있는 검색표입니다.

 

 

 

속명 Ranunculus은 라틴어로 '작은 개구리'를 의미하는데 이 작명은

아마도 속내 상당수 종들이 개구리처럼 물가에서 자라고 있는 데서

연유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위키피디아)


 

 

 

 

 

▼ 미나리아재비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

 

 

 

높이 50~70cm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독성이 강해 유럽과

미국에서는 소나 말이 먹고 죽은 예가 있다고 합니다.

 

 

 

이름에 '미나리'라는 말이 들어가 있지만 미나리는 미나리과

미나리속이고 미나리아재비는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으로

서로 소속이 다릅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서 취산상으로 갈라진 꽃자루에 1개씩

달립니다.

 

 

 

꽃잎은 5장으로 노란색이고 길이가 꽃받침의 2~2.5배쯤이며  도란상

원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고 광택이 있으며 암술과 수술은 많습니다.

 

 

 

꽃받침조각은 5장이고 타원형으로 털이 있고 수평으로 퍼지며 안으로

오목합니다.

 

 

 

뿌리잎은 모여나기하고 잎자루가 길며 오각상 원심장형으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흔히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도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를 포함한 식물체 전체에 흰색의 퍼진 털이 많습니다.

 

 

 

긴 잎자루 아래쪽이 넓어집니다.

 

 

 

줄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있지만 위쪽 잎에는 없으며 2~3개로

깊게 갈라집니다.

 

 

 

줄기 위쪽 잎은 갈래조각이 선형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니 잎 하나는 2개로 갈라지고 다른 하나는 3개로

갈라졌네요.

 

 

 

잎 양면에 털이 밀생합니다.

 

 

 

잎자루 밑부분이 넓어져서 줄기를 감쌉니다.

 

 

 

줄기 아래쪽(위 사진)에는 퍼진 털이 많지만 위쪽(아래 사진)에는 

없습니다.

 

 

 

수과는 도란상 원형이고 약간 편평하며 털이 없고 끝에 짧은 돌기가

있으며 다수가 모여서 별사탕 모양의 열매덩이를 이룹니다.

 

(중국식물도감)

 

 

 

 

 

▼ 바위미나리아재비

 

우리나라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입니다.

 

 

 

고산 지대의 습하고, 바위가 많은 풀밭에서 자라며 기는줄기는 

없습니다.

 

 

 

미나리아재비는 키가 50~70cm인 데 비해 바위미나리아재비는 10cm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뿌리잎은 3개로 갈라지고, 깊게 파여 있거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날카롭고 잎자루가 깁니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고 3개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선형입니다.

 

 

 

식물체 전체에 갈색 털이 밀생합니다.

한국식물지는 검색표에서는 줄기에 흰색과 노란색 털이 섞여 난다고

하면서 기재문에서는 갈색 털이 밀생한다고 하고 있는데 검색표 내용이

틀린 것으로 생각됩니다.

미나리아재비는 흰색 털이 밀생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 왜미나리아재비

 

계룡산 및 강원특별자치도 이북의 산지(해발 약 1,000m)에서 자랍니다.

 

(국립공원공단 생물종정보 : 식물)

 

 

 

 

키는 10~20cm 정도이고 줄기에 털이 약간 있습니다.

미나리아재비는 높이 50~70cm이고  줄기에 퍼진털이 빽빽히 나는

점이 다릅니다.

 

                                                                                                            (植物通)

 

 

열매는 둥근 수과로 길이 2mm쯤이고 통통하며 짧은 털이 밀생하고

열매에 남아 있는 암술대는 짧으며 꼬부라집니다.

미나리아재비는 열매에 털이 없습니다.

 

(Плантариум)

 

 

 

 

 

 

▼ 만주미나리아재비

 

우리나라 북부 지방에서 자랍니다.

 

아래 두 표는 차례대로 한국식물지의 관련 검색표와 미나리아재비와

만주미나리아재비의 기재문 내용 요약입니다.

 

5. 수과는 렌즈 모양이고 털이 없음.
    6. 기는줄기 있고 뿌리잎은 거의 없음 --------------------------- 만주미나리아재비
    6. 기는줄기 없고 뿌리잎은 보통 다수
        7. 줄기에 퍼진 털
            8. 줄기 높이 0.3~1m; 털은 흰색;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 --- 미나리아재비
            8. 줄기 높이 3~20cm; 털은 흰색과 노란색이고 밀생;               
                한라산 고산지대에 분포 ---------------------------------- 바위미나리아재비

        7. 줄기에 누운털 ------------------------------------------------------ 산미나리아재비
구  분 미나리아재비 만주미나리아재비
뿌리잎 개수 3~6개 거의 없음.
꽃자루 길이 1.5~4cm 2cm
꽃 지름 2~2.5cm 1~2cm
꽃받침조각 수 5개 5~6개
꽃받침조각 길이 1.4~1.7cm 약 2cm
꽃밥 타원형 좁은 난형
열매 지름 4~6mm 3~5mm
종자 난형 난상 구형
염색체 수 2n = 14 2n = 28, 42
분포 전국 북부 지방
식물체 털(국립생물자원관) 흰 털 퍼진 거센털

 

 

요컨대 미나리아재비는 식물체 전체에 흰 털이 나고 기는줄기는

없으며 뿌리잎은 다수인 데 비해 만주미나리아재비는 식물체

전체에 퍼진 거센털이 나고 기는줄기가 있으며 뿌리잎은 거의

없다는 점이 다릅니다.

 

(Dreamstime)

 

 

꽃은 지름이 1~2cm로 2~2.5cm인 미나리아재비보다 작습니다.

 

 

 

식물체에 퍼진 거센털이 있습니다.

아래는 차례대로 줄기 위쪽과 아래쪽 모습입니다.

 

 

 

 

 

 

 

▼ 기는미나리아재비

 

북부 지방인 함경북도에서 자랍니다.

대부분의 미나리아재비 종류들은 줄기가 직립하는데 욘석은 줄기가

을 기고 윗부분이 비스듬히 서는 게 특징입니다.

 

 

 

뿌리잎은 3출엽으로 작은잎은 다시 3갈래로 깊게 갈라집니다.

다른 미나리아재비 종류들은 뿌리잎이 홑잎이라서 구분됩니다.

 

 

 

줄기잎은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고 밑부분이 넓어져 줄기를

감싸며 뿌리잎보다 작습니다.

 

 

 

잎 양면에는 압모가 성기게 납니다.

 

 

 

줄기는 땅 위를 기며 윗부분이 비스듬히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은

거의 없거나 잔털이 듬성듬성 있습니다.

 

 

 

기는줄기 마디에서 뿌리를 내립니다.

 

 

 

 

 

 

 

▼ 산미나리아재비

 

북부 지방의 고산 지대에 분포합니다.

두산백과에서는 경기도에서도 자란다고 하고 양산시의 디지털양산

문화대전에서는 "양산시 영축산 단조늪과 천성산 밀밭늪 등지에"서도

자란다고 하고 있습니다.

http://yangsan.grandculture.net/yangsan/toc/GC01401722 )

 

(중국식물지)

 

 

 높이 20~35(~60)cm인 여러해살이풀입니다.

 

(lookphotos)

 

 

꽃은 6~8월에 황금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꽃대가 깁니다.

 

(Flora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꽃받침잎은 5장으로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잎은 5장으로 넓은 도란형입니다.

 

(Flora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뿌리잎은 모여나고 잎자루가 길며 양면에 흰 털이 있습니다. 

잎몸은 신장형으로 3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다시 2~3개로

갈라집니다.

 

                                                                                            (위키피디아)

(Inside EWU. - Eastern Washington University)

(Inside EWU. - Eastern Washington University)

 

 

줄기잎은 2~5장이고 보통 3~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좁은

선형으로 끝이 뾰족합니다.

 

(Dreamstime.com)

(Dreamstime.com)

 

 

잎자루는 줄기 위쪽으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다가 없어집니다.

 

(Flora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미나리아재비는 줄기에 털이 직각으로 퍼져 나는 데 비해 산미나리아재비는

위로 비스듬히 눕는다는 게 다릅니다.

 

                                     (Inside EWU. - Eastern Washington University)

 

 

한 자료를 보니 줄기 속이 비어 있다고 하네요.

 

(NatureSpo)

 

 

열매는 수과로 달걀모양이고 길이 2mm이며 구형으로 모여 납니다.

 

(bgflora.net)

 

 

 

 

 

 

▼ 북미나리아재비

 

북부 지방에서 자랍니다.

 

(중국식물도감)

 

 

반수생식물입니다.

 

(중국식물도감)

 

 

꽃받침조각은 원꼴 난형으로 털이 없습니다.

 

(중국식물도감)

 

 

꽃잎은 5개이고 도란형입니다.

 

(중국식물도감)

 

 

 

뿌리잎은 심장상 오각형 내지 원꼴 신장형이고 3개로 갈라지며

정소엽은 갈라지지 않거나 3개로 갈라지고 측소엽은 갈라지지

않거나 2개로 갈라지며 끝이 둥글고 밑은 심장형입니다.

 

(国家生态系统观测研究网络)

(중국식물도감)

 

 

아래 세밀화에서 1~4번이 북미나리아재비입니다.

줄기잎도 뿌리잎과 모양이 같으나 크기가 작습니다.

기는줄기가 있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는 점도 특징 중 하나입니다.

 

                                                                                                  (중국식물도감)

 

 

 

 

 

▼ 물미나리아재비

 

우리나라 북부 지방의 얕은 물가에서 자랍니다.

 

(Minnesota Wildflowers)

 

 

꽃은 6-7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줄기 끝이나 상부의 잎겨드랑이에서

꽃봉오리가 1~4개씩 달리는데 개화는 한 번에 한 개씩만 합니다.

꽃받침조각은 4~5개이고 꽃잎은 보통 5개입니다. (Minnesota Wildflowers)

꽃받침조각은 난형이고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수술과 암술은 많습니다.

 

(중국식물도감)

 

 

꽃잎은 보통 5개이나 위 사진 우측 하단에서 보듯이 간혹 4개

짜리도 있고 최대 14개까지 달리기도 합니다. (Minnesota Wildflowers)

 

(중국식물도감)

 

 

대부분의 잎들은 물 위에 떠 있는데 잎몸이 준원형 내지 신장형이고

3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래조각은 다시 1~2회 더 가늘게 갈라져

손바닥 형상을 이루고 끝이 둥급니다.

 

(중국식물도감)

(Minnesota Wildflowers)

 

 

물 속에 가라않아 있는 잎은 보통 물 위에 떠 있는 잎보다 더 크고

더 잘게 갈라져 갈래조각이 선형이 되는데 간혹 실처럼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Minnesota Wildflowers)

 

 

 

 

 

▼ 긴잎미나리아재비

 

중국식물지에 의하면 중국 헤이룽장성과 내몽고에서 자란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자생식물로 등재되어

있는 걸 보면 아마도 북부 지방 어딘가에서 자라고 있나 봅니다.

 

(중국식물도감)

 

 

다른 미나리아재비 종류들과는 달리 이름 그대로 잎이 피침형

내지 선형이라 쉽게 구분이 됩니다.

뿌리잎은 개화 시 시들며 잎 밑부분은 줄기를 감쌉니다. (중국식물지)

 

                                                                                         (중국식물도감)

 

 

 

 

 

▼ 털미나리아재비

 

줄기와 잎자루에 퍼진털이 밀생하고 꽃자루와 꽃받침에 압모가

밀생하며 잎 뒷면에도 털이 있는 게 특징입니다. (중국식물지)

 

(중국식물도감)

 

 

 

 

 

▼ 좀미나리아재비

 

북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등지에

분포하는 외래식물로 한 네티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는 경기도

안산에서 자라고 있다 합니다. (https://cafe.naver.com/zmsrlf33349894545/21117?art=ZXh0ZXJuYWwtc2VydmljZS1uYXZlci1zZWFyY2gtY2FmZS1wcg.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jYWZlVHlwZSI6IkNBRkVfVVJMIiwiY2FmZVVybCI6Inptc3JsZjMzMzQ5ODk0NTQ1IiwiYXJ0aWNsZUlkIjoyMTExNywiaXNzdWVkQXQiOjE3NDc2ODY1NDA3ODZ9.-IEPKI4iRoK1zzoQJUNkKTKaeyZkEu7eoJkjiwRyDo0)

 

(OregonFlora)

(Kew)

 

 

국생지에서는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룬다고 하고 있는데 이는 잎과

마주나는 꽃의 전체 모습이 총상꽃차례처럼 보인다는 말로 이해됩니다.

꽃대가 긴 것도 특징 중 하나입니다.

 

                                                                                      (Herbari Virtual)

 

 

꽃잎은 길이 5~8mm이며 도란형이고, 광택이 있습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4~8개입니다.

 

(OregonFlora)

 

 

꽃받침조각은 5개로 좁은 난형이고 꽃자루와 더불어 압모가 있습니다.

 

(OregonFlora)

 

 

잎은 마주나며 근생엽은 나비 3~8mm이고 긴 엽병이 있으며 잎몸은

난형으로 기부까지 3개로 전열하고 각 열편은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최종 열편은 선형 또는 장 타원형입니다.

 

(Herbari Virtual)

(Pladias)

 

 

열매는 수과로 수과 4~8개씩 모여나고 편평하며 길이 5~8mm입니다.

옆면에는 자상돌기가 있고 끝에 수과 1/2 크기 정도의 송곳 모양

부리가 있습니다.

 

(Kew)

(Kew)

 

 

 

 

 

▼ 유럽미나리아재비

 

북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의 목장

주변에서 자라는 외래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를 중심으로

급속하게 퍼져 나가고 있다 합니다. 

 

(Species information)

(위키피디아)

 

 

꽃잎은 5개로 좁은 도란형이고 광택이 있습니다.

 

(Weeds of Melbourne)

 

 

꽃받침조각은 5개로 좁은 난형이고 꽃잎보다 짧으며 뒤로 젖혀지고

겉에 털이 산생합니다.

 

(Centex Naturalist)

 

 

잎은 마주나며 줄기 아래쪽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콩팥 모양 또는

심장상 원형으로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털이 없습니다. 줄기잎은 난형으로 3개로 중간 정도까지 갈라지고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다가 없어집니다.

 

 

(http://www.teline.fr,)

 

 

열매는 수과로 15~25개씩 모여 나고 편평하며 길이 5~8mm입니다.

표면에 길이 4mm의 자상돌기가 다수 있고 끝에 길이 2~3mm의 굽은

부리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털은 없습니다.

 

(Species information)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백제비꽃, 흰 민둥뫼제비꽃, 흰 갑산제비꽃 비교 : 갑산제비꽃에 관한 의문  (6) 2025.05.17
뫼제비꽃  (1) 2025.05.17
산장대  (0) 2025.05.17
쥐오줌풀  (0) 2025.05.17
벌깨덩굴  (0) 2025.05.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