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둥근이질풀2 큰세잎쥐손이와 둥근이질풀, 털둥근이질풀, 흰둥근이질풀 비교 먼저 표제 4종 중 흰둥근이질풀을 제외한 분류군에 대해 한국식물지에소개된 검색표부터 캡처하여 아래에 전재합니다. 한국식물지에서는 위 검색표 이외에도 기재문에서 둥근이질풀은탁엽이 "합생하며 광난형"이고 큰세잎쥐손이는 탁엽이 "이생하며피침형"이라고 명기하고 있습니다.이 설명에 의하면 탁엽 확인만으로도 둥근이질풀과 큰세잎쥐손이를손쉽게 구분해낼 수 있습니다.그래서 개인적으로 그동안 찍었떤 둥근이질풀이나 큰세잎쥐손이사진들을 모두 조사해 보았지요.그런데 아무리 살펴봐도 탁엽이 서로 떨어져 있는 건 하나도없었기에 그렇다면 내가 아직까지 큰세잎쥐손이는 한 번도 만나본적이 없나 보다 하고 생각하고 말았습니다.그런데 우연히 최근에 2006년도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실린 논문"ITS 염기 서열에 의한 한국산 쥐손이풀속(Ge.. 2024. 7. 17. 털둥근이질풀 아래는 오대산에서 찍은 겁니다. 줄기와 잎자루에 아래를 향한 털이 밀생하고 있는데 꽃자루에는 퍼진 털이 아니라 누운 털이 있네요. 그래도 턱잎이 광난형이니 털둥근이질풀로 봅니다. 아래도 위 꽃과 같은 장소에서 자라고 있는 걸 찍은 겁니다. 이곳에 핀 이질풀 종류는 꽃잎 끝이 둥근 것과 3개로 갈라져 W자형을 이룬 것 두 가지가 있었지요. 전자가 대세였고 후자는 어쩌다 전자 무리 속에 한두 개씩 발견되었습니다. 아래 녀석은 꽃잎 형태만으로는 태백이질풀인데 태백이질풀은 태백산에서나 자란다고 하니 욘석은 털둥근이질풀의 변이쯤으로 보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문제는 털둥근이질풀의 턱잎은 광난형이고 한 자료에 의하면 태백이질풀의 턱잎은 넓은 피침형이라고 하는데 욘석은 턱잎이 후자 쪽에 가깝네요. 위 두 개체의 꽃.. 2014. 7.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