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17

털마삭줄 '트라이컬러' *** 마삭줄속 식물들 비교 : 마삭줄, 털마삭줄, 마삭줄 '바리에가툼',     털마삭줄 '트라이컬러', 백화등==> https://kualum.tistory.com/17049034 2024. 5. 1.
털마삭줄 *** 마삭줄속 식물들 비교 : 마삭줄, 털마삭줄, 마삭줄 '바리에가툼',     털마삭줄 '트라이컬러', 백화등==> https://kualum.tistory.com/17049034 2024. 5. 1.
미나리아재비와 만주미나리아재비에 대한 소고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만주미나리아재비는 " 미나리아재비에 비해퍼진 거센털이 있어 구분하기도 하지만, 같은 종으로 보기도 한다."고설명하고 있습니다.이 설명을 확인하기 위해 수목원에 있는 만주미나리아재비와 그간여기저기서 찍어 두었던 미나리아재비 사진을 아무리 비교해 봐도육안으로는 두 종 간의 털 특징 차이를 못 느끼겠더군요.그래서 두 종을 확실히 구분해 줄 수 있는 특별한 동정 포인트가 있지않을까 싶어 여기저기 기웃거리다가 마침내 Flora of Korea에서 그 해답을  찾았습니다.아래는 Flora of Korea에 있는 미나리아재비속 식물들 검색표 중에서미나리아재비 및 만주미나리아재비와 관련된 부분만 발췌하여 번역한것인데 이 둘을 차별화시키는 가장 큰 특징은 기는줄기 유무네요. 5. 수과는 렌즈 모양이고.. 2024. 5. 1.
미나리아재비 ▼   *** 미나리아재비에 대한 설명 ==>  https://kualum.tistory.com/17048652 2024. 4. 30.
꿀풀과 벌깨덩굴속 식물들 비교 : 벌깨덩굴, 흰벌깨덩굴, 붉은벌깨덩굴 우리나라 벌깨덩굴속 식물은  벌깨덩굴 하나뿐입니다.흰벌깨덩굴과 붉은벌깨덩굴은 벌깨덩굴에 통합되었습니다.     ▼ 벌깨덩굴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랍니다.   "꽃이 피어 있을 때는 위로 곧게 자라지만 꽃이 지고 종자가 결실되기시작하면 덩굴처럼 다른 식물을 감고 있는데, 이는 처음 모습과는 확연히다른 모습으로 변하는 식물이다. 그래서 철 지난 후 자생지에 가면 원래의모습은 없고 덩굴만 있어 다른 식물로 오인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합니다. (야생화도감)   꽃은 4~6월에 피고 꽃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한쪽을 향해 달리며 보라색입니다.    꽃대에 5쌍 정도의 잎이 붙어 있습니다.     벌깨덩굴속 식물은 잎겨드랑이에 꽃이 하나씩만 달려서 꽃이 달리는 마디 하나당 꽃이 2개가 달리며 같은 방향을 향하.. 2024. 4. 30.
개찌버리사초와 골사초 비교 ▼ 개찌버리사초        ▼ 골사초 2024. 4. 30.
개찌버리사초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랍니다.   정소수에는 수꽃만 달리고 측소수에는 암꼼만 달립니다.   정소수입니다.   측소수입니다.   *** 개찌버리사초와 골사초 비교 ==>  https://kualum.tistory.com/17049416 2024. 4. 30.
화살나무 잎 뒷면, 특히 맥 위에 털이 많은 것을 털화살나무라고 따로 분류하는데욘석은 맥 위에 잔털만 아주 약간 있어 보이니 이 정도면 그냥 화살나무라고해도 되겠지요?   *** 화살나무속 식물들 비교 : 회나무, 참회나무, 나래회나무, 참빗살나무,      좀참빗살나무, 화살나무, 털화살나무, 회잎나무, 회목나무, 사철나무,     좀사철나무, 줄사철나무, 섬회나무, 백두산회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6819 2024. 4. 30.
당회잎나무 --> 화살나무 가지에 날개가 없다는 점이 화살나무와 다르고 잎 뒷면에 털이있다는 점이 회잎나무와 다른데 지금은 화살나무에 통합되었습니다.   *** 화살나무속 식물들 비교 : 회나무, 참회나무, 나래회나무, 참빗살나무,      좀참빗살나무, 화살나무, 털화살나무, 회잎나무, 회목나무, 사철나무,     좀사철나무, 줄사철나무, 섬회나무, 백두산회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6819 2024. 4. 30.
당회잎나무 --> 화살나무 가지에 날개가 없다는 점이 화살나무와 다르고 잎 뒷면에 털이있다는 점이 회잎나무와 다른데 지금은 화살나무에 통합되었습니다.   *** 화살나무속 식물들 비교 : 회나무, 참회나무, 나래회나무, 참빗살나무,      좀참빗살나무, 화살나무, 털화살나무, 회잎나무, 회목나무, 사철나무,     좀사철나무, 줄사철나무, 섬회나무, 백두산회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6819 2024. 4. 30.
큰애기나리 *** 애기나리와 큰애기나리의 비교 ==> https://kualum.tistory.com/17045422  *** 애기나리속 식물들 비교 : 애기나리, 큰애기나리, 윤판나물, 윤판나물아재비     ==>  https://kualum.tistory.com/17048278 2024. 4. 30.
금낭화 꽃술의 구조 관찰 금낭화의 암술과 수술 모습이 궁금하여 한번 관찰해 보았습니다.     꽃잎은 4장이 합쳐져서 편평한 심장형으로 되는데 바깥쪽 꽃잎 2장은 끝이 좁아져서 바깥쪽으로 젖혀지고 안쪽 꽃잎 2장은 흰색으로 합쳐져서 돌기처럼 됩니다.   암술은 1개이고 수술은 6개인데 3개씩 모여 2개의 묶음으로 되어있고 이 꽃술은 돌기처럼 된 안쪽 꽃잎 안에 아래처럼 들어 있습니다.   꽃밥들이 들어 있는 꽃잎 부분을 옆에서 보면 갈라져 있어 꽃잎 두 개가 하나처럼 붙어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조금만 힘을 줘도 갈라진 꽃잎 사이로 암술과 수술이 튀어 나옵니다.   꽃잎을 벗겨낸 뒤 암술과 수술의 모습입니다.   위 사진들에서는 하나의 수술군에 꽃밥이 2개씩만 보이는데 그건촬영 각도상 단지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이고 실.. 2024. 4. 30.
개감수 개감수가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했습니다.암술만 겨우 나오고 수술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대극속 식물들 비교 : 대극, 두메대극, 단주대극, 등대풀, 붉은대극,암대극, 참대극, 흰대극, 개감수, 낭독, 톱니대극, 아메리카대극,솔잎대극, 꽃기린, 설악초, 포인세티아, 땅빈대, 애기땅빈대, 큰땅빈대,누운땅빈대, 뿌리땅빈대, 털땅빈대==>  https://kualum.tistory.com/17049215 2024. 4. 29.
올괴불나무 열매 두 개가 서로 떨어져 달리는데 욘석은 열매 한 개가 떨어져 나갔네요.   *** 인동속 식물들 비교 : 괴불나무, 각시괴불나무, 청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올괴불나무, 왕괴불나무, 섬괴불나무,      홍괴불나무, 흰괴불나무, 흰등괴불나무, 분홍괴불나무,      털괴불나무, 볼레괴불나무 ...      ==>  https://kualum.tistory.com/17046975 2024. 4. 29.
좀씀바귀 *** '씀바귀' 종류 비교 : 씀바귀, 흰씀바귀, 갯씀바귀, 냇씀바귀,      선씀바귀, 노랑선씀바귀, 벋음씀바귀, 벌씀바귀, 좀씀바귀,      함흥씀바귀, 불꽃씀바귀, 산씀바귀      ==>  https://kualum.tistory.com/17042773 2024.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