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삼5

배암차즈기속 식물들 비교 : 배암차즈기, 참배암차즈기, 둥근배암차즈기, 단삼, 깨꽃, 살비아, 파인애플세이지, 퍼플세이지, 클라리세이지, 실버세이지, 오텀세이지, 청세이지 자생식물 : 배암차즈기, 참배암차즈기, 둥근배암차즈기 재배식물 : 깨꽃, 단삼, 살비아, 파인애플세이지, 퍼플세이지, 클라리세이지, 실버세이지, 오텀세이지, 청세이지 등 ▼ 배암차즈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약간 습기 있는 들판, 논둑이나 개울가 등지에서 자랍니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연한 보라색입니다. 다른 배암차즈기속 식물들에 비해 두해살이풀이며 꽃은 봄에 피므로 구분됩니다. 꽃부리는 작은 입술 모양입니다. 암술은 1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면 꽃부리 밖으로 나옵니다. 수술은 4개지만 2개만 완전하다고 하는데 이 말의 뜻을 모르겠네요. 국생지에서는 이 말 대신에 "수술은 2개이고 꽃밥부리가 앞뒤로 비슷하게 수술대처럼 자란다."고 표현하고 있.. 2023. 5. 29.
단삼 *** 배암차즈기속 식물들 비교 : 배암차즈기, 참배암차즈기, 둥근배암차즈기, 단삼, 깨꽃, 살비아, 파인애플세이지, 퍼플세이지, 클라리세이지, 실버세이지, 오텀세이지, 청세이지 ==> https://kualum.tistory.com/17047692 2023. 5. 28.
단삼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약용식물로 재배합니다. 꽃은 자주색이고 줄기 끝에 층층으로 달립니다. 꽃대와 꽃받침에 샘털이 밀생합니다. 잎은 3~5(7)장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고 작은잎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2022. 6. 3.
단삼 (Salvia miltiorrhiza Bunge)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약용식물로 재배합니다. 꽃은 자주색이고 줄기 끝에 층층으로 달립니다. 꽃대와 꽃받침에 샘털이 밀생하고 포는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꽃자루보다 짧습니다. 꽃부리에도 샘털이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꽃부리는 양순형인데 아랫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자료에 언급은 없는데 수술이 2개,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 끝은 위 2번째 사진에서처럼 둘로 갈라지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잎은 3~5(7)장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고 작은잎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식물체 전체에 부드러운 긴 털이 밀생합니다. 2021. 6. 27.
단삼 (Salvia miltiorrhiza Bunge)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약용으로 재배 합니다. 뿌리가 진한 적색인 데서 丹蔘이란 이름이 나왔다고 합니다. 꽃은 자주색이고 줄기 끝에 층층으로 달립니다. 식물체 전체에 부드럽고 긴 털이 빽빽하게 나 있습니다. 잎은 3~5(7)장의 작은 잎으로 된 깃꼴겹잎입니다. 2021.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