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850 겹삼잎국화 겹삼잎국화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예전에 누군가로부터 잎이 세 개라서 삼잎국화라고 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오늘까지도 그렇게만 말고 있었는데 지금 보니 "삼"자가 "석 삼"자가 아니네요. 잎이 식물종의 하나인 삼과 비슷하다 하여 삼잎국화라고 한답니다. 하긴 한자인 '삼'자와 한글인 '잎'을 바.. 2007. 7. 3. 고들빼기-열매 처음엔 이랬던 고들빼기가... 꽃이 지고나서 결실을 하느라 아랫 배가 불룩해집니다. 드디어 열매가 벌어지면 그 안에 있던 관모가 달린 씨앗들이 세상 구경을 합니다. 이렇게 모여 있으니 무슨 커다란 붓 같기도 하네요. 형제들은 모두 가문의 영광 유지 여부는 우리들의 손에, 아니 씨앗에 달렸다면.. 2007. 7. 3. 마타리 마타리 : 마타리과, 여러해살이풀 60~150cm 높이로 키가 큰 편입니다. 그래서인지 다소 엉성해 보이고 바람에 줄기가 휘어져 있는 애들이 많더군요. 줄기에 마주나는 잎은 깃꼴겹잎으로 깊게 갈라져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사진에서는 깃꼴겹잎이 3장으로 되어 있어서 마치 3출엽처럼 보이.. 2007. 7. 3. 엉겅퀴 엉겅퀴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저번에 지느러미엉겅퀴를 엉겅퀴로 잘못 올려서 이번에 엉겅퀴 사진도 찍어봤습니다. 지느러미엉겅퀴는 줄기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지느러미 모양의 날개를 가지고 있고 엉겅퀴는 사진에서처럼 털만 있고 가시나 날개가 없어 확연히 구분이 되는데도 저번에는 이를.. 2007. 7. 3. 산딸기 산딸기 : 장미과, 갈잎떨기나무(낙엽관목) 딸기나무 종류도 많습니다. 산딸기는 잎 모양으로 다른 딸기나무들과 쉽게 구분이 됩니다. 곰딸기, 거지딸기, 장딸기, 복분자딸기, 줄딸기는 모두 잎이 깃꼴겹잎이고 멍석딸기는 3출엽이며 수리딸기는 산딸기처럼 잎이 깃꼴겹잎이 아니면서 어긋나는데 잎몸.. 2007. 7. 3. 짚신나물 짚신나물 : 장미과, 여러해살이풀 큰까치수염과 꽃차례 모양이 비슷한데 꽃색만 달라 눈길이 갔습니다. 물론 �차례 모양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완전히 다른 식물이었지요. 사진에서 보듯이 전체에 털이 많네요.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깃꼴겹잎으로 5~7개의 작은잎이 달립니다. 작은잎은 크기가 고르.. 2007. 7. 2. 좁쌀풀 좁쌀풀 : 앵초과, 여러해살이풀 햇별이 잘 드는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란다고 하는데 발견 장소가 억새군락지 중 물기가 좀 있는 곳이었으니 설명과 실제가 정확히 일치하네요. 그러고 보면 식물들도 제각각 자기에게 맞는 환경이 있는 모양입니다. 이 점이 야생화를 야생에서 집으로 옮기지 말아야.. 2007. 7. 2. 조록싸리 조록싸리 : 콩과, 갈잎떨기나무(낙엽관목) 싸리류 중에 광대싸리는 잎이 어긋나고 땅비싸리는 잎이 깃꼴겹잎입니다. 싸리와 참싸리는 조록싸리와 마찬가지로 3출엽인데 잎 끝이 오목하게 패여 있으나 조록싸리는 잎 끝이 뾰족한 차이가 있습니다. 잎만으로 대략 몇 가지 싸리류가 이렇게 구분이 되네.. 2007. 7. 2. 자주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 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 산행 중 처음에 발견했을 때 키는 왜소하나 잎과 꽃 모양이 꿩의다리를 닮아 아마도 좀꿩의다리쯤 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나중에 보니 자주꿩의다리였습니다. 산 곳곳에서 자라고 있었는데 관찰 결과 대부분 바위 틈이나 바위 근처에서 자라는 것이 목.. 2007. 7. 2. 방울비짜루 방울비짜루 :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아직도 비짜루와 방울비짜루를 확실히 구분해내지 못하겠습니다. 자료 설명에 의하면 비짜루는 잔가지가 3~7개씩 모여나고 방울비짜루는 1~8개씩 모여난다고 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5번째 사진에서 소나무 잎처럼 보이는 것이 잎이 아니라 잔가지입니다. 잎은 비늘 .. 2007. 7. 2. 바위채송화 바위채송화 :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 포천 명성산 등반 중 딱 한 송이 발견했습니다. 나중에 많이 피면 찍을까 하다가 그렇게 미루다가 놓친 것들이 너무 많아서 그냥 한 송이라도 찍어왔습니다. 한 송이라서 사진도 딱 한 방만 할애했다고 말하면 그 옆에 있는 꽃봉오리들이 기분 나빠할라나? 돌나물.. 2007. 7. 2. 긴잎갈퀴 긴잎갈퀴 : 꼭두선이과, 여러해살이풀 사진을 찍다 보니 얘처럼 가늘고 길다란 애만 보면 그다지 반갑질 않습니다. 사진 찍기가 꽤나 어렵고 이런 애들은 대체로 꽃도 크기가 작아 접사에 애로가 많지요. 뭐 그렇다고 미워하지는 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요. ^^ 아직 개화전이네요. 꽃은 흰색이라고 하는.. 2007. 7. 2. 미역줄나무 미역줄나무 : 노박덩굴과, 갈잎덩굴나무(낙엽만목) 이 식물은 비교적 쉽게 동정했습니다. 사진 속 특성과 자료의 설명이 잘 일치했거든요. 그러고 보면 사진은 일단 요모조모 많이 찍어오고 볼 일입니다. 가지가 적갈색으로 작은 돌기가 촘촘히 나고 5줄로 모가 집니다. 사진 속에서는 모 부분이 선명.. 2007. 7. 2. 망태버섯 망태버섯 : 말뚝버섯과 오래 전에 어떤 싸이트에서 희귀식물들 사진을 소개했는데 그때 이 망태버섯을 보면서 아마도 이런 버섯은 당연히 독버섯이고 지리산 천왕봉 계곡에서나 나리라고 생각했는데 이걸 포천 명성산에서 만나게 되었네요. 버섯의 위 어두운 부분을 갓이라 부릅니다. 그물 같은 건 .. 2007. 7. 2. 갈매기난초 갈매기난초 : 난초과, 여러해살이풀 포천 명성산 억새군락지 윗부분에서 만났습니다. 안타깝게도 시기가 너무 늦어 꽃들은 이미 시들기 시작했고 꽃잎은 누렇게 변색되어 가고 있었습니다. 가장 큰 뿌리에서 싹이 납니다. 초여름에 줄기 끝에 나는 1개의 긴 꽃이삭에 많은 흰색 꽃이 답립니다. 포는 꽃.. 2007. 7. 2. 이전 1 ··· 582 583 584 585 586 587 588 ··· 5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