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싸리속은 앵글러 분류체계로는 대극과이고 APG IV 분류체계로는
여우주머니과입니다.
자생식물 : 광대싸리
재배식물 : 비로사광대싸리
▼ 광대싸리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
"중생식물로 주로 개울가나 계곡 주변에서 번성하고 산기슭 및 산
중턱의 건조한 곳에서도 자"랍니다.(국생지)
*** 중생식물 (中生植物) : 습생 식물과 건생 식물의 중간적 형질을
가진 식물. 수분이 적당한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대부분의 식물이
이에 해당한다. (네이버사전)
떨기나무 또는 작은키나무로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보통 1~3m이지만 높이 10m, 지름 21㎝에 달하는 것도 간혹 있으며
가지는 끝이 밑으로 처지고 갈색이 돕니다.
다음은 '한국색물생태보감 I'에 실려 있는 광대싸리 이름의 유래에 관한
설명입니다.
한글명 광대싸리는 한반도 북쪽 지방에서 광대놀이처럼 굿할 때에
싸리 대신 사용했던 것에서 유래한 이름이거나, 싸리나무를 닮았지만
싸리나무가 아닌 것으로부터 유래하는 이름일 것이다.
우리말 광대란 ‘얼굴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기 때문에 진짜 싸리나무가
아닌 것에서 광대를 덧붙인 것으로 보인다. 한자명(葉底珠, 엽저주)은
잎바닥(葉底)에 매달린 구슬(珠) 모양 열매 형상에서 유래한다.
일본명 히토쭈바하기(一葉萩, 일엽추)는 잎 1개짜리 싸리라는 의미다.
식물체 분위기는 싸리나무이지만, 콩과의 싸리나무 종류의 특징인 3출
복엽(三出複葉)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음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나오는 광대싸리의 용도에 관한
글입니다.
광대싸리는 이른 봄 어린 싹을 나물로 먹기도 했지만 화살 재료로
쓰였던 기록이 더 많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쓰는 전통 화살은 흔히 산죽으로 불리는 조릿대,
신이대, 이대로 만들었다. 이른바 대나무 화살이다.
산죽은 종류에 따라 북한지역에도 분포하지만 추운지방으로 갈수록
분포지도 적어지고 품질도 나빠져 화살대용 나무가 필요할 때
광대싸리를 대신 사용하게 되었다.
광대싸리는 서수라목(西水羅木)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는 조선 세종 때 북동 방면의 여진족 습격에 대비해서 개척한
경흥도호부의 군사 요충지인 서수라를 지키기 위해 광대싸리 화살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유래한 이름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월 말~6월 말 개화하며 녹황색이고 꽃잎은
없습니다.
먼저 수꽃입니다.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2~18개씩 모여 피며 지름이 3mm이고 꽃자루는
길이 2~4mm입니다.
꽃받침은 보통 5갈래로 갈라지며 꽃받침조각은 타원형, 난형 또는
원형이고 가장자리는 주로 밋밋한데 미세한 톱니가 있기도 합니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은 난형이며 꽃턱 꿀샘도 5개입니다.
흔적 자방은 원기둥형으로 끝이 2~3개로 갈라져 있습니다.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2~5개씩 피며 꽃자루가 5~10mm로서
수꽃보다 깁니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타원형에서 난형이고 가장자리는 거의 밋밋하며
암술대는 3개로 끝이 2개로 갈라지고 곧게 서거나 뒤로 굽습니다.
자방은 난형이고 3실입니다.
잎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드물게 도란형이고 종이처럼 얇습니다.
밑부분은 둔하거나 날카롭고 가장자리는 전연이거나 때로는 불규칙하게
톱니 모양 또는 물결 모양이며 끝은 뾰족하거나 둔합니다.
측맥은 5~8쌍으로 양면에서 돌출하고 망상맥도 약간 도드라집니다.
잎 양면에 털은 없어 보입니다.
줄기는 털이 없습니다.
열매가 달릴 때 자루는 2~15mm이고 꽃받침조각이 남아 있습니다.
삭과는 삼각형에 가까운 편평한 구형으로 지름 2~5mm이고 7~10월에
황갈색으로 익으며 세 줄의 홈이 있고 익으면 3갈래로 갈라져 6개의
종자가 나옵니다.
▼ 비로사광대싸리 (Flueggea virosa)
비로사광대싸리는 재배식물로 열매가 흰색이라는 게 광대싸리와 구분
되는, 가장 큰 특징입니다.
학명 중 종소명 virosa는 독성이 있다는 의미의 라틴어에서 따왔습니다.
자료에 의하면 광대싸리나 비로사광대싸리나 둘 다 독성물질인 여러
가지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는데 굳이 비로사광대싸리에 virosa란
종소명을 붙인 것으로 보아 비로사광대싸리의 독성이 더 강한가 봅니다.
아래는 독성에 대한 ChatGPT의 설명인데 신뢰도가 100%는 아니라는
점 참고 바랍니다.
두 종 간의 비교표를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구 분 | 광대싸리 | 비로사광대싸리 |
학 명 | Flueggea suffruticosa | Flueggea virosa |
높 이 | 보통 1~3m | 보통 1~6m |
잎 몸 |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 드물게 도란형 | 타원형, 도란형 또는 원형 |
잎 크기 | 1.5-8 × 1-3 cm | 2-5 × 1-3 cm |
열매 색 | 황갈색 | 흰색 |
꽃 색은 광대싸리와 대차 없습니다.
(Territory Native Plants)
잎은 광대싸리가 주로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인 데 비해 비로사광대싸리는
타원형, 도란형 또는 원형입니다.
(Flora of Zimbabwe)
광대싸리의 열매가 황갈색인 데 비해 비로사광대싸리는 흰색입니다.
(Wildflower Nursery)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과 산딸기속 식물들 비교 (2) : 가시딸기, 거지딸기, 검은딸기, 겨울딸기, 곰딸기, 나무딸기, 노랑섬나무딸기, 멍덕딸기, 멍석딸기, 섬나무딸기, 수리딸기, 제주산딸기, 줄딸기, 진들딸기, 호프잎딸기, 흰곰딸기, 바위딸기, 바위산딸기 (4) | 2025.07.02 |
---|---|
곰딸기, 흰곰딸기, 멍석딸기, 멍덕딸기 비교 (0) | 2025.06.28 |
광대싸리 (0) | 2025.06.28 |
털중나리 (0) | 2025.06.28 |
가는기린초 (0) | 2025.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