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856 사데풀 사데풀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동네 인근 풀밭에 피어 있는 걸 멀리서 보고는 바로 사데풀일 것이라 추측했습니다. 왜 사데풀이란 이름과 그 처음 보는 식물이 매치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꽃은 두상화인데 혀꽃으로 구성되어 있고 노란색이며 화관 끝이 5개로 갈라집니다. 가운데 부분에는 저런 .. 2007. 10. 20. 제비꽃 오늘 본 봄꽃만 해도 제비꽃, 개나리, 철쭉 이렇게 세 가지나 됩니다. 특히 제비꽃은 요즘 심심치 않게 눈에 띄더군요. 2007. 10. 20. 더덕-열매 더덕의 열매입니다. 2007. 10. 20. 가는잎왕고들빼기 가는잎왕고들빼기 : 국화과, 한두해살이풀 왕고들빼기는 잎이 깃꼴로 갈라지는데 가는잎왕고들빼기는 잎이 갈라지지 않습니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 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집니다. 가지를 자르면 흰 즙액이 나옵니다. 꽃은 연노란색으로 두상화이며 원추꽃차례에 달립니다. 총포는 원통 모양인데 밑 .. 2007. 10. 20. 사위질빵-열매 사위질빵의 열매는 수과로 5~10개씩 모여서 달리며 흰색 또는 연한 갈색의 털이 있는 암술대가 붙어 있습니다. 2007. 10. 19. 뺑쑥 뺑쑥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쑥도 한 번 찍다 보니 자꾸 찍게 되네요. 넓은잎외잎쑥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넓은잎외잎쑥은 잎몸이 얕게 갈라지는데 뺑쑥의 잎몸은 깊게 갈라지는 점이 다릅니다. 꽃은 줄기 끝 총상꽃차례에 달려 전체적으로 원추꽃차례를 이룹니다. 꽃은 두상화이고 꽃대가 없으며 포.. 2007. 10. 19. 노루오줌-열매 노루오줌의 열매는 삭과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집니다. 2007. 10. 19. 꽃아그배나무-열매 꽃아그배나무 : 장미과, 갈잎작은키나무 꽃아그배나무는 중국이 원산으로 유럽에서 개량되어 조선말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합니다. 열매는 둥글며 홍색 또는 황홍색으로 익습니다. 2007. 10. 19. 달맞이꽃 산행에서 돌아오는 길에 도로변 잡풀 사이에 노란 꽃이 하나 피어 있더군요. 살펴 보니 줄기가 목질이어서 무슨 나무 종류일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풀꽃들의 줄기도 가끔 목질화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 식물의 줄기를 잡아 당겨보았는데 아주 딱딱하고 휘어지지도 않더군요. 위 사진에서 뱀처럼 구불.. 2007. 10. 19. 개발나물-열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보면 열매는 거의 둥글다고 되어 있는데 사진 속 열매는 그렇지 않네요. 혹시나 다른 개발나물 종류인가 살펴 보았는데 딱 맞아 떨어지는 게 없습니다. 이전에 찍었던 꽃과 잎 사진을 다시 살펴 보아도 개발나물이 맞는 거 같습니다. 답답해서 두산백과사전을 찾아보니 거기에는 .. 2007. 10. 19. 일월비비추/참비비추-열매 일월비비추와 참비비추의 열매가 큰 차이가 없어 보여 섞어서 올립니다. 열매가 익으면 벌어지면서 그 안에서 종자가 나옵니다. 종자는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검은색의 날개가 있습니다. 2007. 10. 18. 원추리-열매 원추리의 열매는 다 익으면 벌어져 검은색 씨앗이 드러납니다. 2007. 10. 18. 좀고추나물 좀고추나물 : 물레나물과, 여러해살이풀 에고~~~ 얘 이름을 참 어렵게도 찾았네요. 어쨋든 찾기는 했으니 다행입니다. 키가 아주 작습니다. 자료에는 5~30cm로 되어 있는데 내가 만난 녀석은 똑바로 서 있지도 않고 땅을 기듯이 옆으로 퍼져 있었고 키도 기껏해야 2~3cm 정도 였던 거로 기억합니다. 물론 땅.. 2007. 10. 18. 콩배나무-열매 콩배나무의 열매는 녹갈색에서 검은색으로 익습니다. 열매 겉이 배껍질 같이 생겼고 크기가 콩알만한데 그래서 콩배나무란 이름이 붙은 듯합니다. 2007. 10. 18. 꽃말발도리-열매 꽃말발도리 열매입니다. 2007. 10. 18. 이전 1 ··· 545 546 547 548 549 550 551 ··· 5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