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름조개풀속 : 주름조개풀, 민주름조개풀, 참주름조개풀, 가지주름조개풀,
애기주름조개풀
조개풀속 : 조개풀
좀조개풀속 : 좀조개풀
위 3개속 식물들 모두 자생식물들입니다.
먼저 이들 중 주름조개풀속 식물들에 대해 자료들의 기재문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대부분 내용은 국생지 기재문에 있는 것인데 괄호 속에 있는 건 국생지에 내용이
누락되어 있어 다른 자료들의 내용으로 보충한 것입니다.
구 분 | 주름조개풀 | 민주름조개풀 | 참주름조개풀 | 가지주름조개풀 | 애기주름조개풀 |
서식지 | 전국 | 전국 | 전국 | 제주 | 제주도의 숲 속에 자라며 민주름조개풀에 비해 식물체가 소형이며 털이 거의 없고 엽신의 길이 1~3cm, 화서에 가지가 없고 화축의 마디에 1~3개의 무병소수가 있어 마치 수상화서처럼 보이는 것을 애기주름조개풀이라 한다.; 주름조개풀에 비해 화서의 주축에 긴 털이 없고 가지가 달리는 마디에나 긴 털이 있다. |
높 이 | 10~30cm | 10~30cm | 10~30cm | 20~80cm | |
꽃차례 길이 | (9–15 cm) | 6~12cm | 6~12cm | 10~20cm | |
꽃차례 가지 수 | 5~11 | 5~11 | 5~11 | 3~6 (6~12/6~10) | |
가지 길이 | (2dm이하) | (2cm 이하) | 2~3cm | 2~10cm (2~5/2~5) | |
꽃차례 주축 털 | 길고 연한 털 | 없음 | 잔털 밀생 | 줄기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적거나 거의 없음 | |
제1 포영 털 | 긴 털 산생 | 없음/긴 털 산생 | |||
제2 포영 털 | 긴 털 산생 | 없음/ 긴 털 산생 | |||
잎의 털 | 양면 유모 | 양면 유모 약간 | 잔털 밀생 |
다음은 주름조개풀속의 꽃 구조입니다.
▼ 주름조개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합니다.
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달리는데 주축에 5~11개의 가지가 달려 전체적으로
원추꽃차례를 형성합니다.
가지의 길이는 아래쪽이 길고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모두 길이가2cm 이하
입니다.
유사한 참주름조개풀은 이 가지 길이가 2~3cm인 점이 다릅니다.
꽃차례 주축에는 길고 연한 털이 밀생합니다.
민주름조개풀은 이 주축에 털이 없어서 구분됩니다.
가지에는 소수가 밀착하는데 극히 짧은 자루가 있거나 없는데 바로 아래
사진 속 소수는 자루가 꽤 긴 편이네요.
포영은 등 쪽에 긴 털이 산생하고 끈적이는 까락이 있습니다.
제1포염의 까락은 길이가 7~14mm이고 제2포영은 3~4mm입니다.
잎은 어긋나고 2줄로 배열되며 임몸은 피침형입니다.
잎집은 길고 연한 털이 밀생하며 잎혀는 매우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습니다.
잎 양면에 털이 있다고 하는데 사진에서는 거의 없어 보이네요..
▼ 참주름조개풀
주름조개풀류의 소수 길이는 대략 3mm입니다.
이 점을 이용해 아래 사진에서처럼 목측으로 가지의 길이를 어느 정도 잴
수 있을 겁니다.
참주름조개풀은 주름조개풀과 유사한데 단지 가지의 길이가 2~3cm로
2cm 이하인 주름조개풀에 비해 길다는 점이 다릅니다.
아래 사진은 국립생물자원관 자료에 실려 있는 한 표본 사진에서 꽃차례
부분만 확대해 본 겁니다.
위에 있는 주름조개풀 사진들과 비교해 보면 확실히 가지가 길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아래는 참주름조개풀의 실물 사진입니다.
▼ 민주름조개풀
주름조개풀에 비해 털이 없으며, 특히 꽃차례 주축에 털이 없다는 점이 다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DKnmP/btsuelVKr1d/CuaBV8lNNfpS3M4PEfWAi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ztvbS/btsueOcCiIE/UFUUrqXx47BilAkEXCkI5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qcXOA/btsuqBXs6sj/ZcKTW5pBK0bHH4pvHKup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Gqwi2/btsubIRx14R/Tkwo8dIAeM8yVDXgIlsx00/img.jpg)
꽃차례 주축에 털이 없는데 가지에도 털이 없어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GL9jG/btsuh5xTKF4/BWUZoukEKOlt3YkbQUWK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S4aN/btsueLNInvR/tc9NVshQtzhVNGDm8198Z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wybU/btsuGCBoCAI/0S8hOiDx8DKQnDkNUMk1F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gOD39/btsuh6cwPQ1/f7o3XwQVF3B2FX2KlKHl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mWRL/btsudjqAwO3/zgCUf2p1f9Mr1BisFiMgj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xab4o/btsuqzL83IC/iRQ2MZQSIyfM3U146XfwH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wIzxg/btsugT5w4uS/T9RfoMixKYsnwFtKgTKph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04BDQ/btsudkpvH6E/eOj4qRzkOFrp18FGCNm17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V9u5/btsueKabqfr/K2VaGOuwg4wN3U0n8IGKS1/img.jpg)
▼ 가지주름조개풀
제주도 바닷가 숲속에서 자라며 줄기의 기부는 현저히 땅 위를 기며 마디에서
뿌리를 내고 줄기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적거나 거의 없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다른 분류군들은 줄기에서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므로 구분이 됩니다.
▼ 애기주름조개풀
제주도의 숲 속에서 자라며 주름조개풀에 비해 꽃차례의 주축에 털이 없고
마디에나 긴 털이 있다는 점이 다르고 민주름조개풀에 비해 식물체가 소형이고
잎몸의 길이 1~3cm이며 꽃차례에 가지가 없이 주축의 마디에 직접 1~3개의
자루가 없는 소수가 달려 마치 수상화서처럼 보인다는 점이 다릅니다
아래 사진 2장은 제주환경일보에 제주의 들꽃인 주름조개풀이라고 소개한
것인데 실상은 바로 위 설명상 특징이 사진 속에 그대로 드러나 있는 것으로
보아 애기주름조개풀입니다.
▼ 조개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하천, 산지 근처의 습지, 휴경지 등에서 자랍니다.
산지에서 자라는 주름조개풀속 식물들과는 잎의 형태가 유사할 뿐 꽃차례
형태가 달라 구분이 됩니다.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뿌리와 가지가 나오고 가지는 위를 향하며 마디에서 나온
가지는 비스듬히 서고 높이는 20~50cm입니다.
꽃은 8~9월에 핍니다.
전체 꽃차례는 손바닥 모양이며 가지가 3~15개 달립니다.
가지의 마디마다 두 개의 작은이삭이 쌍으로 달리는데 자루가 있는 소수는
퇴화되어 비늘조각 모양으로 흔적만 남고 자루가 없는 소수는 긴 난형으로
길이가 4~6mm입니다.
하나의 소수에는 불임성의 꽃 하나와 임성의 꽃 하나가 들어 있습니다.
제1포영은 맥이 여러 개이고, 제2포영은 막질로 투명하고 맥은 하나이며,
두 포영의 길이는 비슷하고, 맥 위에 털이 있습니다.
잎몸은 긴 난형으로 길이 2~6cm이고 너비 1~2cm이며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밑부분이 자주 줄기를 감쌉니다.
잎집은 짧고,긴 털이 성기게 나거나 털이 없고 잎혀는 길이 1~2mm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습니다.
▼ 좀조개풀
우리나라의 경상남도 무제치늪에서.자랍니다.
높이는 5~20cm입니다.
꽃은 8~10월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에는 3~8개의 짧은 가지가 달리며
전체 길이는 1.5~3.0cm입니다.
소수는 한 가지에 1~4개가 드문드문 달리고 1~2개의 꽃이 들어 있는데
꽃이 두 개 들어 있는 소수에서는 제1소화가 임성이고 제1포영보다
제2포영이 길고 각각 1개와 3개의 맥이 있습니다.
꽃차례의 모양이 유사한 기장대풀속에 비해 식물체가 작고 제2포영이
막질인 점이 다릅니다.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문비나무속 식물들 비교 : 가문비나무, 종비나무, 풍산가문비, 독일가문비 (0) | 2023.09.20 |
---|---|
참회나무 열매 (0) | 2023.09.19 |
물봉선 (0) | 2023.09.17 |
'등골나물' 종류 비교 : 등골나물속 - 등골나물, 골등골나물, 향등골나물, 벌등골나물, 새등골나물, 민등골나물, 갈래등골나물, 서양등골나물속 - 서양등골나물, 등골나물아재비속 - 등골나물.. (1) | 2023.09.16 |
향나무속 식물들 비교 : 향나무, 눈향나무, 곱향나무, 단천향나무, 뚝향나무, 섬향나무, 노간주나무, 해변노간주, 연필향나무 (1) | 2023.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