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곽향4

곽향속 식물들 비교 : 곽향, 덩굴곽향, 개곽향, 섬곽향 곽향속 식물에는 곽향, 덩굴곽향, 개곽향, 섬곽향 등 4가지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덩굴곽향과 개곽향은 보았지만 나머지 두 개는 한 번도 보질 못했네요. 본 것부터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한의학에서 말하는 곽향(藿香)은 배초향의 지상부로 만든 약재로 식물명 곽향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는 점부터 알려 드립니다. ▼ 덩굴곽향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 식물체가 덩굴성이 아닌데 왜 덩굴이란 말이 들어갔나 모르겠습니다. 국생지에서는 덩굴곽향의 "땅속줄기가 길게 옆으로 뻗는다."라고 명기하고 있는데 이 점이 덩굴곽향의 유래가 아닐까 짐작만 해 봅니다. 곽향의 땅속줄기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는데 아마도 옆으로 뻗지 않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래야 덩굴곽향에 덩굴이란 말이 들어간 의미가 있을 테니까요. 꽃은 원.. 2021. 7. 31.
개곽향 (Teucrium japonicum Houtt.) 내 기억이 맞다면 야생에서는 처음 봅니다. 곽향이나 덩굴곽향은 꽃이 총상꽃차례에 다소 엉성하게 달리는 데 개곽향은 조밀하게 달라는 점이 다릅니다. 꽃잎은 연한 홍색이고 입술형인데 윗입술꽃잎은 깊게 둘로 갈라지고 아랫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져 중앙열편이 길게 앞으로 나오는 점은 곽향이나 덩굴곽향과 같습니다. 꽃받침은 털이 거의 없으나 윗부분에 털이 다소 있기도 하고 간혹 샘털도 섞여 있습니다. 유사한 덩굴곽향은 꽃받침 전체에 샘털이 밀생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입니다. 곽향과 덩굴곽향은 잎 밑부분이 예저인데 개곽향은 둥글거나 편평하다는 점도 차이점 중 하나입니다. 잎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성글게 있습니다. 줄기는 네모지고 밑으로 굽은 잔털이 있습니다. 곽향속 식물들 비교 ==>.. 2021. 7. 30.
개곽향 (Teucrium japonicum Houtt.) 울릉도,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한다고 하는데 야생에서는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네요. 꽃이 딱 한 송이 피었더군요. 수술은 4개인데 그중 2개가 보다 더 깁니다. 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거나 편평합니다.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성글게 있습니다. 줄기는 네모지고 밑으로 굽은 잔털이 있습니다. 2021. 7. 19.
개곽향 꽃은 줄기 윗부분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립니다. 끝물이라서 꽃이 몇 송이 달리지 않았는데 원래는 아래처럼 풍성하게 달립니다. 꽃부리는 입술형인데 윗입술이 깊게 갈라지고 아랫입술이 큽니다. 암술과 수술이 꽃잎 위로 길게 솟아 있어 쉽게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습니다.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있습니다. 줄기는 네모지고 밑으로 굽은 잔털이 있습니다. 유사한 덩굴곽향은 꽃차례가 성글고 꽃받침에 샘털이 밀생합니다. 아래는 덩굴곽향의 꽃차례와 꽃받침 모습입니다. 2020.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