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분자딸기5

장미과 산딸기속 식물들 비교 (1) : 산딸기, 복분자딸기, 청복분자딸기, 가시복분자딸기, 단풍잎복분자, 단풍딸기, 긴잎단풍딸기, 섬딸기, 거문딸기, 거제딸기, 서양복분자, 서양오엽딸기, 오엽딸기, 함경딸기, 장딸기, 맥도딸기, 제주장딸기, 노랑장딸기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장미과 산딸기속 식물들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생식물 산딸기, 가시딸기, 가시복분자딸기, 거문딸기, 거제딸기, 거지딸기, 검은딸기, 겨울딸기, 곰딸기, 긴잎단풍딸기, 나무딸기, 노랑섬나무딸기, 단풍딸기, 단풍잎복분자, 멍덕딸기, 멍석딸기, 복분자딸기, 섬나무딸기, 섬딸기, 수리딸기, 오엽딸기, 장딸기, 제주산딸기, 줄딸기, 진들딸기, 청복분자딸기, 함경딸기, 호프잎딸기, 흰곰딸기재배식물서양복분자, 서양오엽딸기, 바위딸기, 바위산딸기 다음은 이들에 대한 검색표입니다. 구글 이미지에서 찾은 건데 출처는 모르겠습니다. 다음은 2019.2월 충북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인 "한국산 산딸기속(장미과)의 분류학적 연구"에 실려 있는 검색표입니다.본 검색표 내용도 일부.. 2025. 6. 21.
복분자딸기 열매 2024. 7. 21.
복분자딸기 잎 양면은 처음에는 면모로 덮여 있다가 점차 없어져 뒷면 맥 위에만 남습니다. 뒷면에 털이 전혀 없는 것을 청복분자딸기라 합니다. 나무껍질은 자줏빛이 도는 붉은색이고 백분으로 덮여있으며 가시가 있습니다. 2023. 6. 9.
청복분자딸기 우리나라 경상남도에서 자랍니다. 욘석은 5.25일 함양의 지리산 둘레길 4코스에서 찍은 겁니다. 꽃은 가지 끝의 산방 또는 복산방꽃차례에 달립니다. 복분자딸기는 잎 뒷면이 면모로 덮혀 있어 흰빛인 데 청복분자딸기는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어 녹색인 점이 다릅니다. 잎 뒷면을 별도로 찍은 사진이 없기에 아래 사진에서 잎 뒷면이 보이는 걸 확대해 보았더니 녹색이기에 욘석을 청복분자딸기로 본 겁니다. 꽃받침조각은 난상 피침형인데 털이 있고 꽃이 지면 뒤로 말리며 꽃잎은 난형으로 연한 홍색입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5~7장으로 이루어진 홀수깃꼴 겹잎이고 작은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는 겹톱니가 있습니다. 이번에 만난 녀석은 작은잎 개수가 9개로 유난히 많네요. 줄기는 백분으로 덮혀 있으며 가시가 .. 2022. 7. 30.
복분자딸기 우리나라 충청남북도 이남에서 자랍니다. 백분을 덮은 줄기가 언뜻 봐도 보입니다. 꽃은 분홍색이고 가지 끝의 산방 또는 복산방꽃차례에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털이 있고 꽃이 지면 뒤로 말리며, 꽃잎보다 깁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5~7장으로 이루어진 홀수 깃꼴겹잎이고 작은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가 있습니다. 잎 뒷면과 엽축에 가시가 있습니다. 줄기는 자주색 또는 적색이고 백분(白粉)으로 덮여 있으며 구자(鉤刺)가 있습니다. 202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