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850

가시오갈피 가시오갈피 : 두릅나무과, 갈잎떨기나무(낙엽관목) 가시오갈피의 꽃입니다. 가지 끝의 산형꽃차례에 자황색 꽃이 둥글게 공처럼 모여 핍니다. 가시오갈피의 일반사항에 대해서는 07.05.29일자 '가시오갈피' 편을 참조하시길... 2007. 6. 21.
협죽도 협죽도(夾竹桃) : 협죽도과, 늘푸른떨기나무(상록관목) 몇 해 전 제주도에서 처음 본 나무입니다. 그때는 유도화로 알고 있었는데 협죽도가 정식 명칭이고 유도화는 이명이네요. 잎은 마디마다 세개씩 돌려나는데 선형이고 가늘고 길고 두꺼우며 가장자리가 밋밋합니다. 꽃은 가지 끝 취산꽃차례에 달.. 2007. 6. 21.
토레니아 토레니아 (Torenia) : 현삼과, 한해살이풀 이름만 간단히 소개합니다. 꽃색은 여러가지인데 입술 모양의 꽃으로 윗입술꽃잎 가운데 부분이 접혀 있고 아랫입술꽃잎 안쪽에 노란색 무늬가 있는 것이 관찰되네요. 2007. 6. 21.
콜레우스 콜레우스 (Coleus) : 꿀풀과, 여러해살이풀 잎이 화려해서 관상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열대지방이 원산이라 추위에 약해 여러해살이풀이지만 기온이 낮은 곳에서는 봄에 심는 한해살이풀로 취급합니다. 콜레우스는 종명이 아니고 속명입니다. 그러니 다른 곳에서 위에 있는 사진과 다른 식물이 콜레우.. 2007. 6. 21.
천일홍 천일홍 : 비름과, 한해살이풀 꽃색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아서 천일홍입니다. 천일홍은 꽃이 말라도 형태가 변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건조화(乾燥花) 또는 절화용(切花用)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꽃말도 '불변'이랍니다. 2007. 6. 21.
기생초 기생초(妓生草) : 국화과, 한두해살이풀 내가 작년에 목포에서 근무할 때 가끔 심심파적으로 영산강 하구로 드라이브를 가곤 하였답니다. 내가 즐겨 택했던 길은 목포에서 염암으로 가는 국도가 아니라 하구언을 지나자마자 나불도로 좌회전하여 하상도로를 따라 대불대학교 있는 곳으로 나가는 코스.. 2007. 6. 21.
접시꽃 접시꽃 : 아욱과, 두해살이풀 도종환 시인의 아내의 죽음과 관련된 내용의 '접시꽃 당신'으로 더욱 유명세를 탄 꽃입니다. 잎은 둥글고 가장자리가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지며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밑에서부터 피어 올라 전체적으로 총상꽃차례를 이룹니다. 꽃색은 홍색이외에도 여러가지가 .. 2007. 6. 21.
물칸나 물칸나 : 마란타과, 수생식물 안산식물원 인공연못 옆을 지나는데 키가 큰 이 물칸나가 바로 눈에 띄였습니다. 이름만 적은 작은 팻말이 물속에 있기는 한데 앞면이 밑으로 간 채 쓰러져 있었습니다. 이름을 모르고 가면 집에서 이름 찾느라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굳이 이름을 알고.. 2007. 6. 21.
능소화 능소화(凌?花) : 능소화과, 갈잎덩굴나무 원산지는 중국이며 관상수로 심습니다. 덩굴식물로 줄기의 마디에서 생기는 공기뿌리로 다른 나무에 붙어 타고 오릅니다. 잎은 마주나고 1회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7~9장으로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는 그림에서처럼 밑.. 2007. 6. 20.
트리안 트리안은 나하고 각별한 인연이 있는 식물입니다. 내가 청주에서 모 사업소 소장으로 처음 부임했을 때 여직원이 부임기념으로 화분 하나를 사왔는데 그게 바로 저 트리안이었습니다. 잎이 동글동글하고 풍성해서 여간 사랑스럽지가 않더군요. 결국 신경 좀 써서 잘 키운 덕분에 내가 청주를 떠날 때.. 2007. 6. 20.
호야 호야 (Hoya) : 박주가리과, 덩굴성상록다년초 Hoya란 속명입니다. 따라서 '호야'란 특정식물의 종명이 아니고 호야속 식물의 총칭입니다. 줄기는 갈색이고 줄기에서 공기뿌리가 나와 다른 식물이나 바위에 붙어 벋습니다. 호야의 꽃은 처음 봅니다. 사진에서는 마치 별사탕 같은 꽃봉오리만 보입니다. 인.. 2007. 6. 20.
테이블야자 테이블야자 : 야자과, 늘푸른작은키나무(상록교목) 테이블야자는 대부분 다 알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네? 모른다구요? 이구, 거... 왜 있잖아요, 대나무 비스므리 한 거.... (열매에 정신 팔려 잎과 수형을 못 찍어 온 걸 감추기 위해 횡설수설 하는 중) 테이블야자의 열매를 처음 보았습니다. 사진상으로.. 2007. 6. 20.
코르딜리네 아이치아카 코르딜리네 아이치아카 : 백합과, 열대성 관목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이름 소개 목적으로 올립니다. 새로 나는 짙은 자홍색의 잎은 나중에 검은 자갈색으로 변합니다. 학명은 Cordiline terminalis Kunth var. Aichiaka Hort.입니다. 식물의 학명을 보다 보면 var.이란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이번 기회에 궁금하여 .. 2007. 6. 20.
잉글리쉬아이비 잉글리쉬아이비 : 두릅나무과, 상록성 덩굴나무 이름 소개 목적으로 올립니다. 네이버백과사전에서도 검색이 안되니 어쩌다 잉글리쉬아이비란 이름이 붙었는지 알 길이 없네요. 참고로 학명은 Hedera helix L.로 잉글리쉬아이비란 말과 아무런 상관이 없군요. 잎맥에 황록색 줄무늬가 뚜렷한 것이 특징입.. 2007. 6. 20.
인도고무나무 인도고무나무 : 뽕나무과, 늘푸른큰키나무(상록교목) 화원에서 흔히 고무나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관엽식물의 대명사격인 화초로 잎이 고무 판때기 같다고 하여 고무나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상 식물원 안내문에 있는 내용만 소개하고 넘어갑니다. 더 이상 알고자 하시면 다치지는 않는데 내가.. 2007.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