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

전남 담양 : 땅비수리, 호비수리

by 심자한2 2011. 9. 5.

1. 땅비수리

 

비수리 종류도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

한 번 시도해보겠습니다.

우선 제가 발견한 비수리 종류는 직립하지 않고 옆으로 비스듬히 누워서 자라고 있었지요.

주변 풀들의 영향으로 그런 것으로 보이기에 이걸 욘석의 속성으로 보기에는 좀 무리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꽃 색은 흰색이었고 내륙 산에서 자라고 있었습니다.

 

꽃비수리는 꽃 색이 붉은 자주색이며 강원도 태백산에서 자랍니다.

넌출비수리는 남쪽 바닷가에서 자랍니다.

청비수리는 인천 근방에 납니다.

개파리채는 3출엽인데 소엽이 선상 타원형으로 길이가 폭의 3배를 초과합니다.

털파리채는 뿌리에서 맹아가 나온다는 기술만 추가되었지 땅비수리와 자료의 설명이

모두 일치합니다.

 

이상의 표현들이 모두 제가 찍어 온 사진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제 남은 건 땅비수리, 비수리, 호비수리뿐입니다.

 

우선 비수리는 꽃차례가 잎보다 짧으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는데 아래 사진 속에 있는

꽃대는 잎보다 훨씬 깁니다.

호비수리는 소엽이 긴 타원형이고 뒷면에 짧은 털이 밀생하며 가지가 굵다고 되어 있는데

이런 점들이 아래 사진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남는 건 땅비수리 하나뿐이네요.

혹시 괭이싸리가 아닌가 조사해봤는데 괭이싸리는 3출엽이긴 하지만 소엽이 도란형이며

비수리처럼 꽃차례가 잎보다 짧습니다.

긴괭이싸리와 땅괭이싸리는 이북에서나 자라구요.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화경이 잎보다 훨씬 깁니다. 

 

아래는 전초 사진인데 사진이 제대로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 일부를 확대해보았지요.

왼쪽에 있는 꽃을 보면 화경이 잎보다 훨씬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꽃차례는 총상꽃차례인데 긴 화경에 꽃이 하나 달리고 그 위로 약간 휘어진

꽃차례에 꽃봉오리 2개가 달렸습니다.

일반적으로 긴 화경 중간에 꽃이 1~2개 달리고 그 다음 꽃이 달리는 화경은 휘어져

있더군요.

어찌 보면 취산꽃차례 비슷하기도 합니다.

우측에 있는 꽃은 2개씩 2번 달렸습니다.

호비수리의 줄기는 황갈색 내지 녹갈색이고 가지가 굵은데 이 점은 아래 사진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땅비수리의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선상 타원형, 긴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원두, 절두 또는 약간 요두이며 예저이다.>>고 되어 있는데 아래의 잎은 타원형쯤 되어

보이고 원두에 예저는 아니고 원저처럼 보입니다.

호비수리의 <<잎은 호생하고 우상 3출엽이며 .... 소엽은 긴 타원형이고 ... 둔두 또는 소점첨두에

원저이다>>고 되어 있는데 일단 잎이 긴 타원형이란 점이 사진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사실 유사 식물 구분에 있어서 잎의 형태를 기준으로 한다는 건 무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니 잎 형태에 대한 것은 이쯤에서 그냥 넘어가기로 합니다.

 

땅비수리의 경우 잎의 털 유무에 대한 언급이 자료에 없습니다.

호비수리의 경우 잎의 앞면에는 <<복모(伏毛)가 있거나 없>>다고 되어 있고

 

뒷면에는 짧은 털이 밀생한다고 되어 있는데 아래 잎 뒷면 사진에서 짧은 털이

있기는 한데 밀생한다고 표현하기에는 너무 성깁니다.

 

가지에 털이 있다는 기술은 둘 다 일치합니다.

 

상기와 같은 사유로 욘석을 땅비수리로 동정합니다.

이름에 <<땅>>자가 들어간 점으로 미루어 욘석은 바닥을 기면서 자라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체가 무엇이든 간에 꽃은 정말 이쁘네요.

 

 

 

 

 

 

 

 

2. 호비수리

 

 

아래 사진은 어저께 포천에 있는 국망봉 가는 길에 도로변에서 찍은 것인데 상기

땅비수리와 비교하기 위해 여기에 올립니다.

 

 

우선 상기의 땅비수리는 줄기가 아주 가늘어서 언뜻 봐도 초본임을 알 수 있었지요.

그런데 욘석은 줄기와 가지가 아주 굵더군요.

자료에서는 호비수리는 원줄기와 가지가 굵어서 흔히 옆으로 눕고 <<반관목성 또는

다년초>>라고 되어 있습니다..

호비수리를 동정하는데 이 점이 아주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름의 유래는 모르겠지만 <<호>>자가 이 식물의 반관목성 특징을 보고 붙은 게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욘석은 처음부터 아래처럼 쓰러져 있더군요.

일으켜 세워보았지만 이내 다시 쓰러졌습니다.

 

화경은 땅비수리와 달리 그다지 길지 않습니다.

 

화경은 <<엽액에서 총상화서로 나오지만 꽃이 다소 밀집되어 두상으로 보인다.>>는

자료의 표현도 아래 사진과 일치합니다.

가지에 털이 꽤 있는 편이군요.

 

꽃이 분홍색을 많이 띄고 있어서 혹시 올초에 새로 등재된 자주비수리라는

외래식물이 아닌가 했는데 자주비수리는 소포편이 꽃받침통과 길이가 비슷하다는

점이 아래 사진과 상이해 고려대상에서 제외시켰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녹색의 꽃받침통 밑에 붙어 있는 붉은색의 것이 소포편입니다.

이 점을 제외한 여타의 설명문은 사진과 대부분 일치하므로 욘석이 자주비수리일

수도 있을 겁니다.

( http://www.wildgreen.co.kr/418505 <--- 자주비수리에 대해서는 이

주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소엽은 긴 타원형입니다.

 

잎 뒷면에는 짧은 털이 밀생합니다.

 

줄기는 황갈색 또는 녹갈색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