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856

한기죽(리본풀) 한기죽 : 벼과 팻말에 한기죽이라고 하고 별칭으로 리본풀이라고 되어 있어 풀이라고 생각했는데 나무라고 하네요. 잎에 마디가 있는 것이 특이해 보였습니다. 솔로몬군도가 원산지라 합니다. 꽃이 특이하게도 잎 마디의 가장자리에서 피더군요. 꽃이 너무 작아서 눈여겨 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치기 .. 2007. 11. 12.
팔손이 팔손이 : 두릅나무과, 늘푸른떨기나무 꽃은 가지 끝에서 둥글게 모여 달리는 산형꽃차례에 피는데 이 산형꽃차례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원추꽃차례를 이룹니다. 꽃이 벌서 지고 열매가 맺혀가고 있네요. 열매는 장과로 거의 둥글고 이듬해 4~5월에 검은색으로 익습니다. 잎이 흔히 8개로 갈라져 팔손.. 2007. 11. 12.
태산목-열매 태산목 : 목련과, 늘푸른큰키나무 목련과 나무는 대부분 낙엽수인데 태산목은 상록수입니다. 열매가 특이하게 생겼네요. 밑에 있는 열매자루도 그물이나 벌집 같은 모양입니다. 열매는 골돌열매로 넓은 타원형이고 녹백색의 짧은 털로 뒤덮혀 있습니다. 다 익으면 터지면서 안에서 붉은색 씨 2개가 나.. 2007. 11. 12.
차나무 차나무 : 차나무과, 늘푸른떨기나무 남부지방의 따뜻한 곳에서 자라는 나무입니다. 꽃은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 1~3개가 달리며 흰색이고 향기가 있습니다. 열매는 다음해 11월에 갈색으로 익는데 사진에서 꽃 위쪽에 보이는 열매는 올해 생긴 것으로 내년 가을에 익을 겁니다. 꽃잎은 6~8개이고 거꾸.. 2007. 11. 12.
고대 이집트 완두콩 국립수목원에서는 고대 이집트의 국왕 중 하나였던 투탕카멘 왕의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완두콩의 종자 5개를 얻어와 증식에 성공하였고 이를 기념하여 증식된 완두콩을 전시하고 있더군요. 참고로 올립니다. 자세한 설명은 안내문 사진에 있는 것으로 대체합니다. 2007. 11. 11.
부들레야 부들레야의 열매는 삭과이며 열매마다 많은 씨가 들어 있습니다. 2007. 11. 11.
벚나무-춘추화 국립수목원 산림생태관인가 앞을 지나는데 웬 나무 하나가 꽃을 잔뜩 피우고 있더군요. 수피와 꽃 모양을 종합해 보건대 벚나무로 보였는데 지구의 온난화 영향으로 봄꽃이 가을에 피는 경우가 종종 있긴 하지만 이렇게까지 가지에 잔뜩 피는 게 이상해 보였습니다. 마침 곁을 지나는 수목원 관계자 .. 2007. 11. 11.
미선나무-열매 미선나무의 미선의 한자는 "尾扇"입니다. 열매가 부채 모양이라고 해서 미선나무라고 한다는데 부채 "선"은 이해가 가는데 꼬리 "미"는 왜 붙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미선나무는 우리나라 특산종입니다. 열매는 시과로 둥근 타원 모양이며 끝이 오목하고 날개가 있는데 안에는 씨가 2개씩 들어 있습니다... 2007. 11. 11.
동백나무 원예종 -홍을녀 동백나무의 원예종 중 하나인 것으로 보입니다. 품종명은 홍을녀(紅乙女)라고 하는데 그 유래는 모르겠습니다. 사진만 올립니다. 2007. 11. 11.
애기동백 애기동백 : 차나무과, 늘푸른작은키나무 애기동백은 동백나무와 몇 가지 점에서 다릅니다. 우선 야생을 기준으로 할 때 동백나무 꽃은 붉은색인데 비해 애기동백의 꽃은 흰색입니다. 물론 둘 다 원예종인 경우 여러가지 다른 색이 있습니다. 동백나무의 꽃은 활짝 벌어지지 않고 통 모양으로 피는데 .. 2007. 11. 11.
동백나무 동백나무 : 차나무과, 늘푸른큰키나무 동백나무는 1~3월이 개화기인데 온실에서는 벌써 꽃을 피우고 있더군요. 동백나무는 곤충이 아닌 동박새라는 새가 꽃가루받이를 해주는 나무입니다. 개화기가 일러 곤충이 활동하기에는 아직 춥기 때문이랍니다. 동백나무는 원래 교목이지만 밑 부분에서 가지가.. 2007. 11. 11.
대만무궁화 대만무궁화 : 아욱과 대만무궁화란 팻말이 붙어 있던데 원예종으로 보입니다. 사진만 올립니다. 2007. 11. 10.
구골나무 구골나무 : 물푸레나무과, 늘푸른떨기나무 이렇게 늦게 꽃이 피는 나무도 있네요. 수목원 온실에서 찍은 건데 향이 대단하더군요. 들어오는 사람들마다 이 향내에 취해서 한 마디씩 칭찬을 쏟아내고 갑니다. 제주도를 비롯한 바닷가에서 자랍니다. 흰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뭉쳐납니다. 화관과 꽃받.. 2007. 11. 10.
봉선사와 국립수목원의 만추 (2) 기타 풍경 사진들 2007. 11. 10.
봉선사와 국립수목원의 만추 (1) 국립수목원이 가까이에 있다는 게 행운이라는 생각을 한 건 올해부터입니다. 그전에야 산보 삼아서라도 들리지 않았던 곳인데 올초에 블로그를 운영하면서부터는 우리 집 정원 드나들 듯합니다. 처음에는 블로그에 올릴 소재를 얻기 위해 발걸음을 했었는데 근자에는 특별히 할 일이 없거나 다소 마.. 2007.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