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씀배3

'고들빼기' 종류 비교 : 고들빼기, 갯고들빼기, 까치고들빼기, 이고들빼기, 지리고들빼기, 한라고들빼기, 왕고들빼기, 가는잎왕고들빼기, 두메고들빼기, 산씀바귀, 용설채, 홍도고들빼기, 왕씀.. 고들빼기 종류는 소속이 몇 가지로 나뉘네요. 갯고들빼기속 : 고들빼기, 갯고들빼기, 까치고들빼기, 이고들빼기, 지리고들빼기, 한라고들빼기, 홍도고들빼기, 절영풀 상추속 : 왕고들빼기, 가는잎왕고들빼기, 두메고들빼기, 산씀바귀, 용설채, 자주방가지똥, 가시상추, 가는잎가시상추 왕씀배속 : 왕씀배, 개씀배 께묵속 : 께묵, 좀께묵 ▼ 고들빼기 산과 들에서 흔하게 자랍니다. 줄기잎은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크게 감싸며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는 모습이 열쇠같이 생겨 인지하기 쉬운 편입니다. ▼ 까치고들빼기 꽃은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성기게 달립니다. 하나의 꽃처럼 보이는 건 5~6개의 낱꽃으로 구성된 두상화입니다. 하필 아래 두상화는 낱꽃이 4개네요. 총포는 좁은 통형이고 총포조각은 2줄로.. 2023. 9. 11.
왕씀배 우리나라 경기도 남양주시, 양평군, 포천시; 충청남도 태안군; 제주도; 지리산 등에 자생합니다. 머리모양꽃차례는 꽃이 진 다음 처지고 모여서 원뿔모양꽃차례로 됩니다. 총포편은 2열로 배열되고 예두이며 배축면에 구불 구불한 긴 털이 있습니다. 외총포편은 좁은 피침형이고 내총포편은 7 또는 8장으로 선상 피침형입니다. 줄기 밑부분 잎은 깊게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은 달걀모양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모양톱니가 있습니다. 줄기는 표면에 털이 없거나 적자색의 구불구불한 털이 밀생합니다. 2022. 9. 28.
왕씀배 경기도와 제주도, 지리산 등지에서 자랍니다. 총포에 털이 있고 총포조각은 2줄로 배열됩니다. 뿌리잎은 깊게 3개로 갈라지는데 꽃이 필 때 시듭니다. 줄기 아래쪽 잎은 깃꼴로 깊게 갈라지는데 측열편은 1~3쌍이며 잎자루에는 날개가 뚜렷합니다. 줄기 상부와 중간부 잎은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합니다. 잎자루 밑부분이 줄기를 감싸고 줄기에는 자주색 털이 있습니다. 2022.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