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7532

현삼과 진흙풀속 식물들 비교 : 진흙풀 우리나라 진흙풀속의 유일종으로 제주도 습지에서 자랍니다.개인적으로는 이름조차 생전 처음 들어봅니다.  (출처 : Invasive.org)  줄기는 땅 위를 기며 길이 5~20cm로 가지를 치고 꽃받침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없습니다. (출처 : 野山の花たち)   꽃은 8~10월에 분홍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리고 꽃자루는 없습니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길이 2.5-3mm로서 5맥이 있으며 끝이 1/3정도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며 윗부분이 밖으로 다소 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습니다. (출처 :  Nature Library)   꽃부리는 길이 2mm로서 양순형이며 상순은 2개,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다소 있고 수술은 2개입니다.꽃이 너무 작아서 그렇겠지만.. 2024. 10. 8.
장미과 물싸리속/물싸리풀속 식물들 비교 : 물싸리속 - 물싸리, 민물싸리, 흰물싸리; 물싸리풀속 - 물싸리풀 우리나라 물싸리속 자생식물은 표제 3종뿐이고 물싸리풀속 자생식물은 표제 1종뿐이며 모두 북부 지방에서 자랍니다.    ▼ 물싸리 백두산 등 우리나라 북부 지방의 고산지대 습지나 암석 위에서 자랍니다.   초본이 아니고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는 30~150cm입니다.   꽃은 햇가지 끝이나 옆겨드랑이에 2~3개씩 달립니다.   꽃잎은 원형 또는 도란형입니다.   암술과 수술은 많습니다.   꽃받침조각은 달걀상 삼각형으로서 담녹색이고 겉에 견모가 있으며 부꽃받침조각은 5개로 도피침형입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모양겹잎이며 작은잎은 3~7개(보통5개)이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입니다. 잎 양면에는 처음에 긴 털이 있으나 다 자라면 표면에 성글게 털이 좀 있고 뒷면에는 털이 거의 없습니다.    다음은 어린가.. 2024. 10. 8.
받침꽃과 자주받침꽃속 식물들 비교 : 자주받침꽃, 서양받침꽃, 중국받침꽃 우리나라 자주받침꽃속 식물 세 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3종 모두 재배식물들입니다.     ▼ 자주받침꽃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에는 1957년에 관상용으로 도입되었습니다.   꽃은 4∼5월에 잎겨드랑이에 한 개씩 달리는데 녹자색 또는 적갈색이고 지름 3.5~5cm이며 향기가 강합니다.   꽃잎과 꽃받침의 모양과 색이 같아서 구분이 어렵습니다."꽃색이 자줏빛이며 꽃잎이 꽃받침같이 보이는 까닭에자주꽃받침꽃"이라고 불렀던 게 나중에 줄어서 자주받침꽃이되었다고 합니다. (두산백과)   속명인 Calycanthus는 그리스어 ‘calyx(꽃받침)’과‘anthos(꽃)’의합성어로 꽃잎과 꽃받침이 같다는 데서 유래했다 합니다. (허브도감)   화피들은 컵 모양의 화탁에 나선형으로 배열합니다.   수술은 많고 .. 2024. 10. 8.
'솔나물' 종류 비교 : 솔나물, 애기솔나물, 털솔나물, 털잎솔나물, 흰솔나물 우리나라에는 솔나물이란 말이 들어가 있는 식물은 표제 5종이고 모두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 자생식물들입니다.    ▼ 솔나물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며 줄기는 곧게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는 70~100cm 정도입니다.    꽃은 6~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 원추꽃차례에 달립니다.   꽃차례에 털이 있습니다.   꽃은 노란색이고 꽃부리는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이고암술대는 둘로 갈라집니다.   찍어 놓은 사진들을 살펴 보니 암술머리가 모두 둥급니다.   씨방과 열매에 털이 없습니다.우리나라 솔나물 종류 중에서 씨방과 열매에 털이 있는 건 털솔나물뿐입니다.   잎은 8~10장이 돌려나며 선형으로 밑은 둥글고 끝이 뾰족하며가장자리는 뒤로 말립니다.   잎 앞면에는 털이 없다고 하는데.. 2024. 10. 7.
산물통이 *** '물통이' 종류 비교 : 물통이, 산물통이, 모시물통이, 큰물통이,      제주큰물통이, 강계큰물통이, 작은잎물통이, 개물통이,      칠보개물통이, 서양개물통이, 나도물통이, 몽울풀, 우산물통이,      푸른몽울풀, 펠리온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8139 2024. 10. 7.
산박하 *** 산박하속 식물들 비교 : 산박하, 털산박하, 긴잎산박하, 영도산박하,      방아풀, 자주방아풀, 오리방풀, 지리오리방풀, 둥근오리방풀,     흰오리방풀, 깨나물     ==> https://kualum.tistory.com/17046664 2024. 10. 7.
산구절초 *** 구절초속 식물들 비교 : 구절초, 남구절초, 바위구절초, 산구절초,      신창구절초, 포천구절초, 한라구절초, 울릉국화, 정선국화, 마키노국화     ==>  https://kualum.tistory.com/17047790 2024. 10. 6.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식물들 비교 : 매자나무, 가는잎매자나무, 당매자나무, 연밥매자나무, 일본매자나무, 매발톱나무, 섬매발톱나무, 왕매발톱나무, 자엽일본매자, 황금일본매자나무 우리나라 매자나무속 식물들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생식물 : 매자나무, 가는잎매자나무, 당매자나무, 연밥매자나무                 매발톱나무, 섬매발톱나무, 왕매발톱나무 재배식물 : 일본매자나무, 자엽일본매자, 황금일본매자나무  아래는 매자나무속 식물들 일부에 대한 검색표입니다. 1. 잎가장자리 밋밋 ------------------------------------------------------------------ 당매자나무1. 잎가장자리 가시 모양 톱니    2. (유성지에) 엽상 가시 존재; 잎가장자리 가시 모양 톱니 불규칙적;         잎 뒷면 보통 회록색, 열매 구형 ---------------------------------------------- 매자나무    2. 엽상.. 2024. 10. 5.
미나리아재비과 금매화속 식물들 비교 : 금매화, 애기금매화, 큰금매화, 세열금매화, 북금매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금매화속 자생식물은 표제 5종인데 세열금매화와 북금매화는 자료부족으로 소개 대상에서 제외합니다.나머지 3종은 모두 우리나라 북부 지방에서 자생합니다. 먼저 한국식물지에 실려 있는 나머지 3종에 대한 검색표부터 소개합니다.   위 검색표와 한국식물지의 기재문 내용 중 일부를 종합하여 아래와 같은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구  분금매화큰금매화애기금매화높이 (cm)40~6040~10020~60꽃잎 개수(개), 색, 형태10~22, 밝은 노란색, 선형14~22, 등황색, 좁은 피침형9, 노란색, 선형꽃잎 수명조기 탈락조기 탈락통상 숙존꽃받침잎 개수(개), 색, 형태5~8, 노랑, 타원형 내지 좁은 타원형 5~7, 등황색, 넓은 난형 내지 도란형 5~7, 노랑, 도란형.. 2024. 10. 3.
범의귀과 식물들 비교 : 개병풍속, 고광나무속, 괭이눈속, 구실바위취속, 까치밥나무속, 나도범의귀속, 나도승마속, 노루오줌속, 도깨비부채속, 돌단풍속, 돌부채속, 말발도리속, 물매화속, 바위떡풀속, 바위수국속, 수국속, 헐떡이풀속 개병풍속 식물들 비교 : 개병풍==>  https://kualum.tistory.com/17048877  고광나무속 식물들 비교 : 고광나무, 얇은잎고광나무, 서울고광나무, 애기고광나무, 꼭지고광나무, 섬고광나무, 털고광나무, 흰털고광나무,양덕고광나무, 중국고광나무==>  https://kualum.tistory.com/17046210  괭이눈속 식물들 비교 : 가지괭이눈, 괭이눈, 누른괭이눈,바위괭이눈, 산괭이눈, 선괭이눈, 시베리아괭이눈,애기괭이눈, 천마괭이눈, 털괭이눈, 흰털괭이눈, 기는괭이눈,가지털괭이눈, 천지괭이눈, 녹빛괭이눈, 사술괭이눈, 연노랑괭이눈==>  https://kualum.tistory.com/17046933  구실바위취속/바위떡풀속/나도범의귀속 식물들 비교 : 구실바위취속 - 범.. 2024. 10. 2.
범의귀과 개병풍속 식물들 비교 : 개병풍 개병풍은 우리나라 태백시 금대봉 등 강원도 이북에서 자생하는데 국내에 사는 육상식물 중에서 가장 큰 잎을 가지는 희귀식물입니다. 환경부에 의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로 지정되었다가2022년에 "분포면적이 늘어났고, 개체군 크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이유로 백조어, 솔붓꽃, 황근과 함까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에서 해제된 바가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자생식물 가운데 잎이 가장 큰 식물은 수련과의 수생식물인 가시연꽃으로 잎의 지름이 2m에 이릅니다.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계곡 그늘진 곳, 깊은 산 북사면의 비옥한 토양(석회암지대)에서 군집을 이루며 사는 호석회성 식물인데 일부 저지대 개체군은 풍혈지대에 자생하기도 합니다.우리나라 전국적으로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매우.. 2024. 10. 2.
범의귀과 헐떡이풀속 식물들 비교 : 헐떡이풀 헐떡이풀은  우리나라 헐떡이풀속 내 유일종입니다.     ▼ 헐떡이풀 우리나라 경상북도 울릉도의 성인봉에서 자생합니다. (출처 :Wikispecies)  꽃줄기는 높이 10~40cm로서 샘털이 있고 짧은 대가 있는2~3개의 잎이 달리고 밑부분에서 흔히 1개의 짧은 가지가갈라집니다.꽃은 흰색으로 5~6월에 총상꽃차례에 밑을 향해 달립니다.                                    (출처 : Bhutan Biodiversity Portal)  꽃자루는 옆으로 퍼집니다. (출처 : eFloraofIndia)  꽃차례에는 샘털이 밀생합니다.꽃받침은 종형으로 끝이 5개로 갈라지는데 겉과 가장자리에짧은 샘털이 밀생합니다.꽃잎은 침형으로 꽃받침보다 길고 수술은 10개로 꽃 밖으로나와 있습니다. .. 2024. 10. 2.
범의귀과 돌단풍속/돌부채속 식물들 비교 : 돌단풍속 - 돌단풍, 돌부채손; 돌부채속 - 돌부채 우리나라 돌단풍속에는 2개 종이, 돌부채속에는 1개종이있습니다.돌부채는 돌부채속이고 돌부채손은 돌단풍속이라는 게 다소이색적입니다. 돌단풍속자생식물 : 돌단풍, 돌부채손돌부채속자생식물 : 돌부채      ▼ 돌단풍 우리나라 충청도 이북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산지의 계곡 주변바위틈에서 자랍니다.   꽃은 4~5월에 뿌리에서 난 높이 30~50cm의 꽃줄기에 원추형취산꽃차례로 피며,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을 띤 흰색입니다.   꽃대에는 잎이 달리지 않습니다.   꽃받침조각은 5~6개이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흰색이고 끝이뾰족합니다.꽃잎도 5~6개이고 흰색인데 꽃받침조각보다 길이가 작습니다.   수술은 5~6개로 꽃잎보다 약간 짧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둘로 갈라집니다.   잎가장자리는 5~7개로 손꼴로 갈라.. 2024. 10. 1.
홀아비꽃대과 식물들 비교 : 죽절초속 - 죽절초; 홀아비꽃대속 - 꽃대, 홀아비꽃대, 옥녀꽃대 우리나라 홀아비꽃대과에는 죽절초속과 홀아비꽃대속 2개가있습니다. 죽절초속자생식물 : 죽절초==>  https://kualum.tistory.com/17049867홀아비꽃대속자생식물 : 꽃대, 홀아비꽃대, 옥녀꽃대==> https://kualum.tistory.com/17047057 2024. 10. 1.
홀아비꽃대과 죽절초속 식물들 비교 : 죽절초 죽절초는 우리나라 홀아비꽃대과 죽절초속의 유일종으로자생식물입니다. 다음은 한국식물지에 실려 있는 죽절초속과 홀아비꽃대속의 검색표입니다. 1. 상록 관목; 수술 1개이고 방망이 모양 (난형인 경우에는 끝이 둥글다.)    ----------------------------------------------------------------------------- 죽절초속1. 여러해살이풀(한국에서); 수술 3개이나 드물게 1개, 포크 모양    (난형인 경우 끝에 불규칙적인 톱니 3개), 밑부분은 합생    ---------------------------------------------------------------------- 홀아비꽃대속     ▼ 죽절초 (竹節草) 제주도 돈네코계곡의 산기슭 숲속에서 드.. 2024.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