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된 우리나라 꽃다지속 식물들은
표제 5종인데 모두 자생식물들입니다.
동 목록에서는 이전에 따로 분류했었던 가지산꽃다지를
산꽃다지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 꽃다지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하게 자라며 어린 순은 나물로
먹기도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dcXR/btr20zsen81/nfCQUbsPZGHhTbDBqA2bF0/img.jpg)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이면 토양의 조건에 관계없이
잘 자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AIPB/btr2ZAE8Yyz/mrN0TMEcXKEBuAUvH4MHUK/img.jpg)
꽃은 황색으로 3~5월에 피며 원줄기나 가지 끝의 총상
꽃차례에 많은 꽃이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1~2cm로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집니다.
꽃이 흰색인 것을 구름꽃다지라고 하는데 우리나라
함경북도 관모봉 근처에서 자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NSbs/btr22N4xeRF/RwNqACk0KlJhr4m2KD17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joRr/btr2X918pM7/z3i6oBYMQfTiZr6Cw549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C0yO/btr2ZCJKF3q/W4CbGfNEEVkW9cC0hy4ox1/img.jpg)
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타원형입니다.
식물체 전체에 흰 털과 별모양털이 많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oDWNy/btr2RhT3VHh/sVH2l0c2mGlHHG3jMGtSv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f3MJv/btr2Yjp6OeR/kKxxrZ8t2vEILG36f8tnW0/img.jpg)
꽃잎도 4개이고 넓은 주걱모양이며 길이 3mm 정도입니다.
6개의 수술중 4개가 다른 2개보다 길고 (넷긴수술, 4강웅예)
암술은 1개인데 암술대는 매우 짧아서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eFoo/btr2ZDWdaWg/FcPNLYCx0CGpMm9kLX2S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0UuFV/btr2ZEngsjP/7CwfGC8m1btPaePllB1Mv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AYMSP/btr2X9A144k/K4CkxVNiWDachjuaKkKTIk/img.jpg)
뿌리잎은 많이 나와서 방석처럼 퍼지고 주걱모양 비슷한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BjUsf/btr24kA278b/ZGhtCkmDuNg1Ajc92neX7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GGiLo/btr2YaNwpOd/j72IwC2IxZIzxytbVVUseK/img.jpg)
줄기잎은 어긋나며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JG8t/btr2TCDEeqP/EZuWMSAMFH1gWCch3eDBK1/img.jpg)
줄기는 곧추서며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하부에
단모(單毛), 분지모(分枝毛), 별모양털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ct6HE/btr2ZEngrZP/EnXY6P1TCB1jhqiBcVokuK/img.jpg)
열매는 각과로 납작하며 긴 타원형인데 긴 자루 끝에 달려
전체가 숟가락 모양입니다. (사진 : 식물학백과)
열매에 털이 없는 것을 민꽃다지로 따로 분류하기도 하나
국표식에 득립된 속으로 등재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ubwO/btr2ZDhy7PG/PauSsqVDI00mxEL1VX4S7k/img.png)
열매는 7~8월에 익으며, 세로로 갈라져 갈색 종자가
나오는데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0.7 mm 내외입니다.
▼ 산꽃다지
우리나라 함경북도 관모봉에서 자라며 꽃이 흰색입니다.
꽃은 7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8~26개가 총상
꽃차례를 이루고 꽃잎은 넓은 도란형입니다.
뿌리잎은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져 모여나며
잎몸은 도피침형 또는 주걱형이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며 양면에 털이 있습니다.
줄기에는 짧은 털이 밀생합니다.
줄기잎은 2~17개가 달리며 난형 또는 타원형인데
줄기잎의 개수는 꽃자루의 길이, 열매의 모양과 크기
등과 더불어 변이가 매우 다양합니다.
열매는 타원형, 난형 또는 선상 피침형입니다.
▼ 가지산꽃다지
우리나라 함경북도 관모봉 등지에서 자라며 뿌리에서
원줄기가 2~3개 나온다는 점에서 원줄기가 1개만 나오는
산꽃다지와 한때 구분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산꽃다지에
통합되었습니다.
▼ 구름꽃다지
우리나라 백두산과 함경북도 관모봉의 높은 산지에서
자생합니다.
꽃다지와 비교할 때 전체가 소형이고 꽃이 흰색이며,
높은 산에서 자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뿌리잎은 모여나는데 잎자루가 없거나 드물게 1cm 이상
자라고 잎몸은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솜털이 있습니다.
줄기잎은 6-14개가 어긋나며 잎자루는 없고 잎몸은 난형
또는 타원형, 난상 피침형인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작은 예거치가 있습니다.
유사한 우수리꽃다지는 줄기잎이 1~4개로 매우 적다는
점이 다릅니다.
줄기에는 짧은 털이 밀생합니다.
유사한 우수리꽃다지는 줄기 윗부분에만 털이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 우수리꽃다지
전술했듯이 우수리꽃다지는 구름꽃다지와 유사하나
줄기잎이 1~4개로 매우 적고 줄기 아래쪽에는 털이
없다는 점이 다릅니다.
▼ 털꽃다지 (Draba sakuraii)
가용 자료를 찾지 못했습니다. ㅠㅠ
'식물 > 갤러리-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년화속 식물들 비교 : 풍년화, 중국풍년화(몰리스풍년화), 버지니아풍년화(서양풍년화) (0) | 2023.03.11 |
---|---|
풍년화 (0) | 2023.03.11 |
회양목속 식물들 비교 : 회양목, 좀회양목 (1) | 2023.03.07 |
'바람꽃' 종류 비교 : 너도바람꽃, 변산바람꽃, 풍도바람꽃, 만주바람꽃, 나도바람꽃, 매화바람꽃, 바람꽃, 꿩의바람꽃, 홀아비바람꽃, 쌍동이바람꽃, 회리바람꽃, 태백바람꽃, 들바람꽃, 외.. (3) | 2023.03.06 |
앉은부채속 식물들 비교 : 한국앉은부채, 애기앉은부채 (0) | 2023.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