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09

광릉갈퀴 광릉갈퀴 : 콩과, 여러해살이풀 간혹 이를 광릉갈퀴나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광릉갈퀴는 나무가 아니고 풀입니다. "광릉"이란 말은 광릉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기에 붙은 말입니다. 식물명에 갈퀴란 말이 붙으면 덩굴성으로 덩굴손의 모양이 시골에서 쓰는 갈퀴 같이 보인다 하여 붙인 이름입.. 2007. 7. 10.
곰취 곰취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뿌리에 모여 나는 심장형의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뿌리잎 사이에서 나와 길고 곧게 서는 줄기에는 보통 3장의 심장형 잎이 어긋나는데, 위로 올라 갈수록 작아지고 잎자루 밑 부분은 줄기를 감쌉니다. 줄기 윗부분에 노란색 꽃이 총상꽃차.. 2007. 7. 10.
개시호 개시호 : 산형과, 여러해살이풀 식물 전체 모습도 찍었는데 주변의 풀들과 구분이 안 되어서 빼버렸네요. 식물 전체 모습이 없으니 처음 보시는 분들은 이게 어떤 걸 말하는지 헷갈릴 겁니다. 수목원 이름표에는 시호라고 되어 있었으나 시호는 잎맥이 평행한데 사진 속 식물은 잎맥이 그렇지 않습니.. 2007. 7. 10.
산닥나무 산닥나무 : 팥꽃나무과, 갈잎떨기나무(낙엽관목) 수목원 팻말에는 강화산닥나무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강화산닥나무는 주로 인천시 강화군에서 자라며 산닥나무보다 꽃이삭이 좀 더 긴 것을 말했는데 이번에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산닥나무에 통합시켜버렸네요. 나무껍질은 갈색이며 밋밋합니다. .. 2007. 7. 10.
고추나물 고추나물 : 물레나물과, 혀러해살이풀 줄기는 둥글고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칩니다. 줄기에 마주나는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밑 부분은 합쳐져서 줄기를 감쌉니다. 피침형 잎은 표면에 검은색 잔점이 많고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줄기나 가지 끝에 노란색 꽃이 하늘을 보고 피는데 5장의 꽃잎.. 2007. 7. 10.
흑삼릉-열매 흑삼릉 : 흑삼릉과, 여러해살이풀 열매가 도깨비방망이 같이 생겼네요. 맨 아래 사진 두 개는 꽃 사진입니다. 일반사항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세요 --> 여기 클릭 2007. 7. 10.
활량나물 활량나물 : 콩과, 여러해살이풀 언뜻 보고 고삼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고삼보다는 꽃차례가 짧고 잎이 더 크며 짙은색인 점이 차이점으로 관찰되더군요. 더 큰 차이점은 활량나물은 덩굴성이라는 겁니다. 잎은 깃꼴겹잎인데 잎자루 밑 부분에 2~3개로 갈라지는 덩굴손이 있어 다른 물.. 2007. 7. 10.
홍자단 홍자단 : 장미과, 갈잎떨기나무(낙엽관목) 일명 "양개야광나무"라고도 한답니다. 가지는 길게 자라며 비스듬히 아래로 처집니다. 잎은 어긋나고 둥그스름하며 두꺼운데다가 잎 앞면에는 광택이 있고 뒷면에는 흰빛이 돌아 눈에 잘 띕니다. 꽃은 흰빛이 도는 붉은색이고 꽃잎이 잘 벌어지지 않는다 하.. 2007. 7. 10.
함박꽃나무-열매 함박꽃나무 : 목련과, 갈잎큰키나무(낙엽교목) 열매 사진만 올립니다. 일반사항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세요 --> 여기 클릭 2007. 7. 10.
파드득나물 파드득나물 : 산형과, 여러해살이풀 이것도 파리풀이나 가는장구채처럼 산지의 숲 속이나 길가에서 요즘 흔히 보이는 식물입니다. 가지가 가늘어서 언뜻 보기에는 파리풀과 비슷하게 보이기도 하는데 파리풀은 꽃차례가 수상꽃차례라서 이삭처럼 길고 파드득나물은 산형꽃차례라서 구분이 됩니다. .. 2007. 7. 10.
칠엽수-열매 칠엽수 : 칠엽수과, 갈잎큰키나무(낙엽교목) 칠엽수 열매가 이렇게 생겼군요. 열매는 둥글며 겉에 잔 돌기가 있고 익으면 3개로 갈라지면서 밤처럼 생긴 씨가 나옵니다. 칠엽수의 일반사항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세요. --> 여기 클릭 2007. 7. 10.
줄 : 벼과, 여러해살이풀 줄풀이라고도 부르나 그냥 "줄"이 정식 명칭입니다. 연못이나 냇가에서 흔히 만나면서도 이름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이름 소개 차원에서 올립니다. 잎은 납작하고 두꺼우며 주맥이 굵습니다. 잎 아랫부분은 점차 좁아져 잎집이 됩니다. 잎집 부분이 갈색인 것이 관찰됩니다... 2007. 7. 10.
검은종덩굴 검은종덩굴 : 미나리아재비과, 갈잎덩굴나무(낙엽만경목) 일반적으로 검종덩굴로 불리웠는데 이것도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검은종덩굴을 정명으로 하고 검종덩굴은 이명으로 처리하였네요. 잎은 마주나고 홀수깃꼴겹잎인데 간혹 맨 끝에 있는 작은잎이 덩굴손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작은잎은 5~9개.. 2007. 7. 10.
장구밤나무(장구밥나무) 장구밤나무 : 피나무과, 갈잎떨기나무(낙엽관목) 에고, 이것도 좀 헷갈리네요. 오늘은 왜 이리 나 고생시키는 나무들이 많이 나타나는 건지... 일반적으로 장구밥나무라고 알고 있는데 국가표준식물 목록에서는 장구밤나무를 정명으로 하고 장구밥나무를 이명으로 처리했네요. 네이버백과사전에서는 .. 2007. 7. 10.
흰작살나무 흰작살나무 : 마편초과, 갈잎떨기나무(낙엽관목) 국립수목원 팻말에 흰작살나무라고 되어 있습니다만 이것도 의심이 갑니다. 처음에 팻말과 나무의 꽃을 보고는 흰꽃이 피기 때문에 흰작살나무라고 한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알고 보니 다른 작살나무류는 모두 열매가 자주색인데 유독 얘만 .. 2007.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