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리비아 소식

리비아 해방을 도운 열강의 속내

by 심자한2 2012. 11. 29.

 

국제 전쟁에 개입하는 열강이 내세우는 명분 뒤에는 반드시 이해관계에 대한 계산이

깔려 있다는 건 주지의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 계산의 실체는 국제관계만큼이나 복잡다단하기에 간파하기가 그리 녹록치

않다는 게 현실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그 열강의 속내에 대한 실체를 알고 싶어하고 욕구를

갖습니다.

참고로 근자에 몇몇 인론에서 이와 관련한 기사를 게재하였기에 혹시라도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여 여기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물론 본 내용의 정확성이나 사실 여부에 대한 판단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1. 미국

 

인권 및 노동 문제 변호사로 현제 미국 피츠버그 대학에서 국제인권을 강의하고 있는

Daniel Kovalik이란 학자가 Global Research지에 올 12월에 출간될 Maximilian Forte의

"Slouching towards Sirte"란 책에 담긴 내용을 소개했더군요.

책 내용에서 저자는 미국과 나토가 리비아 내전에 개입한 숨은 속내를 나름대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나토를 앞세워 통칭 Arab Spring이나

쟈스민 혁명의 일환으로 리비아에서 벌어진 내전을 적절히 이용했다는 겁니다.

리비아의 독재자 카다피는 아프리카의 맹주가 되기를 바랐으며 실제로 아프리카 국가들

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지요.

그런데 문제는 카다피가 집권기간 내내 반미주의자 성향을 보였으며 미국의 경제제재

이후 난국 타개책으로 외견상으로는 어느 정도 미국에 유화정책을 쓰기는 했지만 실제로

인프라 공사 발주 시에는 미국의 벡텔이나 캐터핖러와 같은 기업에게는 기회를 주지 않고

중국이나 러시아, 독일 등의 기업에 이들 공사를 맡겼다는 겁니다.

이에 미국은 리비아는 물론 아프리카 전역에 대한 효율적인 투자 기회를 쉽게 포착하지

못하고 있었지요.

이런 와중에 때마침 리비아에서 내전이 일어나자 미국은 리비아의 무고한 시민들 생명을

구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유엔 안보리 결의를 이끌어냈고 이에 따라 나토군을 리비아

내전에 개입시켰습니다.

나토군의 우세한 화력 탓에 카다피는 얼마 버티지 못하고 고향인 써트에서 반군에 포획돼

현장에서 사살되고 맙니다.

 

이로써 리비아는 독재정권으로부터 해방되는 기쁨을 맞이했지만 더불어 미국은 오랜

숙원을 풀 수 있게 되었습니다.

미국은 리비아의 대규모 인프라 공사에 참여함으로써 외화를 벌어들이고 싶었던 겁니다.

그러니 미국이 실제로 원했던 건 항간에 떠돌던 바대로 리비아의 석유자원 확보가 아니라

인프라 공사 수주를 통해 국부를 늘릴 수 있는 기회 포착이었다는 거지요.

리비아의 석유라는 부존자원은 자연히 미국의 그 외화벌이에 리비아가 동원할 수 있는

자금원이 됩니다.

미국은 리비아 내전에 개입함으로써 대량 파괴를 통해 새로운 인프라 수요를 창출해낼

수 있었지요.

미국 입장에서 보면 나토의 리비아 폭격은 문자 그대로 "창조적 파괴"였던 셈입니다.

 

미국은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겉으로 내세웠던 인권 보호 같은 명분은 안중에도

없었다는 게 상기 책 저자의 주장입니다.

일례로 미국은 카다피의 고향인 써트를 공격할 때 카디피의 군사시설에 대해서 정밀

폭격을 시행한 게 아니고 인프라 시설까지 무차별 파괴를 했다는 겁니다.

이때 미국은 물론 리비아 시민의 안전 따위는 전혀 염두에 두지 않았다지요.

즉, 미국에게 있어 인권이란 건 단지 허울 좋은 포장에 불과한 것이고 그 속에 감춰져

있는 내용물은 사실 국익이라는 주장이지요.

 

 

2. 카타르

 

지난 11.22일 Libya Herald는 현 리비아 미국대사인 Abdurrahman Shalgham이 최근

저술한 책 "The End of Qaddafi"에서 주장한 내용의 일부를 소개했습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카타르가 카다피 체제를 전복시키기 위해 나토군 개입을 이끌어

내는데 적극적 노력을 기울였으며 리비아 반군에 대한 재정적, 정치적, 군사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전쟁 후 저자가 카타르의 도하를 방문하여 카타르 왕권 후계자인 Tamim Bin Hamad

Al-Thani를 만났을 때 후자는 단호한 어조로 카타르가 리비아 내전에 투자한 30억불을

회수하지 않고는 리비아에서 발을 빼지 않을 거라는 의사표시를 분명히 했다 하네요.

 

카타르는 리비아 반군이 승기를 잡게 되자 본색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카타르는 우선 써트 인근의 군사기지를 접수하고 거기 있는 생화학 무기들을 몰수

했으며 리비아 남부에 카타르 군 기지를 세우기까지 했습니다.

리비아의 동부 도시 토브룩을 점거한 카타르 군인들은 주민들을 함부로 대하는 한편

리비아 여인들과 "좋은 밤"을 보냈다는 자랑까지 서슴치 않고 하고 있다 합니다.

또한 리비아의 이슬람 정당에 자신들의 영향력을 심어 놓기 위해 다량의 무기와 수억

달러의 현금을 지원해가면서 선거에서 특정인을 후보로 내세울 것을 종용하고 심지어

이들 정당이 내세울 정책까지 제시해주었다 하네요.

이는 리비아에 카타르 영향권 하에 있는 "이슬람 연합"을 설립하려는 카타르의 야욕의

일환이라 합니다.

책에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대상 정당은 정의건설당과 와탄당이라는 게 리비아

인들에게 회자되고 있는 내용입니다.

 

이런 저자의 주장은 리비아 내부에서 많은 반발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우선 여권 단체들은 리비아에서는 금기시 되어 있는 여성 문제를 발설함으로써

여성을 모독햏다는 이유로 동인을 미국대사직에서 즉시 해임시킬 것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정의건설당은 동인의 주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야 하니 동인을 소환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으며 와탄당은 동인을 국가청렴위원회에 회부하라고 성토하고 있습니다.

 

 

3. 영국

 

지난 26일 영국 정부는 리비아 내전 중 리비아에 투입한 전비 2억 파운드를 회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과연 영국은 신사의 나라이기 때문에 미국이나 카타르와는 정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는

걸까요?

 

 

4. 프랑스

 

영국과 함께 리비아 폭격 시 나토군의 주력을 제공했던 프랑스의 Nexans사는 이미

지난 8월에 리비아 전력청 (GECOL)이 100% 자회사인 PEWCO (Public Electric Works

Company)로부터 1억 1천만 유로 상당의 송전과 배전 시설 업그레이드 용 케이블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