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특산종으로 지리산 골짜기 해발고도 300m 이하의
개울가에서 야생합니다.
조록싸리에 비해 작은잎이 폭이 좁고 꽃은 9월에야 피는
점이 달라서 따로 분류했었는데 2022년 국가표준식물
목록에서는 털조록싸리에 통합시켰네요.
조록싸리는 개화기가 6~7월입니다.
개화기가 9월인데 벌써 핀 꽃도 있긴 하네요.
꽃은 홍자색으로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립니다.
조록싸리나 털조록싸리, 늦싸리 모두 잎은 삼출엽인데
전 2자는 작은잎이 난상 타원형이고 늦싸리는 보다 폭이
좁은 긴 난상 타원형쯤 됩니다.
털조록싸리는 조록싸리에 비해 작은잎의 앞·뒷면에 털이
많고, 뒷면이 흰빛을 띠는 점이 다릅니다.
늦싸리도 잎 뒷면에 털이 많고 흰빛을 띠어서 조록싸리가
아닌, 털조록싸리에 통합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루오줌 (0) | 2022.07.13 |
---|---|
삼백초 (0) | 2022.07.13 |
병꽃나무속/애기병꽃속 식물들 비교 : 병꽃나무속 - 병꽃나무, 붉은병꽃나무, 소영도리나무, 골병꽃나무, 일본삼색병꽃나무, 애기병꽃속 - 애기병꽃 (0) | 2022.07.13 |
애기병꽃 (0) | 2022.07.13 |
곰취속 식물들 비교 : 곰취, 곤달비, 갯취, 개담배, 긴잎곰취, 무산곰취, 한대리곰취, 화살곰취, 어리곤달비 (0) | 2022.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