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850 석류나무 석류나무 : 석류나무과, 갈잎작은키나무 아파트 화단에 누가 석류나무 화분을 내어 놓은 지가 오래입니다. 항상 지나면서 눈으로만 보다가 오늘은 디카에 담아 봤습니다. 붉은색은 사진으로 찍으니 번져서 제대로 나오질 않네요. 화분에서 키워서 그런 건지 아니면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서인지.. 2007. 10. 14. 진달래-겨울눈 동네 산을 오르다 보니 때 아니게 꽃을 피운 식물이 있더군요. 잎으로 봐서 진달래 아니면 산철쭉인데 가까이 다가가 꽃받침 부분을 만져 보니 끈적거리지 않습니다. 산철쭉과 철쭉은 꽃받침과 꽃자루에 점액이 있어 끈적거리거든요. 진달래가 겨울 꽃눈을 달고 있는데 기후 조건이 그랬는지 내년 봄.. 2007. 10. 14. 팥배나무-열매 팥배나무의 열매는 타원형이며 반점이 뚜럿하고 붉은색으로 익습니다. 동네 산에서 땅에 떨어져 있는 것을 나무가지에 걸쳐 놓고 찍은 겁니다. ^^ 이런 열매를 이과(梨果)라 한다네요. 이과란 씨방의 겉에 꽃턱과 꽃받침이 유합하여 생긴 다육질의 열매로 사과나 배가 여기에 속한다 합니다. 2007. 10. 14. 편두(제비콩) 편두(扁豆) : 콩과,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아파트 입구를 지나면서 자주 목격하던 것이었는데 대략 붉은강낭콩이겠거니 하고 말았는데 매달린 열매를 보니 강낭콩 종류가 아니더군요. 자료를 찾아 보니 소위 제비콩이라는 거였습니다. 정식 명칭으로는 편두라 하더군요. "扁"자가 작을 "편"이던데 콩이 .. 2007. 10. 14. 용담 용담 : 용담과, 여러해살이풀 용담을 만나니 또 골이 지끈거립니다. 명성산에서 찍은 사진 속의 식물은 덩굴성이 아니었으므로 일단 덩굴용담과 좁은잎덩굴용담은 해당사항이 없고, 진퍼리용담은 잎에 맥이 1개라는 점이, 산용담은 꽃이 연한 황백색이라는 점이, 흰그늘용담과 흰비로용담은 꽃이 흰.. 2007. 10. 12. 큰기름새 큰기름새 : 벼과, 여러해살이풀 벼과 식물은 동정도 동정이지만 설명 자체가 어려워서 가능하면 기피해 왔는데 요즘은 찍을 만한 식물도 그리 많지 않은지라 벼과 식물들도 하나씩 하나씩 알아가야 할 것 같네요. 꽃은 전체적으로 원추꽃차례에 달립니다. 꽃대 옆으로 벋은 것들이 가지인데 바로 위 .. 2007. 10. 12. 수세미오이 수세미오이 : 박과, 덩굴성 한해살이풀 우리가 보통 수세미라고 부르는 것의 정식 명칭이 수세미오이네요. 수세미외라고도 부릅니다. 암수한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는데 수꽃은 사진에서처럼 총상꽃차례에 피고 암꽃은 1개씩 달립니다. 수꽃은 5개의 수술이 있고 꽃밥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암.. 2007. 10. 12. 두충-열매 두충 : 두충과, 갈잎큰키나무 열매는 10~11월에 익으며 편평하고 긴 타원형으로 날개가 있는 시과입니다. 열매 길이는 열매자루를 제외하고도 3~3.5cm로 큰 편이며 두충 열매와 비슷한 느릅나무의 열매는 1~1.5cm이며 종자가 날개의 상부에 치우쳐 있는 점이 다릅니다. 2007. 10. 12. 맑은대쑥 맑은대쑥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맑은대쑥의 이름 유래가 궁금한데 인터넷에서 못 찾겠네요. 꽃은 총상 원추꽃차례에 달립니다. 꽃대는 가늘고 짧습니다. 꽃은 두상화이고 엷은 황색입니다. 총포조각은 3~4줄로 배열되고 가운데 조각의 뒷면은 녹색입니다. 잎은 이렇게 윗 부분에만 결각상의 톱니가 .. 2007. 10. 12. 넓은잎외잎쑥 넓은잎외잎쑥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이제 사진 찍을 꽃들이 별로 없어서 그 동안 찬밥 신세였던 쑥 종류에도 관심 좀 주었습니다. ^^ 꽃은 원줄기 끝 원추꽃차례에 달립니다. 줄기잎은 날개가 있는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로 얕게 또는 중앙까지 갈라집니다. 갈래조각은 2쌍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 2007. 10. 12. 꼭두서니-열매 꼭두서니 열매는 2개씩 달리며 둥글고 검게 익습니다. 2007. 10. 12. 개사상자 개사상자(개蛇床子) : 산형과, 두해살이풀 천궁과 사상자 사이에서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습니다. 그런데 천궁은 총포가 5~6개이고, 사상자는 4~8개인 점이 사진과 일치하지 않아 선뜻 동정을 못하고 있던 차에 개사상자의 설명을 보니 총포가 없거나 1개라고 하여 정확히 사진과 일치하더군요. 그래서 .. 2007. 10. 11. 조밥나물 조밥나물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사데풀과 혼동되어 한참을 고민했는데 결정적으로 사데풀은 잎 밑 부분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사진과 달랐습니다. 이래서 사진은 요소요소 잘 찍어와야 합니다. 꽃은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립니다. 두상화이나 통꽃은 없고 혀꽃만 있습니다. 꽃잎 끝은 5쪽으로 되.. 2007. 10. 11. 자주쓴풀 자주쓴풀 : 용담과, 두해살이풀 억새밭 사이에서 이 꽃을 발견하고 기분이 무척 좋았습니다. 야생은 물론 식물원이나 수목원에서도 못보았던 꽃이었거든요. 꽃은 원줄기 윗 부분에서 피는데 전체적으로 원추형이 되고 위에서부터 꽃이 핍니다. 두 포기가 있었는데 자세히 들여다 보니 꽃받침 길이가 .. 2007. 10. 11. 쑥방망이 쑥방망이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명성산 억새밭 길을 걷는데 억새들 사이에 핀 노란 꽃이 눈에 듭니다. 국화과 식물들 하도 비슷한 게 많아서 동정이 귀찮아 그냥 지나치려 했는데 잎 모양이 특이하더군요. 그래서 뭐 별 수 없이 또 찍었는데 찍어 오길 잘 했네요. 쑥방망이, 처음 본 식물입니다. 잎이 .. 2007. 10. 11. 이전 1 ··· 547 548 549 550 551 552 553 ··· 5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