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큰조롱2

박주가리속/왜박주가리속/백미꽃속 식물들 비교 : 박주가리, 왜박주가리, 흑박주가리, 덩굴박주가리, 자주박주가리, 큰조롱, 세포큰조롱, 백미꽃, 민백미꽃, 덩굴민백미꽃, 선백미꽃, 푸른백.. 우리나라 협죽도과 식물들은 아래와 같습니다.여기서는 이중 박주가리속, 왜박주가리속, 백미꽃속 식물들에 대해서만다루고 다른 속 식물들은 별도로 작성하기로 합니다. 나도은조롱속 : 나도은조롱마삭줄속 : 마삭줄, 털마삭줄박주가리속 : 박주가리왜박주가리속 : 왜박주가리백미꽃속 : 백미꽃, 민백미꽃, 선백미꽃, 덩굴백미꽃, 자주박주가리,                  덩굴박주가리, 흑박주가리, 솜아마존, 산해박, 큰조롱,                  넓은잎큰조롱, 세포큰조롱, 양반풀수궁초속 : 수궁초, 개정향풀정향풀속 : 졍향풀협죽도속 : 협죽도 이전에 따로 분류했었던 푸른백미꽃은 백미꽃에, 검은솜아마존은 솜아마존에 각각 통합되었습니다. 우선 협죽도과 식물들의 꽃의 구조부터 알아 봅니다.아래는 2017년 안동대.. 2023. 8. 29.
넓은잎큰조롱 잎은 큰조롱 같은데 꽃 핀 모습이 큰조롱과는 사뭇 달라 보이는 것을 만났습니다. 인터넷 서핑을 해 보니 넓은잎큰조롱이라는 녀석인데 국생지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았네요. 중국 등이 원산지인데 우리나라에서는 하수오 대용으로 들여와 약용으로 재배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명은 절관우피소(切冠牛皮消)라고 부릅니다. 절관우피소는 꽃받침이 뒤로 젖혀지는데 유사종인 이엽우피소는 그렇지 않다는 차이점이 있다 하네요. 큰조롱은 꽃이 활짝 벌어지지 않는데 욘석은 벌어졌을 뿐만 아니라 꽃받침이 뒤로 완전히 젖혀지기까지 했네요. 꽃받침과 꽃잎도 있고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답게 덧꼴부리도 있군요. 잎은 상대적으로 큰조롱보다 큽니다. 잎겨드랑이에 때로 턱잎처럼 생긴 작은 잎이 있다는 게 특징인가 봅니다. 2020.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