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12

엉겅퀴 ***  엉겅퀴속/지느러미엉겅퀴속 식물들 비교 : 엉겅퀴, 가시엉겅퀴, 개엉겅퀴,      고려엉겅퀴, 도깨비엉겅퀴, 동래엉겅퀴, 물엉겅퀴, 바늘엉겅퀴, 버들잎엉겅퀴,     점봉산엉겅퀴, 정영엉겅퀴, 좁은잎엉겅퀴, 큰엉겅퀴, 흰잎고려엉겅퀴,     흰잎엉겅퀴, 서양가시엉겅퀴, 카나다엉겅퀴, 지느러미엉겅퀴, 사향엉겅퀴     ==>  https://kualum.tistory.com/17047733 2024. 5. 23.
루브라참나무 잎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20m 정도이며, 드물게 40m까지도 자라기도 합니다.잎은 어긋나고, 길이 8-20cm이며 가장자리에 3-7개의 큰 톱니가 있다고 하는데 아래 사진에서 보니 9~11개짜리도 있긴 하네요. 2024. 5. 23.
점박이천남성 *** 천남성속/반하속 식물들 비교 : 천남성, 둥근잎천남성,      두루미천남성, 점박이천남성, 큰천남성, 무늬천남성,     거문천남성, 섬남성, 반하, 대반하     ==>  https://kualum.tistory.com/17047137 *** 천남성과 식물들 비교 : 천남성속, 앉은부채속, 반하속,      창포속, 곤약속, 산부채속, 토란속     ==>  https://kualum.tistory.com/17048297 2024. 5. 23.
물참대 *** 말발도리속 식물들 비교 :  말발도리, 물참대, 매화말발도리,      바위말발도리, 꼬리말발도리, 빈도리, 만첩빈도리, 애기말발도리,     꽃말발도리, 둥근말발도리     ==> https://blog.daum.net/kualum/17043647 2024. 5. 23.
층층나무 *** 층층나무속 식물들 비교 : 층층나무, 산딸나무, 풀산딸나무,      말채나무, 곰의말채나무, 흰말채나무, 흰말채나무 '아우레아'(노랑말채나무),     비단말채나무, 꽃산딸나무, 산수유     ==>  https://kualum.tistory.com/17048197 2024. 5. 23.
노린재나무 2024. 5. 22.
둥굴레 *** 둥굴레속 식물들 비교 : 둥굴레, 각시둥굴레, 늦둥굴레, 용둥굴레,      목포용둥굴레,안면용둥굴레, 산둥굴레, 선둥굴레, 왕둥굴레,     종둥굴레,죽대, 진황정, 층층갈고리둥굴레, 층층둥굴레, 퉁둥굴레,     풍도둥굴레     ==>  https://kualum.tistory.com/17042769 2024. 5. 22.
참회나무 *** 화살나무속 식물들 비교 : 회나무, 참회나무, 나래회나무, 참빗살나무,      좀참빗살나무, 화살나무, 털화살나무, 회잎나무, 회목나무, 사철나무,     좀사철나무, 줄사철나무, 섬회나무, 백두산회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6819 2024. 5. 22.
쪽동백나무 *** 때죽나무과 식물들 비교 : 때죽나무속 -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좀쪽동백나무, 흰좀쪽동백나무, 나래쪽동백속 - 나래쪽동백     ==>  https://kualum.tistory.com/17048245 2024. 5. 22.
자란초 금창초, 조개나물과 같이 꿀풀과 조개나물속입니다.   전국의 해발고도 500m 이상 되는 지역의, 부식질이 풍부하고 습윤한 반그늘 낙엽수림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고유종입니다.   꽃은 6월에 짙은 자주색으로 피는데 총상꽃차례는 길이 3cm 정도이고 원줄기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밀착하여 달립니다.금창초, 조개나물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나는 점이 다릅니다.    꽃받침통은 거꿀달걀모양이고 10맥이 있으며 길이 2.5mm정도로서 털이 다소 있고 열편은 선형이며 길이 5mm로서 3맥이 있습니다.   꽃부리는 짙은 자주색이고 판통은 위로 갈수록 넓어집니다.   꽃부리는 입술형으로 윗입술꽃잎은 길이 1.5mm, 너비 3mm이고 가장자리에 흰색 털이 있으며 끝이 둔하며 아랫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지고 이 .. 2024. 5. 22.
나한송(羅漢松) 암그루 *** 나한송과 식물들 비교 : 나한송속 - 나한송, 죽백나무속 - 죽백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9142 2024. 5. 22.
보리밥나무 잎 보리밥나무는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 작은키나무로 우리나라에는 황해도 이남의 바닷가 주변 산지에서 주로 자라며, 서해안은 대청도, 동해안은 울릉도까지 분포합니다.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거나 다른 나무를 타고 오르며 개화기는 8월 말 ~ 10월 말입니다.    잎은 어긋나며 원형 또는 넓은 달걀형이고 양면에 은백색 인모가 있는데 표면은 점차 없어지나 뒷면은 오래 남아 있어 은백색으로보입니다.아래 사진 오른쪽 잎에 있는 녹색 얼룩이 은백색 인모가 벗겨져가고있는 흔적입니다.   잎 양면에 은백색 인모뿐만 아니라 갈색 인모도 보입니다.    잎자루에도 갈색과 은백색 인모가 있습니다.     일년생가지에 황백색 및 연한 갈색 인모가 있습니다. 2024. 5. 21.
백미꽃 *** 박주가리속/왜박주가리속/백미꽃속 식물들 비교 : 박주가리,      왜박주가리, 백미꽃, 민백미꽃, 선백미꽃, 덩굴백미꽃, 자주박주가리,     덩굴박주가리, 흑박주가리, 솜아마존, 산해박, 큰조롱, 넓은잎큰조롱,      세포큰조롱, 양반풀     ==>  https://kualum.tistory.com/17045607 2024. 5. 21.
미선나무 열매 2024. 5. 20.
'만병초' 종류 비교 : 만병초, 노랑만병초, 홍만병초 '만병초'는 진달래, 철쭉 등과 같이 진달래과 진달래속입니다.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진달래속 식물들 중에서 '만병초'라는이름을 가진 것은 만병초와 노랑만병초 두 가지뿐입니다.재배종들은 아주 많아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무려 176개나 등재되이 있습니다. 이전에 따로 분류했었던 홍만병초는 지금은 만병초에 통합되었습니다.     ▼ 만병초 모든 병을 낫게 해 준다고 해서 만병초란 이름이 붙었다 합니다.그러나 실제로는 만병통치약과는 거리가 먼 유독식물이라서 잘못 먹으면 탈이 날 수 있다고 하네요.일부에서는 중국 한약재인 석남(石南)과 잎 모양이 비슷하여 같은 약으로 잘못 알고 사용할 뿐 실제로는 약효가 거의 없다는 주장도 있다고 합니다.(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41XXX.. 2024.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