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옥매5

산옥매의 일종 (Prunus glandulosa f. sinensis) 유실수 일부 비교 : 매실나무, 홍만첩매실, 살구나무, 개살구나무, 앵도나무, 복사앵도나무, 이스라지, 산이스라지, 털이스라지, 풀또기, 산옥매, 옥매, 홍매, 자두나무, 서양자두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돌배나무, 산돌배, 문배나무, 콩배나무, 복사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5256 2024. 4. 10.
옥매 -> 산옥매 옥매는 꽃이 만첩으로 피는데 이전에는 따로 구분했었다가 지금은 산옥매에 통합되었습니다. *** 유실수 몇 종 비교 : 매실나무/흰매실나무, 살구나무, 개살구나무, 앵도나무, 복사앵도나무, 이스라지, 산이스라지, 산옥매, 자두나무, 서양자두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돌배나무, 산돌배, 콩.. ==> https://kualum.tistory.com/17045256 2023. 4. 12.
산옥매의 일종 (Prunus glandulosa f. sinensis ) 학술적으로 홍매는 산옥매의 이명으로 꽃이 홍색이며 겹꽃으로 피는 것을 말하는데 우리는 통상 아래와 같이 꽃이 붉은색 홑꽃인 것을 홍매라고 지칭해 왔습니다. 여하튼 Prunus glandulosa f. sinensis에서 Prunus glandulosa는 산옥매의 학명이고 sinensis는 중국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때 욘석은 중국에서 개량한 산옥매의 일개 품종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욘석을 따로 분류하지 않고 산옥매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 매실나무, 흰매실나무, 흰만첩매실, 홍만첩매실, 산옥매, 옥매, 홍매 비교 ==> https://kualum.tistory.com/17046968 2023. 3. 19.
매실나무, 흰매실나무, 흰만첩매실, 홍만첩매실, 산옥매, 옥매, 홍매 비교 표제 식물들은 모두 벚나무속으로 국가표준식물목록 (국표식)에 아래와 같이 등재되어 있습니다. 기존에 따로 분류했었던 옥매와 홍매는 산옥매의 이명으로 처리되어 있습니다. 자생식물 : 산옥매 재배식물 : 매실나무, 흰매실나무, 흰만첩매실, 홍만첩매실 ▼ 매실나무 / 흰매실나무 매화가 피는 나무의 정식 명칭은 매실나무입니다. 꽃은 흰색 또는 담홍색으로 피는데 기본종은 담홍색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국표식에서는 꽃이 담홍색으로 피는 것만 매실나무 라고 하고 꽃이 흰색인 것은 흰매실나무로 따로 독립시켜 놓았습니다. 흰매실나무에 대한 국생지 설명은 "기본종인 매실나무에 비해 흰 꽃이 피는 것이다."라는 것 딱 한 줄뿐입니다. 매실나무의 학명은 'Prunus mume'이고 흰매실나무의 학명은 'Prunus mume f.. 2023. 3. 19.
산옥매 (Prunus glandulosa Thunb.) 중국 원산인데 우리나라에는 약 1,500년 전에 도입되었다고 하네요. "꽃이 총상으로 달리지 않고 모여 달리고 꽃줄기의 길이와 열매가 익었을 때의 크기가 1.2cm 정도로 작고, 키가 작은 관목인 점에서 이스라지와 비슷하나, 엽병은 이스라지보다 긴 반면 꽃줄기는 짧은 특징으로 구분"된다는 게 한 자료의 설명입니다. 산이스라지에 비해 잎이 보다 길고, 선형의 턱잎이 열매가 익을 때까지 남아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턱잎에 결각이 있기도 하군요. 2021.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