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

국내 벚나무류 식재 현황 : 분당중앙공원 일대 사례연구

by 심자한2 2023. 4. 4.

먼저 한국분류학회지에 실린 한 논문 '국내 벚나무류(Prunus 

subg. Cerasus) 식재 현황: 분당중앙공원 일대 사례연구'의

일부를 아래에 소개합니다.

 

《적요》

벚나무류 (Prunus subg. Cerasus)는 가로수 및 조경수로 전국에 가장 많이 식재하지만 외형으로 식별이 어려워서 종별 수량은 관리되지 않고 있다. 다양한 벚나무류가 식재된 성남시 분당구 분당중앙공원과 인접 지역의 식재유형과 종 구성 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조경수목 식재 관리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벚나무류의 개화기인 2021년 4월에 성남시 분당구 일대 약 6 km2 내에 식재된 벚나무류 총 5,866주를 조사하였다. 이 중 5,744주는 11분류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나머지 122주는 복합적인 외부형태 특징을 보였다. 소메이요시노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가 가장 높은 비중(52.1%)을 차지하였고, 잔털벚나무(P. serrulata Lindl. var. pubescens (Makino) Nakai), 벚나무(P. jamasakura Siebold ex Koidz.)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에 자생하는 왕벚나무(P. ×nudiflora
 (Koehne) Koidz.)는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미소한 특징으로 구분되는 벚나무류의 식별을 돕고자 주요 조경용 벚나무류 11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벚나무류는 자연 상태에서도 빈번하게 종간 잡종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래 벚나무류와의 잡종화와 이에 따른 유전자 이입에 의해 자생종의 유전적 고유성이 손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자생지 주변의 식재 수종 관리와 원산지 추적이 필요하다.
《서론

벚나무속(Prunus L.)은 장미과(Rosaceae) 벚나무아과(Amygdaloideae)에 속하고 북반구 온대지역 및 아시아와 아메리카대륙의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관목 또는 교목으로서 세계적으로는 200여 종이 알려져 있다(Kalkman, 2004). 국내에는 벚나무속 식물로 21분류군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자생종은 14분류군이다(Lee and Kim, 2007). 벚나무속은 화서와 열매 등 형태적 특징에 따라 여러 개의 독립된 속이나 아속으로 세분하기도 하였다(Linnaeus, 1753; Rehder, 1940; Kalkman, 2004). 150여 종을 포함하는 벚나무아속은 독립된 속으로 다루기도 하였지만, 최근 분자계통학적 증거에 의해 강하게 지지되는 3개의 아속(subg. Cerasus, Prunus, Padus)으로 구분한다(Shi et al., 2013; Katsuki and Iketani, 2016). 벚나무아속은 열매를 식용하는 체리류와 조경용으로 식재되는 종 대부분을 포함하며, 관상 가치가 높아서 전 세계에 널리 식재되는 소메이요시노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도 이에 속한다(Shi et al., 2013).국내 식재 벚나무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일본 원산 소메이요시노벚나무는 흔히 ‘왕벚나무’로 유통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20). 소메이요시노벚나무와 제주도에 자생하는 왕벚나무(P. ×nudiflora (Koehne) Koidz.)는 최근까지 분류학적 한계와 원산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었지만, 유전자 마커와 유전체 분석을 통해 기원이 다른 별개의 잡종으로 확인되었다(Chang et al., 2004; Cho et al., 2016; Cho and Kim, 2019; Baek et al., 2018).산림청의 2019년 가로수 조성 실적에 따르면, 국내에 식재된 가로수 825만 주 중 벚나무류는 154만 주로 19%를 차지하며, 동 기관의 2020년 임산물 생산 현황에 의하면 매년 15만 주의 묘목이 생산된다(Korea Forest Service, 2020, 2021). 발아율이 낮아 실생묘 생산이 어려운 수종의 증식과 일관된 형질을 지닌 묘목 생산을 위해서 주로 접목을 이용하고 있으며, 대목으로는 산벚나무와 벚나무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2004). 다양한 벚나무류가 가로수로 식재되어 있으나 ‘왕벚나무’와 벚나무만 집계되고 있고, 대목으로 사용되는 산벚나무와 벚나무의 실체는 불분명한 실정이다.벚나무류는 자가불화합성이 강하여 종간 잡종을 비교적 쉽게 형성하며, 품종 개량을 위해 인공잡종 형성을 유도하기도 한다(Kuitert and Peterse, 1999; Liu et al., 2007; Cho and Kim, 2019). 잡종화에 의한 형성된 개체는 결실률과 발아율이 낮아 유성생식에 의한 번식은 어렵지만 드물게 야생화되는 사례가 보고되었다(Cho et al., 2017). 국내 종묘상에 유통되는 벚나무류 외래품종은 50여 종류이나, 도입시기 등이 불명확하고, 같은 품종도 다른 명칭으로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Korea National Aboretum, 2022; Milim Botanic Garden, 2022). 이러한 외래 벚나무류의 식재는 인근 야생 개체군에 유전자 이입을 초래하여 고유종 보전에 실질적인 위협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국내에서의 위험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Macková et al., 2018).벚나무류 식재 사례연구 대상지로 선정한 분당구는 성남시 전체 면적의 49.3%(69.8 km2)로, 인접한 수정구(45.5 km2), 중원구(26.4 km2)에 비해 가장 넓은 일반구이며, 1991년 분당신도시 개발이 시작된 이후 공원, 제방, 임야 등의 조성녹지 공간이 약 50%를 차지하고 있어(Seongnam City, 2020), 비슷한 시기에 식재된 가로수 및 조경수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었고, 본 연구를 통해 분당 중앙공원과 인접 지역의 식재 현황을 파악하고 조경수목 식재 관리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중앙공원을 중심으로 서쪽의 탄천과 동쪽의 57번 지방도로를 경계로 조사구역을 설정하였고 면적은 약 6 km2이며, 행정구역으로는 수내동, 분당동, 서현동, 정자동을 포함한다(Fig. 1). 식재 벚나무류의 식별을 위하여 개화기인 2021년 4월 5일부터 9일까지 현장조사를 하였고,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벚나무류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Fig 1.Map of investigated area for this study.벚나무류를 구분하기 위해 학명과 국명은 환경부 국가생물종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boretum, 2022)과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참고하여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한반도관속식물목록(Northeastern Asia Biodiversity Institute, 2022)으로 정리하였고, 식재된 벚나무류의 주요 식별형질로 여겨지는 가지 습성, 엽신 털 유무, 소화경 털, 아린 털, 악통 형태, 악편 형태, 암술대 털 유무에 따라 검색표를 작성하고 이에 따라 동정하였다

 

《검색표

1. Style pubescent.

2. Calyx tube cup-shaped.
3. Calyx lobe straight, margin minutely serrate.
4. Outer bud scale hair dense ········································ P. ×yedoensis 소메이요시노벚나무
4. Outer bud scale hair sparse ························································ P. ×nudiflora 왕벚나무*
3. Calyx lobe revolute, margin entire ······················································ P. avium 양벚나무
2. Calyx tube vase-shaped.
5. Branchlets pendulous ·························································· P. spachiana 처진올벚나무
5. Branchlets ascending ··············································· P. spachiana f. ascendens 올벚나무
1. Style glabrous.
6. Calyx margin minutely serrate ······················································· P. speciosa 왜벚나무
6. Calyx margin entire.
7. Pedicel glabrous.
8. Inflorescences corymbose with peduncles ······································ P. jamasakura 벚나무
8. Inflorescences umbellate with short peduncles or nearly no peduncles ··· P. sargentii 산벚나무
7. Pedicel pubescent.
9. Inflorescences corymbose with peduncles ··············· P. serrrulata var. pubescens 잔털벚나무
9. Inflorescences umbellate with short peduncles or nearly no peduncles.
10. Branchlet straight.

11. Flowers single ···················································· P. verecunda var. verecunda 개벚나무
11. Flowers double ············································· P. verecunda var. semiplena 만첩개벚나무
10. Branchlet pendulous ·········································· P. verecunda var. pendula 처진개벚나무

* not found in the survey area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