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850

뚱딴지 뚱딴지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떵속 덩이줄기는 길쭉한 것에서부터 울퉁불퉁한 것까지 모양이 아주 다양하고 무게와 껍질의 색 또한 다양합니다. 그래서 뚱딴지라는 이름이 붙었다 하는데 이 말만 들으면 원래 "뚱딴지"라는 말이 있었고 이를 식물 이름으로 차용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그렇지만 다른.. 2007. 9. 26.
도꼬마리 도꼬마리 : 국화과, 한해살이풀 자료에 나와 있는 설명을 이해하기가 아주 힘이 드네요. 나름대로 해석은 했는데 자신이 없다는 점 미리 밝혀둡니다. 꽃은 원줄기와 가지 끝 원추꽃차례에 달립니다. 암수한그루로 수꽃은 위쪽에 달리고 암꽃은 아래쪽에 달립니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하는데.. 2007. 9. 26.
담쟁이덩굴-열매 담쟁이덩굴의 열매입니다. 열매는 하얀 분가루로 덮혀 있으며 검은색으로 익습니다. 담쟁이덩굴 일반사항은 다음을 참조하세요. ---> 여기 클릭 담쟁이덩굴 속에 은신하고 있는 이 놈을 발견하였습니다. 얘가 바로 최근 나무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는 주홍날개꽃매미입니다. 중국이 원산으로 나무의.. 2007. 9. 26.
까마귀밥나무-열매 까마귀밥나무 : 범의귀과, 갈잎떨기나무 까마귀밥여름나무라고도 하는데 정식 명칭에서 "여름"이란 말을 뺐네요.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붉게 익으며 안에 10여 개의 종자가 들어 있습니다. 장과(漿果)란 포도의 열매처럼 과육에 즙이 많은 열매를 말합니다. 꽃은 못 찍고 열매 사진만 올리네요. 2007. 9. 26.
고삼-열매 고삼의 열매는 협과(莢果)로 짧은 대가 있으며 종자 사이가 다소 잘록합니다. 협과란 꼬투리 열매를 말하는데 콩과 식물의 열매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종자는 밤갈색이고 열매마다 3~7개씩 들어 있습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열매는 8~9월에 익으며 다 익어도 갈라지지 않는다고 하는데 사진 .. 2007. 9. 26.
개나리-열매 개나리도 열매가 열리기는 열리는군요. 하지만 열매로 번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네요. 그만큼 개나리는 번식능력을 잃어가고 있답니다. 열매는 삭과로 달걀형이며 편평합니다. 겉에는 사마귀같은 돌기가 많습니다. 2007. 9. 26.
갯질경 갯질경 : 갯질경이과, 두해살이풀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보니 "갯질경"도 있고 "갯질경이"도 있네요. 재미 있는 건 "갯질경"은 갯질경이과이고 "갯질경이"는 질경이과네요. 이름과 과명이 무척 혼란스럽습니다. 꼭 이런 식으로 이름을 붙여야만 하는 건지.... "갯질경"은 원줄기가 있고 거기서 꽃대가 나와.. 2007. 9. 22.
갯사상자 갯사상자 : 산형과, 두해살이풀 바닷가에서 자라는 애라서 그런지 키가 왜소하네요. 다 자라야 10~30cm 정도에 불과합니다. 60~79cm까지 자라는 사상자나 개사상자보다 훨씬 작습니다. 물론 개사상자와 갯사상자는 서로 다른 종입니다. 갯사상자는 8월이 개화기인데 사진에 찍힌 갯사상자는 꽃은 별로 안 .. 2007. 9. 22.
털계요등 털계요등 : 꼭두선이과, 낙엽덩굴나무 계요등이 바닷가에서 자라는 나무군요. 어쩐지 산에서 한번도 못 봤다 했지요. ^^ 순천만 바닷가 야산 밑에서 만났습니다. 계요등도 풀이 아니라 덩굴성 나무이며 층꽃나무처럼 줄기 윗 부분이 겨울 동안 말라 죽습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계요등이라고는 없고.. 2007. 9. 22.
한가위 오신 분들 모두 모두 즐겁고 풍성한 한가위 되시길 바랍니다. ^^ (에표, 미리 준비를 하지 않아 올릴 마땅한 사진이 없네요. ㅠㅠ) 2007. 9. 22.
층꽃나무 층꽃나무 : 마편초과, 갈잎떨기나무 순천만 공원 옆 바닷가에 군생하고 있었습니다. 자료에 보니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를 제외한 남해안 및 남부 도서지방에서 자란다고 되어 있는데 경상도, 전라도를 제외한 남해안이라고도 우리나라에 있는 건가? 아마도 "제외한"이 아니고 "비롯한"이나 "포함한" .. 2007. 9. 22.
우산이끼 우산이끼 : 우산이끼과, 선태식물 무언지 전혀 감도 못잡고 있었는데 친구사랑님이 정보를 주셨기에 재작성합니다. 우산이끼는 선태식물입니다. 선태식물(蘚苔植物)이란 이끼식물을 말하는데 내용이 다소 복잡하여 이곳에 전재하지는 않으니 필요시 네이버에서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음습한 곳, .. 2007. 9. 19.
청가시덩굴-열매 청가시덩굴의 열매는 익으면 이렇게 검습니다. 청가시덩굴의 일반사항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세요. ---> 여기 클릭 2007. 9. 19.
둥굴레 둥굴레 열매입니다. 참 가난하게도 달렸네요. ^^ 사진만 올립니다. 2007. 9. 19.
까마중-열매 까맣게 익은 열매가 박박 깎은 스님의 머리 같다 하여 까마중이라 한다는데 사진을 보니 과연 그렇게 보이는지요. 까마중의 일반사항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세요. ---> 여기 클릭 2007.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