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서 흔히 보이는 풀이지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많은 꽃이 달려서 산방상
원뿔모양꽃차례로 됩니다.
총포는 2줄로 배열됩니다.
Y. japonica (L.) DC. 는 다시 세 아종으로 나뉜다는
자료도 있네요.
이에 따르면 우리가 흔히 뽀리뱅이라고 말하는 것은
Youngia japonica subsp. elstonii입니다.
뽀리뱅이에 비해 총포가 6-7mm로 크고 꽃의 기관들도
전체적으로 큰 긴꽃뽀리뱅이(Y. japonica (L.) DC. subsp.
longiflora Babc. & Stebbinns), 뽀리뱅이와 총포 크기는
비슷하지만 줄기에 잎이 없거나 한 두 개만 달리는
큰꽃뽀리뱅이(Y. japonica (L.) DC. subsp. japonica)가
나머지 두 아종이라고 합니다.
줄기에 잔털이 있다고 하는 자료도 있고 국생지에서는
퍼진 털이 밀생한다고 하는데 욘석은 털이 거의 없긴
한데 굳이 둘 중 하나를 고르자면 잔털이 있는 쪽이군요.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새덜꿩나무 (Viburnum erosum var. taquetii (H.Lév.) Rehder) (0) | 2021.05.04 |
---|---|
고추나무 (Staphylea bumalda DC.) (0) | 2021.05.04 |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Thunb.) (0) | 2021.05.04 |
용둥굴레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0) | 2021.05.03 |
둥굴레와 용둥굴레의 수술대 부착 위치 (0) | 2021.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