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12

사철쑥 잎 2024. 7. 4.
도깨비부채 열매 열매는 삭과로서 넓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5mm이며 익으면2개로 갈라집니다.   암술대 2개와 꽃차례에 있는 유두 같은 털이 확인됩니다.   *** 범의귀과 도깨비부채속 식물들 비교 : 도깨비부채, 깃도깨비부채,      깃도깨비부채 '수페르바', 덧도깨비부채, 칠엽도깨비부채     ==> https://kualum.tistory.com/17049511 2024. 7. 4.
큰까치수염 *** 참좁쌀풀속 식물들 비교 : 까치수염, 큰까치수염, 진퍼리까치수염,      홍도까치수염, 갯까치수염, 버들까치수염, 물까치수염, 탐라까치수염,      섬까치수염, 갯봄맞이, 좀가지풀, 좁쌀풀, 참좁쌀풀     ==>  https://kualum.tistory.com/17042861 2024. 7. 4.
신나무 열매 2024. 7. 4.
털중나리 *** 백합속 식물들 비교 : 솔나리, 큰솔나리, 금나리, 땅나리, 노랑땅나리,     털중나리, 노랑털중나리, 중나리, 참나리, 하늘나리, 큰하늘나리,     날개하늘나리, 말나리, 하늘말나리, 누른하늘말나리, 지리산하늘말나리,     섬말나리, 백합     ==>  https://kualum.tistory.com/17046515 2024. 7. 3.
쑥 잎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후에 쓰러지며 줄기잎은 가탁엽이 있고 타원형이며 우상으로 깊게 또는 중앙까지 갈라지는데. 열편은 2-4쌍으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입니다.잎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결각상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마침내 3개로 갈라집니다.참쑥은 잎이 2회 깃꼴로 갈라지고 표면에 흰 점과 거미줄 같은털이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참쑥은 가탁엽이 없다는 자료도 있던데 이게 확실한 건지는확인하지 못했습니다.) 2024. 7. 3.
개똥쑥 잎 대다수 쑥속 식물들은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인 데 비해개똥쑥은 한해살이입니다.    잎은 어긋나며 3회 깃꼴겹잎이고 마지막 갈래는 피침형입니다.   갈래조각들이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기도 하고 비대칭으로 배열되어 있기도 하네요.   잎자루 밑부분에도 작은 갈래조각들이 달려 있는 게 눈에 띕니다. 2024. 7. 3.
섬단풍나무 잎 단풍나무는 잎이 5~7(9)개로, 당단풍나무는 9~11개로 각각 갈라지는데 비해 섬단풍나무는 11~13(간혹 14개)로 갈라진다는 점이 다릅니다.당단풍나무는 성숙 시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데 비해 섬단풍나무는잎 뒷면 맥 겨드랑이에 총생모가 있다는 점도 다른데 이런 잎의 모습을당단풍나무의 연속적인 변이로 보아 당단풍나무와 동일종으로 보는견해도 있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잎자루와 만나는 부분의 맥 겨드랑이에 총생모가 있는 게 확인됩니다. 2024. 7. 2.
구주피나무 --> 좀피나무 일본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이 나무를 일본 규슈(九州) 지방에서 들여왔기에 구주피나무라고 불렀었는데 지금은 이름이 좀피나무로 바뀌었습니다.잎이 일그러진 난형이고 잎자루가 비교쩍 짧은 점이 특징입니다.   관상용으로 공원 등지에 식재합니다.   6&월에 개화합니다.   꽃은 연한 노란색으로 가지 끝 잎겨드랑이의 아래로 늘어진 산방상 취산꽃차례에 9~31개가 달리고 꽃대 아래쪽에 선형의 포가 있습니다.   헛수술이 있는 게 특징 중 하나라고 하는데 사진상으로 어떤 게헛수술인지 모르겠네요.    잎은 어긋나며 일그러진 좁은 달걀모양이고, 길이와 폭이 각 5 ~ 8cm × 2.5 ~ 5.0cm로, 끝이 꼬리처럼 길며 밑부분이 일그러진 얕은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거치가 있습니다.   잎자루는 5–14.. 2024. 7. 2.
장구밥나무 장구밥나무에 대한 설명 ==>  https://kualum.tistory.com/17048955 2024. 7. 2.
우엉 귀화식물로 전국 각지에서 재배하는데 재배지를 탈출하여 산에서 자라고 있는 개체를 본 적도 있습니다. 2024. 7. 2.
모감주나무 *** 무환자나무과 식물들 비교 : 무환자나무속 - 무환자나무; 모감주나무속      - 모감주나무; 풍선덩굴속 - 풍선덩굴     ==>  https://kualum.tistory.com/17048908 2024. 7. 2.
꼬리조팝나무 *** 조팝나무속 식물들 비교 : 조팝나무, 갈기조팝나무, 긴잎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당조팝나무, 덤불조팝나무, 산조팝나무, 아구장나무,      인가목조팝나무, 일본조팝나무, 좀조팝나무, 참조팝나무, 털긴잎조팝나무,     털인가목조팝나무, 섬국수나무, 가는잎조팝나무, 공조팝나무, 겹공조팝나무,     만첩조팝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2787 2024. 7. 2.
다래/개다래/쥐다래 비교 다래와 개다래, 쥐다래를 육안으로구분할 때 잎 표면에 보통 다래는 무늬가 없고 개다래는 하얀 무늬가 있고 쥐다래는 분홍색 무늬가 있다는 걸 기준으로 삼는데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이는 정확한 판별법이 아닙니다.셋 다 잎에 아무런 무늬가 생기지 않는 경우도 있고 쥐다래의 경우 잎에 무늬가 생길 때 처음에는 개다래처럼 흰색이었다가 나중에 분홍색으로  점차 변하기 때문입니다.잎에 무늬가 없을 때는 다래와 혼동될 수 있겠으나 다래는 꽃밥이 검은색이고 개다래나 쥐다래는 노란색이라서 꽃이 핀 경우 확실히구별이 됩니다..문제는 잎에 흰색 무늬가 있는 경우 개다래일 수도 있고 쥐다래일 수도 있다는 겁니다.일단 개다래의 경우 잎 표면에 분홍색 무늬가 생기지 않으니 잎 표면에 분홍색 무늬가 있으면 무조건 쥐다래라고 보면 됩.. 2024. 6. 10.
얇은잎고광나무 암술대와 밀선반 접사를 못했는데 찍어 온 사진을 확대해 보니 암술대에 털이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얇은잎고광나무인 것 같습니다.사진은 국망봉에서 찍었습니다.    *** 고광나무속 식물들 비교 : 고광나무, 얇은잎고광나무, 서울고광나무,      애기고광나무, 꼭지고광나무, 섬고광나무, 털고광나무, 흰털고광나무,     양덕고광나무, 중국고광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6210 2024.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