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갤러리-풀꽃나무7522

호자나무 열매 열매는 핵과이며 가을에 붉게 익어 이듬해 봄까지 달려 있습니다. *** 호자나무속/무주나무속 식물들 비교 : 호자나무속 - 호자나무, 수정목, 무주나무속 - 무주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5841 2024. 3. 20.
백량금 열매 우리나라 홍도, 제주도 등 남부 지역에 자생합니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붉은색으로 익으며 9월에 성숙해서 이듬해 6월까지 매달려 있습니다. 2024. 3. 20.
목서속 식물들 비교 : 목서, 금목서, 은목서, 구골나무, 박달목서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목서속 식물들은 아래 5종입니다. 자생식물 : 박달목서 재배식물 : 목서, 금목서, 은목서, 구골나무 ▼ 목서 중국 원산이며 우리나라 경남, 전남 지역에서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있습니다. 목서의 학명은 Osmanthus fragrans (Thunb.) Lour.인데 여기서 속명은 향기를 의미하는 오스메(osme)와 꽃을 의미하는 안토스(anthos)라는 두 개의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만큼 목서속 식물들은 모두 꽃의 향기가 짙습니다. 꽃은 9~10월에 암수딴그루 피는데 지름 5mm 정도이고 황백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고 작은꽃자루는 길이 7~10mm입니다. 꽃은 작으나 향기가 짙습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4개로 갈라지고 꽃부리도 4개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조각.. 2024. 3. 20.
구골나무 열매 열매는 나중에 흑자색으로 익습니다. 목서속 식물들 비교 : 목서, 금목서, 은목서, 구골나무, 박달목서 ==> https://kualum.tistory.com/17048143 2024. 3. 20.
생강나무속 식물들 비교 : 생강나무, 비목나무, 감태나무, 뇌성목, 털조장나무 우리나라 생강나무속에는 아래와 같이 5종이 있는데 모두 자생식물들이고 암수딴그루이며 대부분 잎이 나기 전에 꽃이 먼저 핍니다. 이전에 따로 분류했었던 둥근잎생강나무와 고로쇠생강나무, 털생강나무는 지금은 생강나무에 통합 처리되었습니다. 생강나무, 비목나무, 감태나무, 뇌성목, 털조장나무 생강나무속 식물들의 꽃은 형태는 다소 다르긴 하지만 구조는 모두 대동소이합니다. 먼저 비목나무의 수꽃을 예로 들겠습니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조각은 6개로 3개씩 2줄로 배열됩니다. 수술은 9개로 2줄로 배열되는데 6개는 바깥쪽에, 3개는 안쪽에 있고 안쪽 3개의 수술은 밑부분 좌우에 선채가 1개씩 달려 있습니다. 다음으로 역시 비목나무의 암꽃을 예로 듭니다. 꽃잎이 없고 꽃받침조각이 6개이며 3개씩 2줄로 배열되는 건 수꽃.. 2024. 3. 20.
생강나무 수그루 *** 생강나무속 식물들 비교 : 생강나무, 비목나무, 감태나무, 뇌성목, 털조장나무 ==> https://kualum.tistory.com/17046909 *** 생강나무와 산수유 비교 ==> https://kualum.tistory.com/17046908 2024. 3. 20.
올괴불나무 주금산의 올괴불나무가 역시 올해도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봄의 전령사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 인동속 식물들 비교 : 괴불나무, 각시괴불나무, 청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올괴불나무, 왕괴불나무, 지리괴불나무, 섬괴불나무, 홍괴불나무, 흰괴불나무, 흰등괴불나무, 분홍괴불나무, 털괴불나무, 암괴불나무, 볼레괴불나무, 물앵도나무, 구슬댕댕이, 댕댕이나무, 인동덩굴, 붉은인동덩굴 ==> https://kualum.tistory.com/17046975 2024. 3. 18.
노루귀 주금산 그곳의 복수초는 거의 만개 수준이었는데 노루귀는 이제 겨우 일부만 피어 있었습니다. 그래도 얼마나 반갑던지 ... *** 노루귀속 식물들 비교 : 노루귀, 새끼노루귀, 섬노루귀, 유성노루귀 ==> https://kualum.tistory.com/17046922 2024. 3. 18.
복수초 해마다 초봄이면 찾는 주금산의 노루귀와 복수초 군락지에 올 들어 처음으로 발걸음을 해 봅니다. 그곳에 도착해서 보니 복수초들이 여기저기 무리를 지어 노란 얼굴로 환하게 웃고 있습니다. 불청객의 갑작스런 방문을 힐난하기는새로에 이렇게 환대를 해 주니 단지 흔감할 따름입니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 개체수가 대폭 늘었기에 더욱더 반갑기 그지없습니다. *** 복수초속 식물들 비교 :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털복수초, 꿩복수초, 여름꿩복수초, 유럽복수초 ===> https://kualum.tistory.com/17048323 2024. 3. 18.
중국풍년화 (몰리스풍년화) 욘석은 홍릉숲에서 찍은 건데 몰리스풍년화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더군요. 몰리스풍년화의 정식 국명은 중국풍년화입니다. *** 풍년화속 식물들 비교 : 풍년화, 중국풍년화(몰리스풍년화), 버지니아풍년화(서양풍년화), 베르날리스풍년화, 상록풍년화, 붉은상록풍년화 ===> https://kualum.tistory.com/17049277 2024. 3. 17.
풍년화속 식물들 비교 : 풍년화, 중국풍년화(몰리스풍년화), 버지니아풍년화(서양풍년화), 베르날리스풍년화, 상록풍년화, 붉은상록풍년화 풍년화속 : 풍년화, 중국풍년화, 버지니아풍년화, 베르날리스풍년화 Loropetalum속 : 상록풍년화, 붉은상록풍년화 풍년화는 조록나무과 풍년화속(Hamamelis)으로 Hamamelis는 "열매와 함께"라는 의미의 라틴어로 꽃이 전년도 열매와 같이 달리는 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위키피디아》 풍년화는 유사종도 많고 품종도 상당수 개발되어 있어서인지 자료들마다 제시하고 있는 설명과 사진들이 서로 다릅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표제 6종의 정확한 구분법에 대해 확신이 없다는 전제하에 《Trees and Shrubs Online / International Dendrology Society》의 기재문 내용에 따라 간단히만 설명하고자 합니다. 아래 표는 본 자료의 기재문 내용을 요약한 건데 이들은 꽃보다는 잎.. 2024. 3. 17.
팥꽃나무 이전에는 학명이 Daphne genkwa으로 팥꽃나무과 팥꽃나무속(Daphne)이었는데 지금은 학명이 Wikstroemia genkwa으로 팥꽃나무과 산닥나무속(Wikstroemia)으로 바뀌었고 이전의 속명 Daphne는 백서향속으로 국명이 변경되었습니다. 서해안과 남해안의 바닷가 주변 숲 또는 산기슭 풀밭에서 드물게 자랍니다. 서해안에서는 이 꽃이 필 때 조기가 회유하므로 조기꽃나무라 부르기도 한다 합니다. (향토문화전자대전) 꽃은 3~5월 잎이 나기 전에 피는데 지난해 가지 끝에 연한 자홍색 꽃이 3~7개씩 우산살 모양으로 달리며 꽃자루에 털이 있습니다. 욘석은 꽃이 2개만 달렸네요. 꽃받침은 꽃잎처럼 보이며 통 모양이고 끝이 4갈래로 갈라집니다. 수술은 4~8개이며 두 줄로 배열되고 꽃밥은 노란색.. 2024. 3. 15.
호랑가시나무 수그루 *** 감탕나무속 식물들 비교 : 호랑가시나무, 완도호랑가시나무, 감탕나무, 대팻집나무, 민대팻집나무, 먼나무, 꽝꽝나무, 좀꽝꽝나무, 낙상홍, 미국낙상홍, 낙상홍 '레우코카르파', 낙상홍 '겜페이' ==> https://kualum.tistory.com/17048231 2024. 3. 15.
말냉이 냉이류 비교 (1) : 1속1종 - 냉이, 말냉이, 서양말냉이, 물냉이, 뿔냉이, 염주냉이, 장대냉이, 장수냉이, 모래냉이, 주름구슬냉이, 고추냉이, 1속2종 - 양구슬냉이, 좀아마냉이 ==> https://kualum.tistory.com/17046904 냉이류 비교 (2) : 황새냉이속 - 꽃황새냉이, 논냉이, 꽃냉이, 는쟁이냉이, 덩이냉이, 꼬마냉이, 두메냉이, 미나리냉이, 벌깨냉이, 산냉이, 싸리냉이, 애기냉이, 애기황새냉이, 왜갓냉이, 좀냉이, 좁쌀냉이, 큰는쟁이냉이, 큰미나리냉이, 큰황새냉이, 황새냉이 ==> https://kualum.tistory.com/17046905 냉이류 비교 (3) - 다닥냉이속 - 다닥냉이, 좀다닥냉이, 국화잎다닥냉이, 길다닥냉이, 들다닥냉이, 시베리아다닥냉이, 앉.. 2024. 3. 14.
회양목 회양목속 식물들 비교 : 회양목, 좀회양목 ==> https://kualum.tistory.com/17046903 2024.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