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식물들 비교 : 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수원사시나무, 일본사시나무, 황철나무, 물황철나무, 중국황철나무, 당버들, 미루나무, 은백양, 양버들, 이태리포플라

by 심자한2 2025. 3. 31.

우리나라 버드나무과에는 버드나무속, 사시나무속, 신유자나무속,

이나무속 등 4개 속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이중 사시나무속 식물들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합니다.

사시나무속 식물들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생식물 : 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수원사시나무, 황철나무,
                  물황철나무, 당버들

재배식물 : 일본사시나무, 중국황철나무, 미루나무, 은백양,
                  양버들, 이태리포플라

 

 

다음은 한국식물지에 실려 있는 검색표입니다.

 

 

 

아래는 같은 버드나무과 내의 사시나무속과 버드나무속과의

차이점 비교표입니다.

 

구  분 사시나무속 버드나무속
새싹의 눈비늘 수 여러 개 1개
꽃차례 암수꽃차례 모두 아래로 늘어짐 암꽃차례는 비스듬히 서거나 직립, 드물게 아래로 늘어짐.
포 가장자리 톱니 또는 치아 모양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
꿀샘 1개로 컵 또는 접시 모양 1~3개로 구형 또는 원통형이거나 없음

 

 

 

 

 

▼ 사시나무

 

우리나라 전라남도, 경상남도 이북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교목

입니다.

높이 20m, 지름 1m에 달하는 것도 있으나 보통은 높이 10m, 지름

30㎝까지 자랍니다.

 

(중국식물도감)

 

 

다른 나무들에 비해 잎자루가 긴 편이라 작은 바람에도 잎이 크게

움직이는 특징이 있는데 여기서 사람이 몸을 몹시 떠는 것을 두고

 "사시나무 떨듯 한다.:"고 하는 관용구가 유래했습니다. (나무위키)

 

(국립생물자원관)

 

 

암수딴그루로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꼬리모양꽃차례에

달립니다.

 

(중국식물도감)

 

 

수꽃차례는 길이 5~10cm이고 원뿔모양이며 포는 둥글고 자줏빛이

돌며 6~13개로 깊이 갈라지는데 열편은 좁은 삼각형으로 가장자리에

긴 섬모가 있고 일찍 떨어집니다.

화피는 길이 3mm로서 기울어진 원뿔모양이고 수술은 6~12개,

꽃밥은 붉은색입니다.

 

(중국식물도감)

(중국식물도감)

 

 

암꽃차례는 길이 4 ~ 10cm로서 꽃대축에 털이 있으며 씨방은 길이

2.5mm로서 도원추형이고 암술머리는 2~3개이며 붉은색입니다.

 

(중국식물도감)

(중국식물도감)

(중국식물도감)

 

 

잎은 어긋나며 원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Kew)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집니다.

은백양이나 은사시나무는 잎 뒷면에 섬모가 밀생해서 구분됩니다..

 

(중국식물도감)

 

 

한때 잎이 넓고 밑이 날카로운 것을  긴잎사시나무(var. laticuneata), 

잎의 뒷면과 잎자루, 어린 가지에 털이 약간 나는 것을 털사시나무

(var. pilosa)로 따로 분류했었으나 지금은 모두 사시나무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었습니다.

 

(중국식물도감)

 

 

잎자루는 편평하고 길이 3 ~ 6cm로서 털과 선체가 없습니다.

수원사시나무와 일본사시나무는 어린 잎에 털이 있고 잎 밑에

선체가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중국식물도감)

 

 

나무껍질은 회록색이고 오랫동안 평활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얕게 갈라져서 흑갈색으로 됩니다.

 

(중국식물도감)

(중국식물도감)

 

 

일년생가지는 회갈색으로 털이 없고 겨울눈은 갈색으로 털이

없으며 난형이고 광채가 있으며 끝이 뾰족합니다.

수원사시나무와 일본사시나무는 겨울눈에 솜털이 밀생하는

점이 다릅니다.

 

(Kew)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2 ~ 6mm로서 타원상 원추형이고 5월에

성숙하여 갈라지면 흰 솜털이 달린 종자가 바람을 타고 날아갑니다.

 

(중국식물도감)

 

 

 

 

 

 

▼ 일본사시나무

 

일본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로수로 식재하기 위해 도입했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 25m까지 자랍니다.

 

(BioLib)

(庭木図鑑 植木ペディア)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꼬리모양꽃차례로 피며 암수딴그루입니다.

수꽃의 수술은 5~8개이고 암꽃의 포는 7~10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습니다.

 

(野山の草花・木々の花」植物検索図鑑)

 

 

 잎은 어긋나며 사각상 또는 삼각상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거나 수평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 3-6cm이고 사시나무처럼 편평하나 어린 개체에서는

편평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FC2)

 

 

표면은 광택이 나는 진한 녹색이고 사시나무와는 달리 밑부분에

2개의 선체가 있습니다.

 

(FC2)

 

 

뒷면은 분백색이 돌고 처음에는 털이 많으나 점차 없어집니다.

 

(FC2)

(FC2)

 

 

나무껍질은 잿빛이 돌고 세로로 얕게 갈라집니다.

 

(松江の花図鑑)

 

 

일년생가지는 녹색이고 처음에는 흰색의 연모가 밀생했다가

점차 없어지며 겨울에는 흑갈색이 돌고 윤채가 있습니다.

 

(松江の花図鑑)

 

 

겨울눈은 난상 원뿔모양이며 길이 5-10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눈껍질은 10개 이상으로 흔히 털이 있습니다.

사시나무는 눈껍질에 털이 없다는 점이 다릅니다.

 

(FC2)

 

 

 

 

▼ 수원사시나무

 

학명은 Populus tremula var. glandulosa인데 여기서 변종명

glandulosa은 샘점이 있다는 의미의 라틴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잎 밑부분에 일본사시나무처럼 2개의 선체가 있는데 이를 반영한

작명이 아닌가 싶습니다.

 

"구 농촌진흥청이 위치하던 수원시 여기산 일원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한다. 수원시

오목천동에 위치한 산림생명자원연구부에 가면 수원사시나무를

만날 수 있다."는 게 한 자료의 설명입니다.

 (수원화성신문, https://www.esuwon.net/149010 )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자연)雜種으로 推定된다고 합니다."

(1994년 한국육종학회 논문 "形態的 特性에 의한 수원사시나무의 雜種性")

 

허두에 있는 검색표에 의하면 겨울눈의 눈껍질에 털이 밀생하고

어린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잎 밑부분에 2개의 선체가 있다는

점은 일본사시나무와 동일하나, 일본사시나무는 일년생가지가

녹색으로 처음에는 흰색의 연모가 밀생했다가 점차 없어지는 데 

비해 수원사시나무는 일년생가지가 밤색으로 가는 연모가 끝까지

떨어지지 않고 남아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잎이나 가지, 꽃, 겨울눈 등의 사진은 찾지 못했습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은사시나무

 

은사시나무는 은백양과 수원사시나무의 자연 교잡종으로 1950년에 

이창복 박사가 수원에서 발견했습니다.

이후 임목육종연구소에서 산지용으로 은백양의 암나무와 수원사시나무

수나무를 교배시켜  인공 교잡종을 개발하였는데 이 나무의 이름을

처음에는 은수원사시나무라고 하였다가 1979년에 박정희 전 대통령의

권유에 의하여 육종을 한 현신규 박사의 성을 붙혀 현사시나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은수원사시나무나 현사시나무는 현재 은사시나무에 통합되었습니다.

 

현사시나무는 한때 조림수종, 가로수 등으로 많이 보급된 바 있으나

후에 목재 이용상의 어려움과 씨앗에 달린 관모 때문에 보급이 중단

된 바 있습니다.

생장이 빠르고 재질이 물러 딱따구리가 즐겨 집을 짓던 나무라 합니다.

(나무위키, 경상북도청, 디지털도봉문화대전)

 

 

 

암수딴그루이나 간혹 암수한그루이기도 합니다. (국생지)

 

 

 

꽃은 4월에 잎이 나기 전에 피는데 짧은가지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는 꼬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회갈색 또는 적갈색입니다.

 

 

 

꽃차례는 길이가 7cm 정도이고 꽃차례 5cm 정도로 수꽃차례보다

작습니다.

 

 

 

먼저 수꽃차례입니다.

꽃차례는 처음에는 위 사진에서처럼 동그랗게 나왔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래 사진에서처럼 점차 길어집니다.

 

 

 

포는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갈색이며 가장자리가  6~11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며 긴 섬모가 밀생하나 점차 없어집니다.

수술은 6~8개이고 꽃밥은 붉은색입니다.

 

 

 

다음은 암꽃입니다.

 

 

 

씨방은 난형이고 암술대는 길이 0.5mm이며 암술머리는 붉은색으로

4~5개로 갈라집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타원형 또는 원형이고 예두이며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나 간혹 절저에 가깝기도 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빨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처음에는 털이 있다가 점차 없어집니다.

 

 

 

뒷면은 은백양처럼 백색 면모가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집니다.

 

 

 

잎자루는 둥근 편이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편평합니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으로 오래되면 기부에서 세로로 얕게 터지기도 

하며 마름모꼴 피목이 있습니다.

 

 

 

과수(果穗)는 길이 10cm정도로서 보통 100개 정도의 열매가

달립니다.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2실이며 5월에 익습니다.

 

 

 

 

 

 

 

▼ 은백양(銀白楊)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관상용으로 식재합니다.

 

(bgflora.net)

 

 

높이 20m, 지름 50cm 정도까지 자라는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

 

(PlantMaster)

 

 

암수딴그루로 꽃은 4월에 꼬리모양꽃차례에 달립니다. 

 

(Key Search)

 

 

수꽃차례는 길이 약 7cm입니다.

 

(Key Search)

 

 

수술은 5~12개이고 꽃밥은 연자주색이며 포는 연적갈색으로 넓은

피침형이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섬모가 있습니다.

 

(중국식물도감)

 

 

암꽃차례는 길이 5cm이나  과시에는 12cm까지 길어집니다.

 

(중국식물도감)

 

 

포는 둥글며 깊은 톱니가 있고 화반은 컵 모양이며 암술대는

2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집니다.

 

(중국식물도감)

 

 

잎은 어긋납니다.

긴 가지의 잎은 난형이며 윗부분이 3~5갈래로 갈라지지만 노목

(老木)에 달린 잎은 얕게 갈라지고 성긴 톱니가 있으며 첨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 8~12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백색 면모가 밀생하여 은백색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성긴

거치가 있습니다. 

엽병은 털이 있으며 길이 3cm정도이지만 긴 가지의 것은 길이

5~8cm입니다.

 

(Arbolapp)

(Arbolapp)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지만 노목이 되면

얕게 갈라지고  나무껍질에 마름모꼴 껍질눈이 뚜렷하며 수간

상층부의 나무껍질은 거의 흰색을 띠고 있습니다.

 

(Kew)

 

 

일년생가지 및 겨울눈에 백색털이 밀생합니다.

 

(중국식물도감)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 모양의 원뿔 모양이고 5월에 익으며

종자에는 털이 있습니다.

 

(Arbolapp)

(Key Search)

 

 

 

 

 

▼ 미루나무

 

구  분 미루나무 양버들 이태리포플라
수형 타원형 또는 난형 피침형 (빗자루형) 타원형 또는 난형
잎 밑부분 선체 개수 2~6개 없음 없음
잎 형태 난상 삼각형 또는 넓은 난형 마름모꼴 삼각형 또는 마름모꼴 난형 삼각형 또는 삼각상 난형
잎 크기 (3~)4~8 x 3~7.5
(길이와 너비가 비슷)
6~7 x 6.5~10.5
(너비가 길이보다 더 긺)
9~11.8 x 8~9
(길이가 너비보다 더 긺)
잎가장자리 털 있음 없음 있음

 

 

북미 원산으로 미국에서 들어온 버드나무라는 뜻에서 미류

(美柳)나무라고도 불렸던 적이 있는데 현재 정식 국명은 

미루나무입니다.

높이 30m, 지름 1m 정도까지 자라는데 가지가 많이 갈라져

상부가 옆으로 넓게 퍼지는 수형입니다.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

 

 

생장이 빠르고 이식이 잘 되기 때문에 한때 가로수로 많이 심었으나

생장이 더 빠른, 미루나무와 양버들의 잡종인 이탈리아포플러가

장려되면서부터 밀려나기 시작한 미루나무는 지금은 거의 사라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제일 큰 나무는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구내에서 자라고 있다 합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FCGov.com)

 

 

암수딴그루로 꽃은 3~4월에 잎이 나기 전에 피고 꼬리모양꽃차례에

달립니다.

 

 

 

수꽃꽃차례는 길이 7~10cm로 수술은 30~-40(~80)개이고 꽃밥은

붉은색입니다.

 

                                                                                        (중국식물도감)

(중국식물도감)

 

 

암꽃차례는 길이 5~7cm이나 과시에는 20cm까지 길어집니다.

화반은 컵 모양이고 씨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길이 0.5mm이고

암술머리는 3~4개로 갈라집니다.

 

(LSU School of Renewable Natural Resources)

 

 

잎은 어긋납니다.

 

 

 

잎은 난상 삼각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두꺼운 편이며 점첨두,

아심장저 또는 예저이고 너비보다 길이가 더 길며 가장자리에

안으로 굽는 톱니가 있습니다.

 

 

 

잎 양면에 털이 없습니다.

 

 

 

잎 밑에 2~6개의 꿀샘이 있고 잎자루는 좌우로 납작해 바람에 잘

흔들립니다.

유사한 양버들과 이태리포플라는 잎 밑부분에 꿀샘이 없다는 점이

다릅니다.

 

 

 

과수(果穗)는 길이 15~20cm입니다..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고 털이 없으며 3~4개로 갈라지고

5월에 성숙합니다.

 

(중국식물도감)

 

종자에는 갓털이 달려 있는데 나무 한 그루에서 많게는 수천 개의

종자가 방출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위키피디아)

 

(위키피디아)

 

 

나무껍질은 회색 또는 흑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집니다.

일년생가지는 털이 없고 거의 둥글며 능선이 약간 있으나 맹아에

있어서는 능선이 뚜렷합니다.

 

                                                                                            (위키피디아)

 

 

겨울눈은 털이 없으며 갈색이고 점성이 강하며 길이가 폭의 4배

정도 됩니다.

 

(Woody Plants of Ohio)

 

 

 

 

 

 

▼ 양버들

 

유럽 남부의 이탈리아 북부 롬바디(Lombardy) 원산으로 이름에는

'버들'이란 말이 들어가 있지만 버드나무속이 아니고 사시나무속입니다.

초기 생장이 빨라 일제강점기 말에 수입되어 전국적으로 하천이나

마을 주변에 식재하였으나 보다 생장이 빠른 이태리포플러가 도입된

이후로는 더 이상 심지 않고 있는 나무입니다.

가지들이 원줄기를 따라 위로 곧게 자라는 까닭에 수형이 빗자루를

닮아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House Digest)

 

 

"포플러 종류(Populus spp.)는 신속하게 성장하는 속성수(速成樹)로

 50년생이면 교목이 되어 태풍에 쉽게 쓰러질 위험에 처한다.

100살이면 한계 수명에 이른다. 연례적으로 태풍이 있는 우리나라에서

하천이나 습지 주변에 포플러 종류가 자생하지 않는 까닭이다."는 게

한국식물생태보감의 설명입니다.

그래서인가 어릴 적에는 여기저기서 간간이 보이던 이 빗자루가

언제부터인가 눈에 띄지 않습니다.

 

( Vivai Mola della Badia)

 

 

암숳딴그루로 꽃은 3~4월에 꼬리모양꽃차례에 피는데 우리나라에

있는 양버들은 대부분 수그루라고 합니다. (국생지)

 

(Wild Flowers Provence)

 

 

꽃차례는 길이 4~6cm이고 수술은 16~30개, 꽃밥은 붉은색입니다.

 

(EuForGen )

(CABI Digital Library)

 

 

암꽃차례는 길이는 약 11cm인데 과시에는 18cm까지 자랍니다.

 

(EuForGen)

 

 

화반은 기울어진 컵 모양이고 씨방은 난형으로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는 불규칙하게 2~3개로 갈라집니다.

 

(CABI Digital Library)

 

 

잎은 어긋나며 마름모 비슷한 달걀형이고 너비가 길이보다 길며

급첨두로 뒷면은 황록색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에 선체가 없고 잎자루는 편평하며 길이가 2 ~ 5cm입니다.

유사종인 미루나무와 이태리포플라는 잎의 길이가 너비보다 더

길고 또 미루나무는 잎 밑부분에 선체가 있어서 구분됩니다.

 

(Science Photo Gallery)

(nature.guide)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지며 회색, 회갈색을 거쳐 나중에는

흑갈색으로 됩니다.

양버들의 학명은 Populus nigra인데 여기서 종소명 nigra는

검은색을 의미하는 라틴어입니다.

 

(중국식물도감)

 

 

겨울눈은 가늘고 피침상 타원형으로 끈적거리며 적갈색을 띱니다.

 

                                                                                            (Go Botany)

 

 

열매는 삭과로 길이 5~7mm이며 난형이고 털이 없으며 5~6월에

익습니다.

 

(Go Botany)

 

 

종자는 아래처럼 생겼습니다.

 

(CABI Digital Library)

 

 

 

 

 

 

▼ 이태리포플라

 

유럽 원산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이탈리아에서 도입해 하천, 강둑,

민가 주변 등에 식재한 바 있는 나무로 높이 30m, 지름 1m 정도로

자라는 큰키나무입니다.

 

                                                                                           (위키피디아)

 

 

이태리포플라는 유럽산인 양버들과 북미산인 미루나무와의

교잡종입니다.

.

(KnowYourWeeds)

 

 

암수딴그루로 꽃은  4월에 꼬리모양꽃차례로 핍니다.

 

(KnowYourWeeds)

 

 

수꽃차례는 길이가 4~5cm이고 많은 꽃이 달립니다.

 

(IPS Monitor)

 

 

포는 녹갈색으로 도란형이고 13~31개로 불규칙하게 갈라집니다.

수술은 15~50개 달리고 꽃밥은 붉은색입니다.

 

(중국식물도감)

 

 

암꽃차례는 길이가 7~9cm인데 과시에는 27cm까지 자랍니다.

 

(IPS Monitor)

 

포 형태는 수꽃의 경우와 대차가 없습니다.

 

(Menuda Natura)

 

 

화반은 컵 모양이고 씨방은 타원형으로 털이 없으며 암술대는

1mm이고 암술머리는 4개로 갈라집니다.

 

(Menuda Natura)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고 9~11.8x 8~9cm로

길이가 너비보다 길며 끝이 뾰족하고 밑은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무딘 톱니가 있습니다.

 

(KnowYourWeeds)

 

 

어린잎은 붉은빛이 나지만 성숙한 것은 연한 녹색이며 양면에

털이 없습니다.

 

(Media Storehouse)

 

 

양버들처럼 잎 밑부분에 선체가 없으며 잎자루는 납작합니다.

 

(Arbolapp)

 

 

나무껍질은 회갈색에서 점차 짙은 회색으로 변하고 매끈하지만

오래 되면 세로로 깊이 갈라집니다.

 

(Arbolapp)

(Botanische Tuinen)

 

 

겨울눈은 원추형으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점차 녹갈색으로

변합니다.

 

(tree guide)

 

 

열매는 삭과이며 난형으로 5~6월에 익으면 2~3개로 갈라지고

안에는 솜털이 들어 있습니다.

 

(KnowYourWeeds)

(Brickfields Country Park)

 

 

 

 

 

 

▼ 당버들

 

먼저 유사종들의 비교표부터 만들어 봅니다.

 

구  분 당버들 황철나무 물황철나무 중국황철나무
일년생가지에 골 있음 없음
잎자루 털 없거나 산생 밀생 없음 
잎 형태 능상 난형 또는 능상 타원형 넓은 타원형, 원형, 난상 타원형, 난형, 넓은 난형 능상 난형, 능상 타원형 
잎 주름 없음 없음 뚜렷  없음
일년생가지 털 없음 적어도 어릴 때 유모 무포 
겨울눈 향기   없음 있움  
수술 개수 8~25(~40) 30~40 10~30  8~20

*** 참고로 중국황철나무의 수술 개수는 중국식물지에서는 30~35개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 자랍니다.

 

(중국식물도감)

 

 

양버들과 마찬가지로 이름에 '버들'이란 말이 들어가 있지만

버드나무속이 아니라 사시나무속입니다.

 

                                                                                            (위키피디아)

 

 

암수딴그루로 꽃은 4월에 꼬리모양꽃차례에 달리며 잎보다

먼저 핍니다.

 

(중국식물도감)

 

 

수꽃차례는 길이 2~5cm입니다.

 

(Плантариум)

 

 

화경에 털이 없으며 수술은 8~25(~40)개이고 포는 길이 3mm로서

연황색이며 가장자리가 술 모양이고 갉래조각은 선형으로 갈색입니다.

 

(Плантариум)

 

 

암꽃차례는 길이 2.5~6cm이나 과시에는 19cm까지 자랍니다.

화반은 기울어진 컵 모양이고 암술머리는 둘로 갈라집니다.

 

(중국식물도감)

 

 

잎은 능상 난형 또는 능상 타원형이며 급한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6~12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습니다.

 

(BioLib)

 

 

잎 표면은 연한 녹색으로 광택이 나고 털이 없습니다.

 

(BioLib)

 

 

뒷면은 흰빛이 돌거나 황록색이며 털이 없거나 주맥이 털이 

산생합니다.

 

(중국식물도감)

 

 

일년생가지에 홈이 있다는 점이 홈이 없는 황철나무나 물황철나무와 

다릅니다.

잎자루는 황철나무나 물황철나무와 더불어 원통형으로 위쪽에 좁은

홈이 있어 잎자루가 납작한 미루나무, 양버들, 이태리포플라와 구분

됩니다.

또한 잎자루는 길이 1~2cm로서 대개 붉은 빛이 돌고 털은 없거나

산생합니다.

유사한 황철나무나 물황철나무는 잎자루에 털이 밀생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Treemail)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며 3.5~8mm이고 대개 2실(간혹 3실)이며

털이 없고 5월에 결실합니다.

 

(Kew)

(Kew)

 

 

나무껍질은 어릴 때는 회갈색인데 나이가 들면서 점차 회색 또는

진한 회색으로 변하고 오랫동안 밋밋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점차

갈라집니다.

 

(중국식물도감)

 

 

겨울눈은 황갈색 또는 갈색이고 피침형 또는 좁은 원추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털은 없거나 산생하며 점질이 약간 있습니다.

 

(중국식물도감)

 

 

 

 

 

▼ 황철나무, 물황철나무, 중국황철나무

 

다음 링크 참조 바랍니다. ==>  https://kualum.tistory.com/1704836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