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은 강릉시 임계면 덕우산에서 처음 발견된 기름나물 종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전초 사진은 따로 찍은 게 없으니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 http://www.nature.go.kr/fileUpload/plants/basic/Umbelliferae/Peucedanum/19697/19697_1.jpg
덕우기름나물은 우리나라 덕우기름나물속의 유일종이고 다른
기름나물 종류들은 모두 기름나물속 또는 털기름나물속입니다.
아래는 기름나물속과 덕우기름나물속의 특징입니다. (한국식물지)
아래 사진들은 수목원에서 찍은 건데 발육상태가 좋지 않아
줄기가 제대로 서 있지도 않았고 잎들도 엉클어져 있어 관찰이
용이하지 않더군요.
잎은 대개 뿌리잎뿐이고 간혹 줄기잎이 달리기도 합니다.
잎자루는 기부에서 넓어져 엽초로 되며 턱잎은 없습니다.
뿌리잎은 1장이고 3~4회 3출복엽이며 숙존합니다.
잎몸은 전체적으로 넓은 삼각형이고 정소엽은 난형이며 측소엽은
난상 장타원형이고 작은잎자루가 있다는 게 특징 중 하나입니다.
잎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홑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습니다.
줄기잎은 거의 달리지 않거나 피침형의 잎이 1개씩 달리며 드물게
1~2회 깃꼴겹잎이 달리기도 합니다.
(아래는 뿌리잎 사진이고 줄기잎 사진은 없음.)
제대로 된 잎 사진은 다음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꽃차례는 복산형화서이며 줄기 끝에서 자라는데 소산경은
10~15개입니다.(두산백과)
소산형화서는 잡성으로 6~8개의 수꽃이 중앙에, 6~9개의 양성화가
주변에 달리는데, 전체가 수꽃만 달리기도 합니다.(한국식물지)
꽃잎은 5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살짝 안쪽으로
말리고, 수술은 5개로 꽃잎보다 길며 꽃밥은 주황색, 암술대는 2개
입니다.(두산백과)
총포편은 없거나 1~3장이며, 있는 경우 실 모양 내지 추형입니다.
이번에 만난 개체에는 추형으로 보이는 총포편이 하나 있더군요.
(아래 사진)
소총포편은 없거나 1~4장이고, 있는 경우 추형 내지 선형입니다.
이번에 만난 개체에는 선형의 소총포편이 2개 달려 있었습니다.
(아래 사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