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아재비과 모데미풀속 식물들 비교 : 모데미풀
우리나라 모데미풀속 식물은 모데미풀 하나뿐입니다. 우리나라 평북 묘향산, 강원 금강산, 설악산, 대암산, 점봉산, 태백산, 광덕산, 경북 소백산, 전북 덕유산, 지리산, 제주 한라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입니다. 모데미풀은 일본 학자 오이 지사부로가 지리산 운봉면 소재 모데미(모데기 또는 모뎀골이라고 하는 자료도 있음.)라는 마을에서 처음 발견해 모데미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현재 이 마을이 어디인지 확인이 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모데미풀의 속명은 Megaleranthis인데 이는 크다는 뜻의 megas와 너도바람꽃의 속명인 eranthis가 합해진 이름입니다. 즉, 꽃이 너도바람꽃을 닮았는데 보다 더 크다는 의미가 내포된 속명입니다. 줄기잎은 없고 줄기에 난 잎처럼 생긴 포 위로 짧은 ..
2024. 4. 15.
백합과 얼레지속 식물들 비교 : 얼레지, 흰얼레지, 노랑꽃얼레지, 아메리카얼레지, 큰꽃얼레지, 레볼루툼얼레지, 몬타눔얼레지
우리나라 백합과 얼레지속 자생식물로는 얼레지가 유일합니다. 흰색 꽃이 피는 흰얼레지는 한때 따로 구분했었는데 지금은 얼레지에 통합되었습니다. 자생식물 : 얼레지, 흰얼레지 재배식물 : 노랑꽃얼레지, 아메리카얼레지, 큰꽃얼레지, 레볼루툼얼레지, 몬타눔얼레지 ▼ 얼레지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 얼레지는 1개의 구근에서 1개의 꽃이 피는 1경 1화 식물입니다. 봄철에 땅속 비늘줄기에서 2개의 잎이 나와 지면으로 퍼지는데 그 사이에서 길이 25cm의 꽃대가 돋아나 4월에 그 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립니다. 간혹 잎이 1장만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개체는 꽃을 피우지 않습니다. (야생화도감) 꽃잎은 6개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5-6㎝, 폭 5-10mm로서 뒤로 말리고 자주색인데 안쪽 밑부분에 더욱 짙은 암..
2024.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