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산제비꽃7

남산제비꽃 제비꽃속 식물들 비교 (1) : 제비꽃, 호제비꽃, 서울제비꽃, 털제비꽃, 민둥제비꽃, 왜제비꽃, 흰털제비꽃, 둥근털제비꽃, 잔털제비꽃, 남산제비꽃, 단풍제비꽃, 태백제비꽃, 민둥뫼제비꽃, 자주잎제비꽃, 흰젖제비꽃, 흰들제비꽃,흰제비꽃, 고깔제비꽃, 금강제비꽃, 애기금강제비꽃 ==> https://kualum.tistory.com/17045905 제비꽃속 식물들 비교 (2) : 노랑제비꽃, 털노랑제비꽃, 털대제비꽃, 장백제비꽃, 구름제비꽃, 콩제비꽃, 반달콩제비꽃, 졸방제비꽃, 왜졸방제비꽃,큰졸방제비꽃, 섬제비꽃, 우산제비꽃, 울릉제비꽃, 흰울릉제비꽃, 뫼제비꽃, 알록제비꽃, 자주알록제비꽃, 왕제비꽃, 여귀잎제비꽃, 선제비꽃, 넓은잎제비꽃, 얇은잎제비꽃, 누운제비꽃 ==> https://kualum.ti.. 2024. 4. 17.
남산제비꽃 *** 제비꽃속 식물들 비교 ==> https://blog.daum.net/kualum/17047231 2022. 4. 11.
단풍제비꽃 (Viola albida f. takahashii (Makino) W.T.Lee) 잎이 손바닥 모야으로 갈라지긴 하지만 남산제비꽃과 달리 작은잎을 형성하지는 않습니다. 즉, 갈래조각에 자루가 없다는 점이 남산제비꽃과 다릅니다. 참고로 남산제비꽃 잎은 아래처럼 갈래조각에 자루가 있습니다. 2021. 4. 12.
남산제비꽃, 단풍제비꽃, 태백제비꽃, 민둥뫼제비꽃, 줄민둥뫼제비꽃 구분법 ▼ 남산제비꽃 잎몸이 3개로 갈라지고 양쪽 갈래는 다시 2개로 갈라집니다. 작은잎에 자루가 있습니다. ▶ 단풍제비꽃 잎이 불규칙하게 갈라지긴 하지만 남산제비꽃과 달리 작은잎을 형성하지 않습니다. 즉, 갈래조각에 자루가 없다는 점이 남산제비꽃과 다릅니다. ▶ 태백제비꽃 잎이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흰색입니다. 잎이 긴 삼각상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다소 안쪽으로 꼬부라지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습니다. (그간 관찰 결과 민둥뫼제비꽃에 비해 잎이 단정치 못하고 다소 구불거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 민둥뫼제비꽃 유사한 태백제비꽃은 꽃이 흰색이고 잎몸이 다소 긴 삼각상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약간 안으로 굽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는데 비해 민둥뫼제비꽃은 꽃이 흰색에 가까운 자주색을 띠.. 2021. 3. 24.
남산제비꽃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ex Hara) 남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꽃은 흰색으로 피고 곁꽃잎에 털이 있습니다. 꽃받침 부속체는 사각형 비슷하며 끝에 톱니가 있습니다. 잎이 특징적이라서 쉽게 구분이 가는 제비꽃 중의 하나입니다. 잎이 3개로 완전히 갈라지며 측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는데 가 열편은 다시 2~3개로 갈라지거나 우상으로 깊은 결각을 이뤄 새발 모양을 합니다. 작은잎에 잎자루가 있다는 점이 유사종인 단풍제비꽃과 다릅니다. 잎은 생육환경과 지역에 따라 많은 변이를 보이며, 근연 분류군과도 잡종 현상이 다양하게 발견되는 종입니다. 남산제비꽃/단풍제비꽃/태백제비꽃/민둥뫼제비꽃 구분법 == > blog.daum.net/kualum/17045894 2021. 3. 24.
태백제비꽃 꽃이 흰색이고 잎이 갈라지지 않은 것을 태백제비꽃이라 합니다. 잎이 단풍잎처럼 갈라진 것을 단풍제비꽃이라 하고 잎이 보다 더 가늘게 갈라져 최종 갈래조각이 선형인 것은 남산제비꽃이라 합니다. 2008. 4. 12.
남산제비꽃 2008.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