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등산·여행/갤러리 - 풍경·여행기

북경 관광 : 자금성

by 심자한2 2011. 4. 30.

뒤 이어 일행은 자금성으로 이동합니다.

천안문광장 쪽에 있는 오문이 자금성의 정문인데 가이드는 우리는 후통거리에서 가까운

후문 쪽을 들머리로 택했습니다.

후문 쪽 입구로 가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해자(垓字)를 건너야 합니다.

해자는 물론 외침으로부터 자금성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성해 놓은 것인데 깊이가

6미터, 폭이 52미터에 달합니다.

이 해자에도 호성하(護城河)라는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해자는 외침 방어용 목적 이외에도 방화용 기능도 동시에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해자를 흐르는 물은 굳게 입을 다문 채 굳이 중원의 전쟁으로 점철된 역사를 논하려 하지 않습니다.

물에 비친 그림자가 중원의 잊혀진 역사처럼 흐릿합니다.

 

 

자금성(紫禁城)은 15명의 명나라 황제와, 9명의 청나라 황제가 사용하던 궁궐로 규모로는

세계 최대입니다.

자금성은 명나라 영락제가 1406년 수도를 남경에서 북경으로 천도하면서 짓기 시작한 것으로

1420년에 완공되었으며 그 이후 화재 등의 사유로 여러 차례의 개보수가 있었습니다.

높이 11미터, 사방 4키로의 담으로 돌려싸여 있는 자금성은 모든 지붕이 황금색으로 칠해져

있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아래 사진에 있는 대문명은 신무문(神武門)입니다.

정면에는 故宮博物院이란 글자가 석조편액에 상감되어 있습니다.

이는 중국의 문화거인인 곽말약 선생이 새긴 글자라 합니다.

이 자금성은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막을 내리면서 화려했던 영화를 마감하였는데 1925년에 고궁박물원이란

이름으로 일반에게 공개되기 시작하였다 합니다.

紫禁城은 "천자의 궁전은 천제가 사는 紫宮과 같은 금지구역(禁地)"이다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합니다.

자금성은 800채의 건물과 9,999칸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하늘의 천제가 사는 紫微壇의 방이 만 칸이었기에 자금성의 방은 그보다 한 칸 적은 것으로 건축되었다 하네요.

 

 

신무문을 지나면 순정문이 나타납니다.

아래 현판에서 한자 옆에 써 있는 글자는 만주어입니다.

명나라는 한족의 주원장이, 청나라는 여진족(만주족)인 누르하치가 각각 세운 나라이니

현판에 왜 두 가지 글자가 병기되어 있는지 짐작이 갈 겁니다.

 

 

아래는 신무문과 순정문 사이에 있는 공간입니다.

자금성은 이렇게 2중의 성곽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물론 철저한 외침 방지를 위한 것이었을 겁니다.

세력이 클수록 그만큼 위험도 큽니다.

행복은 세력이 아니라 여유로운 심리적 공간이 얼마나 크냐에 있다는 진리는

황제의 위치에 있는 한 공념불에 불과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부의가 이 공간에서 자전거를 배웠다 하네요.

 

 

순정문 입구 중 하나에 있는 문턱이 아래 사진에서처럼 제거되어 있습니다.

이는 부의황제가 자전거를 타고 드나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합니다.

선대의 위업은 이 제거된 문턱처럼 아련한 한 줄기 기억으로 사라져 버렸습니다.

만사에는 끝이 있다지요.

부의가 페달을 밟았던 그 자전거는 사실 그 끝을 향해 달렸음을 부의는 알고 있었는지...

 

 

순정문을 지나면 어화원(御花園)이 나타납니다.

말 그대로 자금성의 후원으로 황제의 정원인 셈이지요.

순정문 쪽에서 들어가다 보니 가장 먼저 퇴수산(堆秀山)이란 이름을 가진 인공산이 하나 나타납니다.

이 산은 수집된 수석을 모아 인공적으로 쌓은 산입니다.

그 위에 황제와 황후가 올라 성 밖을 내다볼 수 있는 어경정(御景亭)이 모자처럼 얹혀져 있습니다.

물론 어경정에 오르는 길도 이 인공산에 만들어두었지요.

황제는 저 어경정에 올라 민심을 살폈는지 아니면 단순히 끊임없는 외우내환으로 어질러진 머리를

식혔는지 궁금합니다.

복잡하게 얽힌 수석들이 황제의 일생도 어의처럼 비단같지만은 않았음을 암시하는 듯합니다.

 

 

조금 더 가면 만춘정(萬春亭)이 나타납니다.

건물 위는 원형이고 아래는 사각형이며 단면은 열심자형으로 특이한 구조를 가진 정자입니다.

이 정자는 어화원의 동쪽에 있는데 중국에서는 동쪽은 곧 봄과 상통한다 합니다.

그래서 만춘정이란 이름이 붙었다 하네요.

 

 

 

 

정원 한 쪽에는 圓柏이란 나무가 있습니다.

뿌리가 다른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붙어 있는 연리지입니다.

설명문에는 연리지라고 되어 있는데 사진에 보이는 두 가지가 실제로 붙어 있는 건지

아니면 단순히 엑스자로 교차만 하고 있는 건지는 미처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하긴 저 앞에서 사진 찍는 사람들 다음 순서를 기다리다 못해 양해를 구하고 먼저

아래 사진 한 컷 간신히 찍을 만큼 시간적 여유가 없었기에 나무 아래에 있는 안내문조차 읽어볼

시간이 없었답니다.

 

여하튼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부의와 그 황후인 婉容이 결혼식을 마친 후 이 나무 아래

에서 기념사진을 찍으면서 우리는 하늘에서는 한 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는 두 마리 새처럼

날고 땅에서는 가지가 서로 얽힌 두 그루의 나무처럼 살아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하네요.

가이드 말에 의하면 서태후가 일개 궁녀 시절 이 나무 아래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 하는

노래를 불러 후원을 산책하는 황제의 눈에 든 일화도 있다 합니다.

 

사진에 나무가 간간히 보입니다.

이곳을 지나면 자금성 내에 나무가 단 한 그루도 없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라 합니다.

하나는 자객의 틈입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러 나무를 심지 않았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금성이 사각형(口)으로 되어 있는데 그 안에 나무(木)를 심으면 곤할 곤(困) 자가 되기

때문에 나무를 심지 않았다는 것이다.

어느 쪽이든 황실의 안녕을 위한다는 대의는 동일합니다..

 

 

어화원을 벗어나면 곤녕궁(坤寧宮)이 기다립니다.

명대에는 황후의 침전으로 사용되었으나 청대에는 용도가 바뀝니다.

동쪽에 있는 두 개의 방은 신방으로 광희, 동치, 광서 및 부의 황제가 결혼 직후 이곳을 임시거처로

사용했다 합니다.

서쪽에 있는 네 개의 방에는 신상을 모시고 제물로 바칠 육류를 여기서 요리하기도 했다 하네요.

坤寧이란 "하늘은 맑고 땅은 평화롭다"는 의미로 황제가 중원을 영원히 지배할 것이라는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합니다.

영원한 권력은 영원히 없다는 걸 인정하려 한 황제는 과연 한 명이라도 있었을는지.

 

 

다음으로는 교태전(交泰殿)입니다.

교태란 말은 하늘과 땅의 통합을 의미한다 합니다.

청대에는 이곳에서 황후의 생일이나 구정 때 축하연을 열었다 하네요.

내부에 있는 유물을 통해 당시의 분위기를 조금이라도 느껴 보고 싶었으나

저 많은 관람객들 틈새를 비집고 들어가는 것도 일인지라 그냥 발걸음을 돌리고

말았습니다.  

관광객이 워낙 많은 관계로 이후에도 이런 사정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안타깝게도 대부분은 건물의 외관만 멀리서 카메라에 담는데 만족할 수밖에 없었지요.

 

다음 순서는 건청궁(乾淸宮)입니다.

황제의 침실이자 일상 업무를 처리하던 곳입니다.

내부 정 중앙에는 보좌가 있고 그 위에는 "光明正大"라고 쓴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청나라 광희황제 이후에는 황제가 생전에 후계자를 직접 지명하지 않고 후계자명이 기재된

종이를 상자에 넣어 이 편액 뒤에 보관해두었다 합니다.

황제가 서거하면 즉시 이 상자를 열어 황제 계승자를 선포하였다 합니다.

만약의 경우를 위해 황제는 후계자명을 적은 문건 한 부를 항상 자신의 몸에 직접 간직하고 있었다

하네요.

그러니 편액 뒤 상자 안에서 나온 후계자명과 황제의 몸에서 나온 후계자명이 일치해야만

후계자가 확실히 정해질 수 있었을 겁니다.

 

 

太和殿, 中和殿, 保和殿을 자금성의 삼대전이라 합니다.

우리 일행은 후문 쪽에서부터 관광을 시작하였기에 삼대전 중 보화전이 가장 먼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아래 첫 번째 사진은 후경이고 두 번째 사진이 전경입니다.

 

자금성의 전체 건물은 外朝와 內廷으로 나뉩니다.

외조는 공식적인 의식과 행사를 집행하는 공간이고 내정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입니다.

후문쪽에서 보면 이 보화전이 외조의 시작점입니다.

황제가 태화전으로 갈 일이 있을 때 내정에서 가장 먼저 이 보화전을 통과한 후 중화전을 거쳐

태화전으로 갑니다.

그래서인지 이 보화전이 자금성 내에서 가장 경비가 철저했던 곳이라 하네요.

아래 사진에서 가운데 있는 계단은 황제만이 이용할 수 있었고 황제 이외의 사람들은

그 양옆에 있는 계단을 이용하였다 합니다.

황제의 가마가 무시로 드나들었을 보화전이건만 지금은 출입문이 굳게 닫힌 채 일반인의

범접을 허락하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명대에는 중요한 행사가 있을 시 황제들이 이곳에서 옷을 갈아입었다 합니다.

청대에는 황제들이 이곳에서 구정 전날이나 등 축제 때 왕자들이나 왕족, 소수민족의

수장들을 위해 연회를 베풀기도 했다 하네요.

순치황제의 결혼식도 이곳에서 거행되었고 1789년에는 황제가 전국에서 모인 학자들을

대상으로 관리를 뽑는 최종 시험을 치룬 곳도 이곳이었습니다.

 

 

보화전 뒤쪽 계단에는 운룡대석조(雲龍大石雕)가 있습니다.

이 곳에는 아홉 마리의 용과 구름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용은 물론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겠지요.

이것을 조각한 장인들의 솜씨가 놀랍기만 합니다.

 

  

길이 16.75미터, 폭 3.07미터, 두께 1.7미터, 무게 약 250톤인 이 운룡대석조는 하나의

대리석으로 되어 있다 합니다.

이 대리석은 북경 남쪽 50키로 지점에 있는 방산에서 운송해 왔다 하는데 동원된 수송

인원만 해도 2만명에 달했다 하네요.

이 돌을 수송하기 위해 겨울철에 길가에 물을 뿌려 얼음판을 만든 후 그 위로 이 돌을

미끄러지게 했다 합니다.

수송작업 자체가 대단한 역사였을 겁니다.

 

 

관광객들이 버린 과자봉지 등이 이 대석조 위에 흩어져 있습니다.

이들이 청조에 살았다면 당장 목위가 허전해졌겠지만 지금은 무심한 청소부가

칼 대신 비짜루와 집게를 사용해서 이들의 무례를 말없이 주어담고 있습니다.

 

 

아래는 보화전에서 본 주변의 건물들입니다.

지붕은 비록 퇴색은 했을지언정 모두 황금색 일색입니다.

 

 

 

 

 

 

보화전을 지나 태화전에 가기 위해서는 중화전을 지나야 합니다.

중화전은 피라미드 형태의 지붕을 가진 사각형 건물입니다.

황제가 중요한 의식에 참석하기 전에 휴식을 취하던 곳이 이 중화전입니다.

제례의식을 행하기 전날에 황제가 주문서판을 크게 낭독한 곳도, 농신에게 제물을

바치기 전에 제례용 농기구를 시험해본 곳도 이곳이었습니다.

중화란 어느 한 쪽에 편향되지 않고 매사를 조화롭게 다루면 지상의 만물이 번성할

것이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홀 가운데에는 황제의 옥좌가 있고 그 위에 건륭황제가 썼다는 현판이 하나 걸려 있습니다.

현판에 있는 한자의 뜻은 "하늘의 길은 심오하고 신비하나 인간의 길은 어렵다. 중용의 도를

지킬 때만이 천하를 제대로 통치할 수 있다."라는 의미라 합니다.

 

 

아래는 중화전에서 본 주변 건물의 모습니다.

 

 

드디어 태화전의 웅장한 모습이 저만큼의 거리에서 시야로 뛰어듭니다.

태화전은 외조의 삼대전 중에서도 가장 크고 가장 중요한 건물입니다.

구정, 동지, 황제의 탄신일, 새 황제의 대관식, 황후 책봉, 관리시험 합격자들 호명,

출정 장수의 임명 등과 같은 중요한 의식이나 축하연들이 바로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하네요.

 

 

정면 64미터, 측면 37미터, 높이 27미터인 태화전은 총 건축면적이 2,377평방미터나 됩니다.

24개의 기둥이 2층으로 된 지붕을 떠받치고 있으며 지붕은 노란색 유약을 바른 기와로 덮혀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황제가 아니면 9칸 이상의 건물 건축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정면이 11칸, 측면이 5칸인 태화전이 당시 황제의 권위를 대변하고 있습니다.

 

 

이 광장 앞에 도열했을 수많은 문무백관들도 황제와 같은 꿈을 꾸고 있었을는지.

여길 찾은 관광객들에게도 그 명청조의 영화가 조금이나마 전해지고 있는 건지.

사진에서는 앞 뜰이 다 잡히지 않았지만 이 앞 뜰은 9만 명의 병사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넓습니다.

여기에 쌓은 벽돌은 홑겹이 아니라 무려 40여 겹이나 된다 합니다.

깊이가 약 1.5미터 정도라고 하는데 이는 자객들이 땅굴을 통해 침입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배려

였다 하네요.

 

 

삼대전에는 많은 장식물들이 있습니다.

모두들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지요.

 

계단의 난간 기둥들에는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구름과 용과 봉황이 새겨져 있습니다.

 

 

3대전의 지붕 용마루 끝에는 전설상의 동물들을 형상화한 수척수들이 있습니다.

가장 위쪽에 있는 것을 치문(至+鳥 吻)이라고 하는데 치문은 화재예방을 기원하기 위한 것입니다.

치문은 용왕의 아들로 바닷물에 회오리를 일으켜 비를 내리게 한다고 믿었기에 이 치문을 용마루에

두면 화재가 예방된다고 생각했던 겁니다.

그 아래로 일정한 수의 수척수들이 줄을 잇습니다.

수척수는 아래쪽으로부터 용, 봉황, 사자, 기린, 천마, 해마, 산예, 압어, 해치, 두우 순입니다.

가장 아래쪽, 그러니까 가장 앞 부분에는 기봉선인(騎鳳仙人)이 위치합니다.

말 그대로 봉황을 타고 가는 신선이란 의미입니다.

이 기봉선인을 제외한 수척수의 수는 건물마다 다르게 두어 건물 간에도 등급을 매겼습니다.

수척수의 수는 태화전의 경우 10개, 중화전은 9개, 보화전은 7개, 일반 건물은 5개입니다.

원래는 홀수로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는데 태화전의 경우에는 짝수입니다.

이는 청나라가 세워지면서 명대의 기를 누르고 청의 우수성을 드러내기 위해 하나를 더 추가한

것이라 하네요.

아래 사진의 수척수는 차례대로 중화전, 보화전의 것입니다.

태화전의 수척수는 미처 찍지 못했습니다.

 

 

 

아래는 가량(嘉量, 곡물계량기)입니다.

이는 황제가 정확성과 공평성으로 공명정대한 정치를 펴겠다는 의지를 천명하기 위한

것이라 하네요. 

 

 

동사자는 건물 좌우에 한 쌍이 있습니다.

이 동물은 사자라고도 하고 또는 전설상의 동물인 산예라고 합니다.

우측에 있는 것은 숫사자이고 좌측에 있는 것이 암사자입니다.

숫사자는 우측발로 비단공을 밟고 있는데 이는 권력장악과 천하통일을 상징합니다.

 

 

좌측에 있는 암사자는 왼발로 아기 사자를 쓰다듬고 있는 형상이라고 하는에 이는 자손의 창성에

대한 기원을 의미한다 합니다.

이 암수 사자 한 쌍이 천하 지배와 황위의 면면한 계승이라는 황실의 염원을 집약적으로 보여 주고

있습니다.

동 사자는 자금성 내에 총 6쌍이 있습니다.

 

 

이거 아기 사자를 쓰다듬고 있는 것 맞나요?

 

 

자금성 내에는 길상항(吉祥缸)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드므(넓직하게 생긴 독)이 많은데

그 중 태화전 앞의 것이 가장 크다 합니다.

이는 성내의 화재에 대비하여 평소 물을 담아두는 용도로 활용되었지만 황제가 기거하는

곳에 있다 보니 장식적인 면도 충분히 고려한 듯 합니다.

가이드에 의하면 성내에 총 308개가 있는데 그 중 몇 개는 표면이 진짜 금박으로 되어 있다는

말이 전해져  관광객들이 이를 벗겨본 흔적이 많다 하네요.

드므 아래에는 석좌가 있는데 이 석좌 안에는 불을 지필 수 있는 장치가 있다 합니다.

겨울철인 소설과 경칩 사이에는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석좌 안에 불을 지폈다 합니다.

 

 

많은 관광객들이 한 드므 주위에 몰려 동전이나 지폐를 던지거나 손잡이를 만지면서

소원을 빌고 있습니다.

하늘을 향한 황제의 염원도 결국에는 무너졌는데 일개 선남선녀의 소원을 과연 저 드므가

들어줄 수 있는 건지.

 

저 멀리 태화문이 손짓하며 자금성 관람이 끝나가고 있음을 알립니다.

유적은 뭔가를 말하고자 하지만 관광객들의 요란한 말소리와 분주한 발소리에 입을 다물고 맙니다.

단체관광인지라 많은 건축물들의 물리적 특징이나 역사적 의미를 음미해볼 시간을 충분히 갖기 못한

채 단순한 눈요기에 만족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쉽지만 배낭여행객이 아닌 이상 어쩔 수 없습니다.

 

 

자금성이 지어질 당시의 정문은 세계인들에게 친숙한 이름인 천안문이었으나 지금은 午門을

정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옛날에 북()을 자(), 남()을 오()라고 하였습니다.

오문은 자금성의 중심축 남쪽에 위치하고 있기에 이런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 문을 드나들었을 수 많은 명청조 인물들의 대부분은 지금 역사책 한 귀퉁이조차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걸 생각하면 인생무상의 깊이가 아스라하게만 느껴집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