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곰취4

곰취속 식물들 비교 : 곰취, 곤달비, 갯취, 개담배, 긴잎곰취, 무산곰취, 한대리곰취, 화살곰취, 어리곤달비 표제 곰취속 식물들 모두 자생식물들입니다. 이중 남한에서 자라는 건 곰취, 곤달비, 갯취뿐입니다. 먼저 이상태의 한국식물검색집에 수록된 곰취속 검색표부터 소개합니다. 1. 두화는 줄기 끝에 1개 달린다 ........................................................................................ 화살곰취 1. 두화는 여러 개가 총상 또는 산방상으로 달린다 2. 설상화가 5개 이하이다 3. 잎은 긴 타원형, 설상화는 3-5개이다 ...................................................................... 개담배 3. 잎은 삼각상 심장형, 설상화는 1-3개이다 ..................... 2022. 7. 5.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L.)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합니다.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호습성 식물이고요. 꽃잎처럼 보이는 건 꽃받침이고 꽃잎은 없습니다. 꽃받침잎은 5~7개이고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4~16개입니다. 잎은 둥근 심장형입니다. 잎 모습이 곰취와 비슷해 해마다 동의나물 잎을 잘못 먹고 식중독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생긴다고 하네요. 동의나물은 꽃은 아름답지만 간독성 효과를 일으키는 '쿠마린', 심장마비를 유발하는 '아네모닌'등의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유독성 식물입니다. 2021. 4. 7.
참닻꽃, 곰취 ▼ 참닻꽃 이맘때쯤 가평에 있는 화악산으로 참닻꽃을 보러 가는 일은 연례행사인데 올해도 그 연례행사를 거르지 않았지요. 국내에서는 화악산과 강원도 이북의 일부 지역에서만 서식하고 있는데 도로건설을 위한 산지 개발과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절멸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하네요. 화악산 참닻꽃도 해마다 그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2020. 2. 28일자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 보도자료 "한국나무벌, 참닻꽃 등 1,801종 자생종으로 새로 등록"에 따르면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닻꽃은 잘못된 정보 였다는군요. ( https://www.nibr.go.kr/cmn/board/SYSTEM_DEFAULT000004/62278bbsDetail.do ) 그 보도자료 내용 중 참닻꽃과 관련된 부분을 아래에.. 2020. 8. 19.
곰취 곰취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뿌리에 모여 나는 심장형의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뿌리잎 사이에서 나와 길고 곧게 서는 줄기에는 보통 3장의 심장형 잎이 어긋나는데, 위로 올라 갈수록 작아지고 잎자루 밑 부분은 줄기를 감쌉니다. 줄기 윗부분에 노란색 꽃이 총상꽃차.. 2007.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