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22

선괭이눈 *** 괭이눈속 식물들 비교 : 가지괭이눈, 괭이눈, 누른괭이눈, 바위괭이눈, 산괭이눈, 선괭이눈, 시베리아괭이눈, 애기괭이눈, 천마괭이눈, 털괭이눈, 흰털괭이눈, 기는괭이눈, 가지털괭이눈, 천지괭이눈, 녹빛괭이눈, 사술괭이눈, 연노랑괭이눈 ===> https://kualum.tistory.com/17046933 2024. 4. 10.
생강나무 암꽃 *** 생강나무속 식물들 비교 : 생강나무, 비목나무, 감태나무, 뇌성목, 털조장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6909 *** 생강나무와 산수유 비교 ==> https://kualum.tistory.com/17046908 2024. 4. 9.
노루귀 ▼ *** 노루귀속 식물들 비교 : 노루귀, 새끼노루귀, 섬노루귀, 유성노루귀 ==> https://kualum.tistory.com/17046922 2024. 4. 9.
처녀치마속/칠보치마속 식물들 비교 : 처녀치마속 - 처녀치마, 숙은처녀치마, 흰처녀치마, 칠보치마속 - 칠보치마 처녀치마속과 칠보치마속은  둘 다 백합과로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분류군은 아래와 같습니다.처녀치마속 - 처녀치마, 숙은처녀치마, 흰처녀치마칠보치마속 - 칠보치마 먼저 처녀치마속부터 살펴보겠습니다.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처녀치마는 한때 일본에서 자생하는 처녀치마와 같은 것으로 생각했었습니다.그러다가 이화여대 이남숙교수와 일본 학자 두 명이 수행했었던 한 분자계통발생론연구에서 우리나라에 있는 처녀치마속 식물은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 두 종뿐인데 이 둘 모두 일본의 처녀치마와는 계통이 다르다는 것을 밝혀내었습니다.그 연구 결과를 2004년 'Biosystematic studies on the genus Heloniopsis (Melanthiaceae) II. Two new species from Korea .. 2024. 4. 9.
처녀치마 2024. 4. 9.
꿩의바람꽃 *** '바람꽃' 종류 비교 : 너도바람꽃, 변산바람꽃, 풍도바람꽃, 만주바람꽃, 나도바람꽃, 매화바람꽃, 바람꽃, 꿩의바람꽃, 홀아비바람꽃, 쌍동이바람꽃, 회리바람꽃, 태백바람꽃, 들바람꽃, 외대바람꽃, 국화바람꽃, 세바람꽃, 가래바람꽃, 바이칼바람꽃, 남바람꽃, 북바람꽃, 조선바람꽃 ==> https://kualum.tistory.com/17045858 2024. 4. 8.
연노랑괭이눈 *** 괭이눈속 식물들 비교 : 가지괭이눈, 괭이눈, 누른괭이눈, 바위괭이눈, 산괭이눈, 선괭이눈, 시베리아괭이눈, 애기괭이눈, 천마괭이눈, 털괭이눈, 흰털괭이눈, 기는괭이눈, 가지털괭이눈, 천지괭이눈, 녹빛괭이눈, 사술괭이눈, 연노랑괭이눈 ===> https://kualum.tistory.com/17046933 2024. 4. 8.
애기괭이눈 *** 괭이눈속 식물들 비교 : 가지괭이눈, 괭이눈, 누른괭이눈, 바위괭이눈, 산괭이눈, 선괭이눈, 시베리아괭이눈, 애기괭이눈, 천마괭이눈, 털괭이눈, 흰털괭이눈, 기는괭이눈, 가지털괭이눈, 천지괭이눈, 녹빛괭이눈, 사술괭이눈, 연노랑괭이눈 ===> https://kualum.tistory.com/17046933 2024. 4. 8.
산괴불주머니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 산과 들의 습기가 있는 곳에 흔하게 자라는 두해살이풀입니다. 꽃은 3~6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는 길이 5~25cm의 총상꽃차례에 피며 꽃의 길이는 1.5~2.0cm이고 밝고 진한 노란색입니다.. 꽃부리는 한쪽이 순형脣形)으로 벌어지고 다른 한쪽은 다소 구부러진 거(距)로 됩니다. 수술은 6개인데 각각 3개씩 2그룹으로 나뉘어집니다. 암술머리에는 4개의 유두상 돌기가 있는데 때로는 바로 아래 사진에서처럼 가운데 한 쌍이 바깥쪽 한 쌍보다 더 도드라집니다. 아래 사진은 산괴불주머니의 꽃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여기에 암술머리에 있는 유두상 돌기가 잘 나타나 있습니다. 포는 난상 피침형이며 때로 갈라지기도 합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2회 깃꼴로 갈라지고, 길이 10~15c.. 2024. 4. 8.
수호초 회양목과 식물들 비교 : 회양목속 - 회양목, 좀회양목; 수호초속 - 수호초 ==> https://kualum.tistory.com/17049315 2024. 3. 31.
회양목과 식물들 비교 : 회양목속 - 회양목, 좀회양목; 수호초속 - 수호초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회양목과 식물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회양목속 자생식물 : 회양목 재배식물 : 좀회양목 ==> https://kualum.tistory.com/17046903 수호초속 재배식물 : 수호초 ==> https://kualum.tistory.com/17048405 2024. 3. 31.
생강나무와 산수유 비교 산수유나 생강나무 모두 잎이 나기 전에 꽃이 피는데 개화시기도 비슷하고 꽃도 노란색이기에 멀리서 보면 언뜻 구분이 되질 않습니다. 그러나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에 속하고 생강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서로 유연관계가 먼 사이입니다. ▼ 산수유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어 식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70년에 광릉 지역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어 우리 나라 자생종임이 밝혀진" 나무라는 게 국생지의 설명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산에서는 만나기 어렵고 일반적으로 관상용 또는 약용으로 식재하고 있습니다. 꽃은 잎이 나기 전에 먼저 핍니다. 꽃은 20~30개가 산형꽃차례에 달리고 노란색입니다. 꽃자루는 가늘고, 털이 납니다. 꽃은 양성화입니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4개씩이고 암술은 1개입니다. 잎은 난.. 2024. 3. 21.
인동속 식물들 비교 : 괴불나무, 각시괴불나무, 청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올괴불나무, 왕괴불나무, 섬괴불나무, 홍괴불나무, 흰괴불나무, 흰등괴불나무, 분홍괴불나무, 털괴불나무, 볼레괴.. 인동속 식물들 한번 비교해 보기로 합니다. 자생식물 : 괴불나무, 각시괴불나무, 청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올괴불나무, 왕괴불나무, 지리괴불나무, 섬괴불나무, 홍괴불나무, 흰괴불나무, 흰등괴불나무, 털괴불나무, 암괴불나무, 볼레괴불나무, 물앵도나무, 구슬댕댕이, 댕댕이나무, 인동덩굴 재배식물 : 붉은인동, 분홍괴불나무 먼저 이들 중에서 가지 속이 비어 있는 것으로는 인동덩굴, 괴불나무, 각시괴불나무, 섬괴불나무, 물앵도나무가 있습니다. 나머지는 모두 가지 속이 차 있다는 말이지요. 아래는 흰색의 수로 차 있는 길마가지나무의 가지 속 모습입니다. 대부분은 포와 소포가 따로 있는데 털괴불나무, 올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는 소포가 없습니다. ▼ 괴불나무 전국적으로 흔하게 자랍니다. 꽃은 흰색으로 피었다가 점차 .. 2024. 3. 20.
길마가지나무 *** 인동속 식물들 비교 : 괴불나무, 각시괴불나무, 청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올괴불나무, 왕괴불나무, 섬괴불나무, 홍괴불나무, 흰괴불나무, 흰등괴불나무, 분홍괴불나무, 털괴불나무, 볼레괴불나무 ... ==> https://kualum.tistory.com/17046975 2024. 3. 20.
호자나무속/무주나무속 식물들 비교 : 호자나무속 - 호자나무, 수정목, 무주나무속 - 무주나무 ▼ 호자나무 (Damnacanthus indicus C. F. Gaertn.) 우리나라 제주도와 전남 홍도 등에서 자생합니다. 꽃은 4월 ~ 5월에 피고 백색이며 잎겨드랑이에 1 ~ 2개씩 달립니다. 꽃대가 짧으며 꽃받침 길이는 1.5mm입니다. 꽃부리는 통형으로 끝이 4갈래로 갈라지고 판통 안쪽에 털이 있습니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인데 암술대는 수술보다 길고 암술머리는 끝이 4개로 갈라집니다. 위 사진에서 4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확인됩니다. 잎은 넓은 난형이고 원저 또는 심장저입니다. 일년생가지에는 털이 있는데 아래 사진에서 그 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시는 길이가 잎과 비슷하거나 조금 깁니다. 유사한 수정목은 가시가 잎보다 짧다는 점이 다릅니다. 가을에 붉게 익은 열매는 이듬해 봄까지 매달.. 2024.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