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10

산형과 참나물속/큰참나물속/파드득나물속 식물들 비교 : 참나물속 - 참나물, 노루참나물, 그늘참나물, 가는참나물, 백약이참나물, 큰산참나물, 한라참나물; 큰참나물속 - 큰참나물; 대마참나물속 - 대마참나물; 파드득나물속 - 파드득나물 2022년 국표식에 등재된 산형과 중 아래 식물들에 대해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나물속 :         자생식물 - 참나물, 노루참나물, 그늘참나물,                                            가는참나물,  큰산참나물, 한라참나물                         외래식물 : 백약이참나물큰참나물속 :     자생식물 - 큰참나물대마참나물속 : 자생식물 - 대마참나물파드득나물속 : 자생식물 - 파드득나물   먼저 관련 검색표부터 몇 개 소개합니다.  ◐ 검색표 ㉮ : 한국식물지 한국식물지에서는 대마참나물을 기름당귀속으로 분류하였으나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대마참나물속으로 독립시켰습니다.    ◐ 검색표 ㉯ : 2018년 식물분류학회지 한국식물지에서는 참나물과.. 2024. 9. 12.
당귀속 식물들 비교 : 참당귀, 궁궁이, 왜천궁, 제주사약채, 고본, 강활, 지리강활, 갯강활, 바디나물, 흰바디나물, 부전바디, 고산바디, 잔잎바다, 처녀바디, 구릿대, 개구릿대, 삼수구릿대, 왜당귀 우리나라 당귀속 식물들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생식물 : 참당귀, 궁궁이, 왜천궁, 제주사약채, 고본,                  강활, 지리강활, 갯강활,                   바디나물, 흰바디나물, 부전바디, 고산바디, 잔잎바다, 처녀바디                  구릿대, 개구릿대, 삼수구릿대재배식물 : 왜당귀  다음은 당귀속 식물들의 검색표입니다. 1. 잎 1~2회 깃꼴겹잎 ----------------------------------------------------------------- 처녀바디1. 잎 삼출엽 또는 삼출상 깃꼴겹잎    2. 잎집 겉에 짧은 단모 밀생 ----------------------------------------------------- 개구릿대 .. 2024. 9. 10.
단풍취 *** 단풍취속 식물들 비교 : 단풍취, 가야단풍취, 좀딱취     ==>  https://kualum.tistory.com/17047547 2024. 9. 10.
눈빛승마 수꽃 *** '승마' 종류 비교 : 승마, 개승마, 나제승마, 눈빛승마, 세잎승마,      왜승마, 촛대승마, 황새승마, 노루삼, 붉은노루삼, 눈개승마,     한라개승마, 외잎승마, 나도승마     ==>  https://kualum.tistory.com/17047736 2024. 9. 10.
떡갈잎수국 열매 2024. 9. 10.
쪽동백나무 열매 2024. 9. 10.
2024. 9. 10.
바늘꽃과 바늘꽃속/분홍바늘꽃속 식물들 비교 : 바늘꽃속 - 바늘꽃, 가는민바늘꽃, 돌바늘꽃, 버들바늘꽃, 애기바늘꽃, 울릉바늘꽃, 좀바늘꽃, 줄바늘꽃, 큰바늘꽃, 호바늘꽃, 회령바늘꽃, 갯바늘꽃; 분홍바늘꽃속 - 분홍바늘꽃, 털분홍바늘꽃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바늘꽃이란 이름이 붙어있는 식물들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 바늘꽃속자생식물 : 바늘꽃, 가는민바늘꽃, 돌바늘꽃, 버들바늘꽃,                 애기바늘꽃, 울릉바늘꽃, 좀바늘꽃, 줄바늘꽃,                 큰바늘꽃, 호바늘꽃, 회령바늘꽃재배식물 : 갯바늘꽃----------------------------------------------------------------------------분홍바늘꽃속자생식물 : 분홍바늘꽃. 탈분홍바늘꽃  먼저 바늘꽃속과 분홍바늘꽃속에 대한 검색표부터 소개합니다.   다음은 바늘꽃속 식물들에 대한 검색표입니다.검색표에서 6번의 국명은 줄바늘꽃입니다.세경선모란 딱딱하고 가는 털을 의미합니다.   바로 위 검색표의 영문판.. 2024. 9. 6.
국화과 절굿대속 식물들 비교 : 절굿대, 큰절굿대 전국에 분포합니다.   높이는 100~150cm입니다.   꽃은 7~8월에 피고 남자색이며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곷차례로달리며 혀꽃은 없고 통꽃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꽃이 꽃차례 위쪽에서부터 피는군요.   꽃부리는 5개로 깊게 갈라져 뒤로 젖혀집니다.   잎은 어긋나고 엉겅퀴의 잎같으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표면은녹색이며 뒷면은 면모로 덮여 있고 백색이지만 건조하면 흑색으로변하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2~3mm의 가시가 달린 뾰족한톱니가 있습니다.줄기잎은 엽병이 없고 긴타원모양이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되고 5~6쌍으로 갈라집니다.이에 비해 큰절굿대는 1회 새깃꼴로 갈린 결각이 대개 다시 깊게갈리며, 가시의 길이가 2~3cm인 점이 다릅니다.   줄기는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전체.. 2024. 9. 3.
국화과 조밥나물속 식물들 비교 : 조밥나물, 유럽조밥나물, 껄껄이풀 다음은 조밥나물 명단입니다.자생식물 : 조밥나물, 껄껄이풀외래식물 : 유럽조밥나물  아래는 조밥나물속의 검색표입니다.      ▼ 조밥나물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합니다.   꽃은 7~10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산방꽃차례 또는 원추꽃차례처럼 달립니다.   두상화는 모두 혀꽃으로만 이루어져 있고 꽃잎은 끝이 5개로얕게 갈라집니다.   총포조각은 3-4줄로 배열되며 녹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녹색입니다.외편은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고 내편은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껄껄이풀과는 달리 배축면에 긴 흑색 단모가 없습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꽃이 필 때밑부분의 잎은 말라버리고 중앙부의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피침형이며 약간 두껍고 거칠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원줄.. 2024. 9. 3.
꿀풀과 익모초속 식물들 비교 : 익모초, 송장풀, 사자귀익모초 아래는 익모초속 식물들 명단입니다.자생식물 : 익모초, 송장풀재배식물 : 사자귀익모초    ▼ 익모초 (益母草)  우리나라 전국에 야생하는 두해살이풀입니다.    익모(益母)란 부인에게 유익하여 눈을 밝게 해주고 정력을 더하여 준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1m 이상 자라는 것도 있습니다.   꽃은 홍자색으로 7~8월에 피며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층층으로 달려 윤산화서를 이룹니다.   꽃부리는입술모양으로 위아래 2개로 갈라지며 윗입술꽃잎은 투구 모양이고 아랫입술꽃잎은 다시 3개로 갈라지는데 중앙부의 것이 가장 크며 적색 줄이 있습니다.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집니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다른 2개보다 더 깁니다.이런 수.. 2024. 9. 2.
꽃생강 *** 생강과 식물들 비교 : 생강속 - 생강, 양하, 꽃생강속 - 꽃생강,      꽃양하속 - 꽃양하     ==>  https://kualum.tistory.com/17048293 2024. 9. 1.
문주란 열매 *** 수선화과 식물들 비교 : 붉노랑상사화, 진노랑상사화, 제주상사화,      위도상사화, 흰상사화, 백양꽃, 상사화, 석산, 군자란, 나도사프란,     흰꽃나도사프란, 문주란, 아프리카문주란, 수선화, 아마릴리스     ==>  https://kualum.tistory.com/17048289 2024. 9. 1.
까치깨 *** 까치깨속 식물들 비교 : 까치깨, 수까치깨, 암까치깨     ==>  https://kualum.tistory.com/17043056 2024. 9. 1.
개미취 *** 참취속 식물들 비교 : 쑥부쟁이, 개쑥부쟁이, 가는쑥부쟁이, 갯쑥부쟁이,       단양쑥부쟁이, 긴쑥부쟁이, 민쑥부쟁이, 가새쑥부쟁이, 눈갯쑥부쟁이,      산쑥부쟁이, 섬갯쑥부쟁이, 섬쑥부쟁이, 왕갯쑥부쟁이, 추산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개미취, 좀개미취, 갯개미취, 벌개미취, 해국, 돌해국,      참취, 옹굿나물, 미국쑥부쟁이, 비짜루국화, 큰비짜루국화, 우선국      ==>  https://kualum.tistory.com/17047490 2024.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