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

꽃고비과 꽃고비속 식물들 비교 : 꽃고비, 가지꽃고비, 참꽃고비

by 심자한2 2025. 2. 15.

우리나라 꽃고비과 꽃고비속 식물들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생식물 : 꽃고비, 가지꽃고비
재배식물 : 참꽃고비 외 5종

 

이들 3종에 대한 동정 포인트를 명확히 제시해주고 있는

자료를 찾지 못했기에 아래 내용에는 개인적인 추정이 

상당 부분 개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에서 가지꽃고비와 참꽃고비에 대한 소개는

단순히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 꽃고비

 

우리나라 함경남 · 북도, 평안북도 등의 북부 지방의 고산

지대에서 자랍니다.

 

 

 

"식물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고 다만 이 식물

잎이 고비 잎과 닮은 구석이 있고 꽃이 피어 있으니 꽃고비라고

부른 것이 아닌가 추측할 뿐이"라고 합니다.

(약업신문, https://www.yakup.com/pharmplus/index.html?mode=view&nid=3000132107 )

 

 

 

꽃은 자주색이나 흰색으로 핍니다.

흰색으로 피는 것을 이전에는 흰꽃고비라고 따로 분류했었으나

지금은 꽃고비로 통합되었습니다.

 

 

 

꽃은 7-8월에 줄기 끝이나 그 근처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취산상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립니다.

 

 

 

꽃차례는 꽃자루, 꽃받침과 더불어 퍼진 샘털이 밀생합니다.

꽃자루는 길이 3-10mm로 샘털이 발생하거나 긴털이 있고

꽃받침은 종형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뾰족합니다.

 

 

 

꽃부리는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 끝이 둔하고 수술은

5개로서 수술대 밑에 긴 털이 밀생하며 암술대는 수술보다 길고

끝이 3개로 갈라집니다.

 

 

 

잎은 길이 8-25cm로서 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6-12쌍이며

엽병이 없고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1-4cm,

폭 4-10(20)mm이며 예첨두 또는 점첨두, 원저이고 엽축 좌우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거의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높이 60-9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가지가 없고 윗부분에

샘털이 밀생하며 긴 털이 섞여 납니다.

 

 

 

 

 

 

 

▼ 가지꽃고비

 

국생지에 의하면 가지꽃고비는 함경남도에서 자라며 높이는

40cm이고 꽃은 자주색으로 핀다고 합니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꽃차례의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것을

가지꽃고비"라고 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28169&cid=46694&categoryId=46694 )

아래 사진은 국립생물자원관의 꽃고비 항목에 실린 사진인데

아무래도 가지꽃고비 같습니다.

위 꽃고비 사진들에서 보듯이 꽃고비도 꽃차례에 가지가 있기는

하지만 그 길이가 짧은 데 비해 아래 사진에서는 꽃차례 가지가

상당히 깁니다.

 

 

 

아래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실여 있는 가지꽃고비의

표본 사진인데 역시 꽃차례의 가지가 상당히 긴 편입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표본사진)

 

 

따라서 가지꽃고비는 꽃고비에 비해 꽃차례의 가지가 훨씬

더 길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추정되어 한번 ChatGPT에게

물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대답을 얻어냈습니다.

참고로 가지꽃고비의 학명은 Polemonium caeruleum subsp.

laxiflorum인데 여기서 아종명 laxiflorum은 꽃이 성기게 핀다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입니다.

 

 

 

 

 

 

 

▼ 참꽃고비 (Polemonium caeruleum)

 

참꽃고비의 학명은 Polemonium caeruleum이고 꽃고비의 학명은

Polemonium caeruleum L. subsp. kiushianum이며 가지꽃고비의

학명은 Polemonium caeruleum L. subsp. laxiflorum입니다.

즉, 학명 상으로는 꽃고비와 가지꽃고비가 둘 다 참꽃고비의 아종인

겁니다.

꽃고비의 아종명 kiushianum은 일본의 기슈 지방에서 유래했다는

의미이기에 학명만으로는 꽃고비와 참꽃고비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다시 한번 ChatGPT의 도움을 받은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식물에 관한 한 ChatGPT의 지식에 한계가 있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은 이미 이전의 잦은 경험으로 확인된

바이니 아래 내용은 단순히 참고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아래 사진 두 장은 차례대로 위키피디아에 실려 있는 참꽃고비와

구글에 실려 있는 참꽃고비의 한 품종인 'Blue Pearl'의 사진입니다.

꽃들이 줄기나 가지 끝에 밀집해서 피어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는 하네요.

 

( https://detuinstek.nl/winkel/polemonium-caeruleum-blue-pearl/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