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10

'사위질빵' 종류 비교 : 사위질빵, 작은사위질빵, 좀사위질빵, 좁은잎사위질빵, 할미밀망 ▼ 사위질빵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  일년생 가지 끝이나 엽액에서 나온 취산상 원추꽃차례에 7∼27개의많은 꽃이 달립니다.  꽃은 양성화로 꽃받침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4개가 십자 모양으로달리고 꽃잎은 없습니다.  수술과 암술은 많습니다.  잎은 마주나며 3출엽인데 간혹 2회 3출겹잎이 섞여 있기도 합니다.작은잎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가장자리에 깊이 파인 톱니가 드문드문 있습니다.      ▼ 작은사위질빵 우리나라 전라남도 보길도, 제주도 등에서 자생하고 바닷가 산지에서서식합니다.사위질빵은 꽃이 7∼27개씩 달리고 꽃밥은 좁은 장타원형으로 길이  1.2∼2.2mm이며 잎이 3출엽인 데 비해 작은사위질빵은 꽃이 1~3개씩 달리고 꽃밥은 타원형으로 길이 1mm 정도로 짧고 마르면 검은색으.. 2024. 8. 4.
'종덩굴 ' 종류 비교 : 종덩굴, 세잎종덩굴, 검종덩굴, 두류산종덩굴, 바위종덩굴, 산종덩굴, 자주종덩굴, 좀종덩굴, 털종덩굴, 개버무리, 요강나물 아래는 2022년 식물분류학회지에 실린 논문 'Clematis pseudotubulosa (Ranunculaceae),a new species from Korea'에소개된 으아리속 식물들 검색표 중에서 종덩굴 관련 부분만 캡처해 온 겁니다.   다음은 한국식물지에 있는 관련 검색표 중 일부입니다.국명은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요강나물, 검종덩굴, 종덩굴입니다.   이하에서 하나씩 사진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종덩굴 덩굴성 나무입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 자랍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종 모양이고 암자색입니다.꽃자루 밑에 잎처럼 생긴 포 2장이 달리고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습니다.   꽃받침은 4장으로 꽃잎처럼 보이며 두껍고 끝이 뒤로 젖혀지고,.. 2024. 8. 4.
으아리 종류 비교 : 으아리, 참으아리, 외대으아리, 대구으아리, 큰꽃으아리, 위령선 아래는 한국식물지에 있는 으아리속 검색표 중 으아리 관련 부분만 캡처한 겁니다. 1. 꽃은 둥글고 꽃받침은 퍼지며 수술은 무모    7. 꽃 지름 5cm 이상; 꽃받침조각 7~9개 ----------------------------------------- 큰꽃으아리    7. 꽃 지름 4cm 이하; 꽃받침조각 4~7(~8)        8. 작은잎 가장자리 밋밋            9. 잎 1~2회 깃꼴겹잎; 작은잎 선형 내지 피침형 ------------------ 좁은잎사위질빵            9. 잎 1회 깃꼴겹잎 또는 1회 삼출, 작은잎 3~5개, 장방형 내지 반원형,                                또는 좁은 난형 내지 넓은 난형                 10. 직.. 2024. 8. 1.
'조희풀' 종류 비교 : 병조희풀, 자주조희풀, 덩굴조희풀 아래는 나중에 소개할 덩굴조희풀 관련 논문에 실려 있는 으아리속 검색표 중 조희풀 관련 부분만 캡처해서 번역한 겁니다.9, 식물체 덩굴성, 꽃은 양성화 ----------------------------------------------- 덩굴조희풀9. 줄기 직립; 꽃은 수꽃양성화한그루 또는 수꽃양성화딴그루     10. 수꽃양성화한그루; 꽃받침 난형, 향축면 무모 ---------------------- 병조희풀    10. 수꽃양성화딴그루; 꽃받침 주걱형, 향축면 유모 ---------------- 자주조희풀     ▼ 병조희풀 한국 특산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   줄기가 직립하여 자라며 덩굴성이 아닙니다.   꽃은 7~9월에 줄기 끝이나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복취산화서로 모여 달리고, 보라색 또는.. 2024. 8. 1.
박하 *** 박하속(박하, 털박하)와 개박하속(개박하, 간장풀, 형개) 식물들 비교     ==>  https://kualum.tistory.com/17046506 2024. 7. 31.
계요등 *** 계요등속 식물들 비교 : 계요등, 좁은잎계요등, 털계요등     ==>  https://kualum.tistory.com/17046521 2024. 7. 31.
왜당귀 열매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길이 4-5mm로서 뒷면의 능선이 가늘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습니다. 2024. 7. 31.
'연꽃' 종류 비교 : 연꽃속 - 연꽃; 가시연속 - 가시연꽃; 개연꽃속 - 개연꽃, 남개연꽃, 왜개연꽃, 참개연꽃; 어리연꽃속 - 어리연꽃, 노랑어리연꽃, 좀어리연꽃 '연꽃'이란 이름이 들어간 식물들 한번 비교해 보기로 합니다.이름에는 '연꽃'이란 말이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긴 하지만 각각의분류학적 위치는 아래와 같이 꽤 다른 편입니다. 연꽃과 연꽃속재배식물 : 연꽃수련과 개연꽃속자생식물 : 개연꽃, 남개연꽃, 왜개연꽃, 참개연꽃수련과 가시연속자생식물 : 가시연꽃조름나물과 어리연꽃속자생식물 : 어리연꽃, 노랑어리연꽃, 좀어리연꽃     ▼ 연꽃 수련과 연꽃은 형태는 유사하지만 분류학적 위치는 사뭇 다릅니다.둘 다 피자식물인데 수련은 피자식물의 진화에 있어서 초기 단계인원시피자식물에 속하고 연꽃은 보다 진화가 진행된 진정쌍자엽식물단계에 속합니다.아래는 국립수목원 탐방 중 찍어 온 안내문인데 참고가 될 것 같아소개합니다..   연꽃은 잎과 꽃이 물 위로 솟아올라 있는 정수.. 2024. 7. 31.
수련과 수련속 식물들 비교 : 수련, 미국수련, 각시수련, 꼬마수련, 유럽수련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된 수련속 식물은 아래와 같습니다.자생식물 : 수련, 각시수련, 꼬마수련재배식물 : 미국수련, 유럽수련 -------------------------------------------------------------------------------------- 수련과 연꽃은 형태는 유사하지만 분류학적 위치는 사뭇 다릅니다.둘 다 피자식물인데 수련은 피자식물의 진화에 있어서 초기 단계인원시피자식물에 속하고 연꽃은 보다 진화가 진행된 진정쌍자엽식물단계에 속합니다.아래는 국립수목원 탐방 중 찍어 온 안내문인데 참고가 될 것 같아소개합니다..   다음은 2016년 환경부 보도자료인데 수련속 식물들에 관한특징이 비교적 잘 정리되어 있기에 소개합니다.( 출처 : https://www.korea... 2024. 7. 28.
마디풀과 범꼬리속 식물들 비교 : 범꼬리, 가는범꼬리, 넓은잎범꼬리, 눈범꼬리, 둥근범꼬리, 북범꼬리, 씨범꼬리, 이른범고리, 참범꼬리, 호범꼬리, 흰범꼬리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범꼬리속 식물들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자생식물 : 범꼬리, 가는범꼬리, 넓은잎범꼬리, 눈범꼬리,                  둥근범꼬리, 북범꼬리, 씨범꼬리, 이른범고리,                  참범꼬리, 호범꼬리, 흰범꼬리  먼저 범꼬리속 식물들 검색표부터 소개합니다.1. 뿌리줄기는 뒤틀리지 않았고 보통 염주형이며, 종종 가지를 침;     꽃차례는 정생과 액생 ----------------------------------------------------------- 눈범꼬리1. 뿌리줄기는 뒤틀리고 염주형이 아님; 꽃차례는 정생    2. 꽃차례는 밑부분에 살눈이 있고 잎자루는 날개가 없음 ------------- 씨범꼬리    2. 꽃차례는 살눈이 없.. 2024. 7. 27.
두충속 식물들 비교 : 두충 두충은 앵글러 분류체계로는 두충과 두충속이고  APG Ⅳ 분류체계로는 가리아과 두충속으로 각각의 속 내에서 유일종입니다.두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재배식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두충은 중국 특산으로 세계적으로 1과 1속 1종밖에 없습니다.(국생지)야생에서는 멸종되었으나 중국에서는 약재용으로 각지에서 널리 재배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우리나라에는 1926년 당시 임업시험장 촉탁이며 동경대학 교수였던 나까이 박사가 최초로 도입하여 홍릉에 있는 임업연구원 수목원에 심었다."고 합니다.(국생지)현재는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지에서 재배하고 있는데 일부는야생화하여 자라고 있기도 합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사진 출처 : Trees and Shrubs Online)  꽃은 암수딴그루로 5월에 잎겨드랑.. 2024. 7. 27.
'양귀비' 종류 비교 : 양귀비속 - 양귀비, 두메양귀비, 흰양귀비, 개양귀비, 나도양귀비, 좀양귀비, 바늘양귀비; 물양귀비속 - 물양귀비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양귀비 종류는아래와 같습니다.양귀비과 양귀비속자생식물 : 두메양귀비, 흰양귀비재배식물 :양귀비, 개양귀비, 나도양귀비, 외래식물 :좀양귀비, 바늘양귀비택사과 물양귀비속재배식물 : 물양귀비 먼저 인터넷 'KBS뉴스'에 실린 한 양귀비 관련 기사에 유용한일부 양귀비속 비교표가 있기에 이를 아래에 전재합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53557 )아래 사진 속에서 가운데 있는 것은 국명이 나도양귀비입니다.      ▼  양귀비 양귀비는 지중해 연안 및 소아시아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약용으로 재배하며 높이는 50-150cm입니다. 양귀비(楊貴妃)는 기원전 6천년 전부터 재배되었으며 꽃 이름은당나라 현종의.. 2024. 7. 26.
'기름나물' 종류 비교 : 기름나물속 - 기름나물, 산기름나물, 갈기기름나물, 갯기름나물, 동강기름나물, 두메기름나물, 두메방풍, 미로기름나물, 백운기름나물, 섬기름나물; 가는기름나물속 - 가는기름나물; 털기름나물속 - 가는잎방풍, 털기름나물; 덕우기름나물속 - 덕우기름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산형과 기름나물속 및가는기름나물속, 털기름나물속, 덕우기름나물속 식물들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름나물속자생식물 : 기름나물, 산기름나물, 갈기기름나물, 갯기름나물,                  동강기름나물, 두메기름나물, 두메방풍, 미로기름나물,                  백운기름나물, 섬기름나물가는기름나물속자생식물 : 가는기름나물털기름나물속자생식물 : 가는잎방풍, 털기름나물덕우기름나물속자생식물 : 덕우기름나물  아래 검색표들은 모두 한국식물지에 수록되어 있는 것들입니다.먼저 기름나물속에 대한 검색표부터 소개합니다아래 검색표에서는 가는기름나물이 기름나물속에 포함되어 있는데 지금은 가는기름나물속으로 독립하였습니다.   아래 검색표에서 산기름나물은 정생소엽이 삼각형이.. 2024. 7. 24.
자주천인국 *** 원추천인국속/자주천인국속/인디언국화속 식물들 비교 : 원추천인국속     -삼잎국화, 겹삼잎국화, 원추천인국, 수잔루드베키아; 자주천인국속     -자주천인국; 인디언국화속-인디언천인국     ==>  https://kualum.tistory.com/17047522 2024. 7. 22.
닥나무 잎과 열매 닥나무는 애기닥나무와 꾸지나무의 교잡종입니다.   잎은 갈라지지 않거나 불규칙적으로 갈라집니다.    열매는 핵과이고 둥글며 6~7월에 붉은빛으로 익습니다.열매가 딱 하나 달려 있었는데 그나마 덜 성숙한 것이더군요.   *** 닥나무, 애기닥나무, 꾸지나무 검색표     ==>  https://kualum.tistory.com/17048575 2024.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