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의 석모도에서 국내 분포가 처음 확인된 데서 유래한 이름이며
갯황기 또는 해변황기라고도 합니다.
꽃은 5~7월에 피며 10~20개의 꽃이 총상꽃차례에 빽빽하게 달려
전체가 머리 모양을 이루는 게 특징입니다.
꽃받침은 1/3~1/2까지 갈라지며 흰색 또는 검은색 털이 조금 있습니다.
꽃 색은 노란색이라는 자료도 있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라는
자료도 있는데 이번에 만난 것들은 대체로 녹황색 정도네요.
열매는 원통형의 협과로서 자루가 없고 끝이 날카롭게 구부러집니다.
잎은 23~31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엽입니다.
강화황기와 유사하면서 작은잎 개수가 15~21개인 것을 정선황기로
따로 분류했었는데 지금은 강화황기에 통합되었습니다.
작은잎은 타원형이며 끝은 침상입니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는 흰 털이 있습니다.
*** 황기속/묏황기속 식물들 비교 : 황기속 - 황기, 강화황기, 개황기,
긴꽃대황기, 설령황기, 자주개황기, 자주황기, 제주황기, 자운영,
왕관갈퀴나물; 묏황기속 - 묏황기, 넓은묏황기, 나도황기, 털나도황기,
두메나도황기
==> https://kualum.tistory.com/17049091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위취 (0) | 2023.06.14 |
---|---|
참좁쌀풀속 식물들 비교 : 까치수염, 큰까치수염, 진퍼리까치수염, 홍도까치수염, 갯까치수염, 버들까치수염, 물까치수염, 탐라까치수염, 섬까치수염, 갯봄맞이, 좀가지풀, 좁쌀풀, 참좁쌀풀 (4) | 2023.06.14 |
큰까치수염 (0) | 2023.06.13 |
늦싸리 --> 털조록싸리 (1) | 2023.06.13 |
물쑥 잎 (0) | 2023.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