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색 꽃16 새끼꿩의비름 새끼꿩의비름 :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 천마산 정상에 올라 잠시 쉬다가 하산하면서 정상 바위 부근에서 이 새끼꿩의비름과 애기며느리밥풀을 발견하였습니다. 장거리를 등산하는 동안 특별한 야생화가 거의 눈에 띄질 않더니 정상에 오르니 그나마 두어 개 보이네요. 새끼꿩의비름은 등산로 근처.. 2007. 10. 1. 전동싸리 전동싸리 : 콩과, 두해살이풀 전동싸리는 이전에 이미 찍은 것으로 생각하고 대충 한 번 찍어봤는데 이전에는 흰전동싸리만 찍은 모양이네요. 하여튼 사진은 대충 찍어오면 나중에 꼭 후회합니다. 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핍니다. 노랑개자리라는 것도 있던데 여타 특성.. 2007. 9. 29. 갯질경 갯질경 : 갯질경이과, 두해살이풀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보니 "갯질경"도 있고 "갯질경이"도 있네요. 재미 있는 건 "갯질경"은 갯질경이과이고 "갯질경이"는 질경이과네요. 이름과 과명이 무척 혼란스럽습니다. 꼭 이런 식으로 이름을 붙여야만 하는 건지.... "갯질경"은 원줄기가 있고 거기서 꽃대가 나와.. 2007. 9. 22. 털도깨비바늘 털도깨비바늘 : 국화과, 한해살이풀 도깨비바늘은 혀�이 1~3개이고 울산도깨비바늘은 혀�이 없는데 반해 털도깨비바늘은 0~5개이라 동정이 쉬웠습니다. 마침 혀꽃이 5개인 꽃이 한 송이 피어 있었거든요. 총포조각은 8~10개입니다. 총포조각에 털이 관찰됩니다. 꽃은 노란색이고 두상화입니다. 잎은 .. 2007. 9. 17. 물싸리 물싸리 : 장미과, 갈잎떨기나무 물싸리는 초본이 아니라 목본입니다. 키는 그다지 크지 않고 1m 정도까지 자랍니다. 이름에 "물"자가 들어 있어 습지에서 자라는 싸리 종류인 줄 알았는데 습지와는 전혀 무관한 고산 지대 바위틈에서 자라는 식물이라네요. "싸리"라는 말이 들어 있지만 싸리 종류도 아.. 2007. 9. 12. 물양귀비 물양귀비 : 양귀비과, 여러해살이풀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없더군요. 거기에 없으면 실수로 누락되었거나 원예종입니다. 다른 데 찾아보니 물양귀는 원에종이네요. 열대성 연못이나 늪에서 자랍니다.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신의 귀화식물이라네요. 뿌리와 줄기는 물 속 흙 밑에 벋어 있습.. 2007. 9. 11. 개연꽃 개연꽃 : 수련과, 여러해살이 수초 잎은 어찌보면 자라풀과도 비슷한데 자라풀 잎은 수면에 떠 있고 개연꽃의 잎은 연꽃처럼 수면 위로 솟아 있습니다. 연꽃도 아닌 것이 연꽃 흉내를 내서 그런 건지 이름에 "개"자가 붙어 있네요. 그렇지만 꽃은 이렇게 예쁩니다. 왜개연꽃이라고도 있는데 이건 개연.. 2007. 9. 10. 땅채송화 땅채송화 :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 중부 이남의 바닷가에서 자라는 풀이고 봄에 꽃을 피우는데 물향기수목원의 곤충생태관인가에 들어가니 실내가 따뜻해서인지 꽃이 몇 송이 피어 있었습니다. 꽃은 원줄기 끝에는 달리지 않고 줄기 상단에서 갈라진 가지 끝에 3~10개가 모여서 달립니다. 꽃차례는 .. 2007. 9. 9. 애기병꽃나무 애기병꽃나무 : 인동과, 갈잎떨기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에도 없고 네이버백과사전에서도 검색이 되질 않는 것으로 보아 원예종인 듯 합니다. 꽃이 병꽃나무 꽃처럼 생겼는데 노란색이면 애기병꽃나무겠거니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런 식물 만나면 이전에는 애가 탔었는데 지금은 아주 기분이 좋.. 2007. 9. 5. 수까치깨 수까치깨 : 벽오동과, 한해살이풀 벽오동과네요. 난 아직까지 나무와 풀이 같은 과에 속해 있으면 신기한 생각이 듭니다. 이건 순전히 과의 분류 기준에 대해 아직까지 무지한 탓일 겁니다. 언젠가 식물분류체계에 대해 공부 좀 해야겠는데 마음만 있고 도무지 시간이 나질 않네요. 전초 사진이 없습니.. 2007. 8. 29. 가시상추 가시상추 : 국화과, 한두해살이풀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없고 잎몸이 깃꼴로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습니다. 잎이 상추와 비슷하나 가장자리에 가시가 있다 하여 가시상추라 불리는 듯합니다. 실제로 잎은 상추잎보다 훨씬 더 길고 날카롭습니다. 잎 밑 부.. 2007. 8. 18. 쇠비름 쇠비름 : 쇠비름과, 한해살이풀 밭이나 빈터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풀입니다. 그 동안 이 꽃이 피기만을 이제나 저제나 기다렸는데 수일 전 드디어 꽃이 핀 걸 발견했습니다. 자료에 보니 꽃은 6월부터 가을까지 계속 핀다 하는데 왜 그리 눈에 띄질 않았나 모르겠습니다. 줄기와 잎 전체가 퉁퉁한 다.. 2007. 8. 13. 바위채송화 바위채송화 :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 축령산(해발 886미터) 정상 바위틈에서 자라고 있는 걸 찍었습니다. 잎은 선형으로 거꾸로 된 피침형인 돌나물과 비교가 됩니다. 선형 잎은 적갈색 줄기에 촘촘히 어긋나며 통통한 다육질로 채송화와 비슷합니다. 가지 끝의 취산꽃차례에 자잘한 노란색 꽃이 촘촘.. 2007. 7. 18. 산닥나무 산닥나무 : 팥꽃나무과, 갈잎떨기나무(낙엽관목) 수목원 팻말에는 강화산닥나무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강화산닥나무는 주로 인천시 강화군에서 자라며 산닥나무보다 꽃이삭이 좀 더 긴 것을 말했는데 이번에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산닥나무에 통합시켜버렸네요. 나무껍질은 갈색이며 밋밋합니다. .. 2007. 7. 10. 고추나물 고추나물 : 물레나물과, 혀러해살이풀 줄기는 둥글고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칩니다. 줄기에 마주나는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밑 부분은 합쳐져서 줄기를 감쌉니다. 피침형 잎은 표면에 검은색 잔점이 많고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줄기나 가지 끝에 노란색 꽃이 하늘을 보고 피는데 5장의 꽃잎.. 2007. 7.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