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벌개미취8

벌개미취 *** 참취속 식물들 비교 : 쑥부쟁이, 개쑥부쟁이, 가는쑥부쟁이, 갯쑥부쟁이,       단양쑥부쟁이, 긴쑥부쟁이, 민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 눈갯쑥부쟁이,     산쑥부쟁이, 섬갯쑥부쟁이, 섬쑥부쟁이, 왕갯쑥부쟁이, 추산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개미취, 좀개미취, 갯개미취, 벌개미취, 해국, 돌해국,     참취, 옹굿나물, 미국쑥부쟁이, 비짜루국화, 큰비짜루국화, 우선국     ==>  https://kualum.tistory.com/17047490 2024. 8. 18.
벌개미취 *** 참취속 식물들 비교 : 쑥부쟁이, 개쑥부쟁이, 가는쑥부쟁이, 갯쑥부쟁이, 단양쑥부쟁이, 긴쑥부쟁이, 민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 눈갯쑥부쟁이, 산쑥부쟁이, 섬갯쑥부쟁이, 섬쑥부쟁이, 왕갯쑥부쟁이, 추산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개미취, 좀개미취, 갯개미취, 벌개미취, 해국, 돌해국, 참취, 옹굿나물, 미국쑥부쟁이, 비짜루국화, 큰비짜루국화, 우선국 ==> https://kualum.tistory.com/17047490 2023. 7. 27.
벌개미취 참취속 식물들 비교 ==> https://blog.daum.net/kualum/17047490 2022. 8. 21.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개미취 꽃은 지름이 2.5~3.3cm인 데 비해 벌개미취는 4.0~5.0cm로 좀더 큽니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총포편은 장타원형으로 4줄로 배열됩니다. 잎은 피침형이고 잎가장자리에 얕은 예거치가 있습니다. 식물체 전체에 털이 거의 없습니다. 2021. 7. 15.
개미취, 산구절초, 벌개미취 ▼ 개미취 키가 1m 이상으로 커서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개미취만 보면 꽃이 참 단정하지 못 하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줄기 밑부분 잎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으로 흔히 엽병으로 흘러 날개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위로 갈수록 잎 크기도 작아지고 톱니도 희미해지며 잎자루도 거의 없어집니다. ▼ 산구절초 구절초와 비교하여 잎은 보다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선형입니다. ▼ 벌개미취 항상 공원 등에 식재되어 있는 것만 보았었는데 야생 벌개미취는 처음입니다. 일몰 무렵에 찍었는데도 그런대로 잘 나온 편이네요. 줄기잎은 피침형으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며 질이 딱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잔톱니가 있습니다. 식물체 전체에 털이 거의 없습니다. 줄기에는 파진 홈.. 2020. 9. 8.
벌개미취, 마타리 ▼ 벌개미취 우리나라 특산식물입니다. 유사한 개미취에 비해 키는 반도 안 되지만 꽃은 더 큽니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됩니다. 줄기잎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잎은 줄기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 선형으로 됩니다. 식물체 전체에 털이 거의 없습니다. ▼ 마타리 꽃부리는 황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입니다. 꽃차례 분지의 한쪽에 돌기 같은 흰 털이 있습니다. 줄기잎은 마주나고 깃꼴로 깊게 갈라집니다. 2020. 8. 25.
개미취 개미취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예전부터 개미취, 벌개미취, 쑥부쟁이, 구절초의 구분 때문에 애를 먹고 있었는데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속 시원하게 이들을 확연히 구분해 낼 수 있는 동정 포인트를 정리해 싣고 싶지만 그게 잘 안되는군요. 국화과 식물들이 하나둘씩 눈에 띄는 걸 보니 가을.. 2007. 9. 5.
벌개미취 벌개미취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줄기에 파진 홈과 줄이 있습니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 선형으로 됩니다. 원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는 꽃은 두상화로 연한 자주색이.. 2007.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