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850

물방동사니 물방동사니 : 사초과, 한해살이풀 이 역시 직전에 올린 드렁방동사니와 같이 동강에서 찍은 것입니다. 둘이 사이 좋게 이웃으로 지내고 있더군요. 위로 길게 솟아 있는 것이 잎인데 잎이 상당히 깁니다. 포도 잎과 같은 모양이서 사진만으로는 구분이 힘듭니다. 여하튼 물방동사니는 첫눈에 작은꽃이.. 2007. 9. 6.
드렁방동사니 드렁방동사니 : 사초과, 한해살이풀 동강 하안도로를 따라 걷다가 적당한 장소에서 내려가 모래톱을 걷다가 바위 근처 습지에서 발견하였습니다. 거기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방동사니가 군생하고 있더군요. 첫눈에도 그 동안 내륙에서 보았던 방동사니류와는 다른 모습이어서 열심히 디카를 들이댔습.. 2007. 9. 6.
이고들빼기 이고들빼기 : 국화과, 한두해살이풀 오래 전에 찍은 거라서 요모조모 상세 사진을 찍지 못했네요. 사진도 많이 흔드리고... 줄기는 곧게 서고 윗 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집니다. 꽃은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산형으로 달립니다. 두상화는 노란색으로 꽃이 필 때는 곧게 서지만 핀 다음에는 처진다 하.. 2007. 9. 6.
톱풀 톱풀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천마산 하산 후 등산로 입구에 피어 있던데 톱풀과 서양톱풀 구분을 외우고 있지 않아 혹시 이전에 찍었던 서양톱풀 아닌가 해서 안 찍으려다 찍었는데 톱풀이네요. 꽃은 흰색으로 줄기 끝의 산방꽃차레에 달립니다. 혀꽃은 각각 세 장의 흰색천을 잇대어 놓은 거 같네요... 2007. 9. 6.
꼭두서니/큰꼭두서니 꼭두서니/큰꼭두서니 : 꼭두선이과, 여러해살이풀 두 군데서 찍은 것을 같은 것으로 알고 섞어 놓았는데 동정하면서 보니 꼭두서니와 큰꼭두서니 두 가지였던 거 같네요. 일단 꼭두서니 중심으로 설명하고 큰꼭두서니에 대해서는 후미에 언급하겠습니다. 잎은 줄기 전체에서 4개씩 돌려납니다. 꽃은 .. 2007. 9. 6.
수염며느리밥풀 수염며느리밥풀 : 현삼과, 반기생성 한해살이풀 수염며느리밥풀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햇볕을 받은 식물체는 전체에 적자색이 돈다는 겁니다. 줄기에도 잎에도 적자색이 돌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수염며느리밥풀은 다른 며느리밥풀류와 구분이 됩니다. 포는 비교적 다닥다닥 .. 2007. 9. 6.
꽃며느리밥풀 꽃며느리밥풀 : 현삼과, 반기생성 한해살이풀 며느리밥풀류도 구분이 까다로운 식물 중의 하나입니다. 대부분 생김새가 유사한데다 자료의 설명도 그다지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여하튼 며느리밥풀류는 꽃 밑에 가시가 달린 포가 있습니다. 자료에서는 잎 모양도 다소 차이가 나는 걸로 설명하고 .. 2007. 9. 6.
고려엉겅퀴 고려엉겅퀴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엉겅퀴 종류 참 많기도 합니다. 분취 꽃도 엉겅퀴와 비슷한데 분취 종류도 아주 많아 이런 류의 꽃만 보면 머리부터 지끈거립니다. 다행히 이건 팻말이 있어서 내 수고를 많이 덜어냈습니다. 꽃은 원줄기와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립니다. 꽃은 자주색이고 두상화입니.. 2007. 9. 6.
자주꽃방망이 자주꽃방망이 : 초롱꽃과, 여러해살이풀 원래 곧게 서는데 키가 크다 보니 바람의 시샘을 받아 모로 누워버렸네요. 그래도 꿋꿋하게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꽃은 원줄기 끝에 두상으로 모여 달리는데 사진에서처럼 잎겨드랑이에도 핍니다. 짙은 자주색의 화관이 5개로 깊게 갈라집니다. 요즘은 꽃 접.. 2007. 9. 6.
뻐꾹나리-열매 뻐꾹나리 꽃은 예쁜데 열매는 그냥 평범하네요. 사진만 올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을 참조하세요. ---> 여기 클릭 2007. 9. 6.
붉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 : 수선화과, 여러해살이풀 고창 선운사에 가면 석산 군락지가 있습니다. 안내 팻말에 보면 석산이 잎이 진 다음에 꽃이 피기 때문에 잎과 꽃이 서로 만날 일이 없다 하여 상사화란 별명으로도 불린다 적혀 있습니다. 그렇지만 엄연히 상사화란 별도의 종이 있으니 이는 잘못된 상식이라.. 2007. 9. 6.
부추-열매 부추의 열매는 이렇게 생겼네요. 부추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세요. ---> 여기 클릭 2007. 9. 6.
진득찰 진득찰 : 국화과, 한해살이풀 사진 찍는 게 쉽지는 않은가 봅니다. 특히 나처럼 아마츄어에게는 더 그렇습니다. 기술이 부족하니 힘만 들이다 보면 진이 빠져 나중에는 귀찮아집니다. 이 진득찰도 습지에 잔뜩 피어 있는데 찍기가 싫었습니다만 이때를 놓치면 또 내년에나 사진에 담을 수 있을 거란 생.. 2007. 9. 6.
비짜루-열매 작년인가 산행 중에 붉은색 열매를 딱 하나 매달고 있는 비짜루를 본 적이 있었습니다. 아주 연약하게 생긴 비짜루에 그런 열매가 달린 게 참 신기해 보였는데 국립수목원에서 본 비짜루에는 열매가 많이 매달렸군요. 하여튼 이 비짜루는 식물체가 연약해서인지 제대로 서 있는 걸 본 적이 거의 없습.. 2007. 9. 6.
붉은서나물 붉은서나물 : 국화과,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자라고 키가 큰 편으로 빈터에서 자랍니다. 상기 사진도 광릉 봉선사 입구 풀밭에서 찍은 겁니다. 꽃과 열매가 같이 매달린 모습입니다. 저쪽에 봉선사 팻말이 보이네요. ^^ 꽃은 이게 다 핀 겁니다. 더 벌어지지 않지요. 붉은서나물은 쇠서나물과 비슷하.. 2007.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