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850 덩굴별꽃 덩굴별꽃 : 석죽과,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하산 중 동네 도로변 철책을 지나는데 낯익은 열매가 하나 보입니다. 이름은 언뜻 생각이 나지 않았지만 분명히 도감에서 본 그 모습 그대로입니다. 도감에는 열매만 나와 있었기에 꽃은 생소했습니다만 평소 도감을 자주 들여다 본 효과가 이렇게 나타나더군.. 2007. 8. 12. 나도개피 나도개피 : 벼과, 여러해살이풀 벼과 식물은 설명이 너무 어려워서 대체로 보면 그대로 지나치곤 하는데 나도개피는 생김새가 다소 특이해서 디카에 담아 왔습니다. 이렇게라도 하나씩 하나씩 알아가는 것이 나중에 크게 도움이 되리란 생각에서입니다. 내 눈에 외양이 다소 특이했다는 건 줄기에 4~7.. 2007. 8. 12. 코레옵시스 코레옵시스 : 국화과, 여려해살이풀 코레옵시스(Coreopsis)는 속명이네요. 잘 몰라서 이름과 사진만 올립니다. ㅠㅠㅠ 2007. 8. 10. 가우라 가우라 (Gaura) : 바늘꽃과, 여러해살이풀 북미 원산으로 화단에 관상초로 심습니다. 우리나라에 야생하는 바늘꽃과 비슷하며 꽃 모양이 나비 같다 하여 나비 "접(蝶)"자를 써서, 꽃색이 흰 것은 백접초, 분홍색인 것은 홍접초라 부릅니다. 사진에서는 이 두 가지가 섞여서 피어 있군요. 꽃 뒤에 있는 작은.. 2007. 8. 10. 리아트리스 리아트리스 (Liatris) : 국화과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30~40종이 있는데 리아트리스는 종명이 아니고 속명입니다. 그러니 플록스의 경우처럼 사진 속 식물과 유사하게 생긴 것은 그냥 다 리아트리스로 부르면 됩니다. 솔잎 같이 가는 선형의 잎이 줄기에 돌려나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분홍빛이 도는.. 2007. 8. 10. 꼬리풀-원예종 꼬리풀(원예종) : 현삼과 올해 7월초에 포천 모 식물원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꼬리풀, 긴산꼬리풀, 넓은산꼬리풀, 넓은잎꼬리풀은 모두 꽃색이 하늘색이거나 보라색입니다. 상기 사진 속 꼬리풀은 짙은 청색인데다가 식물원에 식재되어 있는 것으로 봐서 원예종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꼬리풀은 잎 윗.. 2007. 8. 9. 비 오는 날의 두서 없는 상념들 밤새 하늘과 대지의 경계를 지우던 빗줄기가 아침이 되니 잠시 소강상태에 들었습니다. 베란다에 나서 담배 한 가치를 꺼내 불을 붙입니다. 하늘은 흐리지만 공기는 맑은지 뿜어낸 담배연기가 흩어지는 궤적이 선명합니다. 또 다시 비가 흩뿌리면 바람을 타고 창틈을 비집고 들어오려는 비로 인해 담.. 2007. 8. 9. 병조희풀 병조희풀 : 미나리아재비과, 갈잎떨기나무 병조희풀도 자주조희풀처럼 "풀"자가 들어 있지만 엄연히 나무입니다. 자주조희풀과 여러모로 유사하여 구분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자료의 설명에서는 구분포인트로 자주조희풀의 꽃의 4갈래로 갈라진 갈래조각은 주름이 지고 옆으로 퍼지며 병조희풀의 경.. 2007. 8. 9. 외대으아리-열매 무슨 식물의 열매인지 찾지 못하였다가 나중에 보니 외대으아리네요. 외대으아리의 열매는 참으아리의 열매와 다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참으아리의 열매는 길쭉하고 날개가 없으며 암술대가 길게 남아 있고 암술대에 깃꼴로 털이 붙어 있습니다. 반면 외대으아리의 열매는 날개가 있고 암술대에 .. 2007. 8. 9. 닭의장풀 닭의장풀 : 닭의장풀과, 한해살이풀 닭장 주변에서 흔히 자라기 때문에 "닭의장풀"이라고 한다는데 그 유래가 다소 이채롭습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닭장풀"이라고 하면 됐을 텐데, 굳이 "닭의장풀"이라고 하니 언뜻 보기에는 닭의 내장이 저 꽃처럼 생겼나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듭니다. 꽃의 모양이 닭.. 2007. 8. 9. 산초나무 예전에 산초나무 사진을 올렸었는데 꽃봉오리만 보여줘서 이번에 꽃 사진 다시 한 번 올립니다. 그때 이후 벌써 2달이 다 되어 가는데 우리 동네 산에는 아직까지 꽃이 만개하질 않았네요. 그렇지만 성질 급한 놈은 벌써 꽃이 지고 열매를 맺어가고 있습니다. 일반사항에 대해서는 다음의 산초나무 편.. 2007. 8. 8. 갈퀴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 꼭두선이과, 여러해살이풀 전에도 한 번 언급한 기억이 나는데 과명이 "꼭두서니과"가 아니고 "꼭두선이과"입니다. 예전에는 꼭두서니과라고 했던 것 같은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이번에 꼭두선이과로 바꾼 모양입니다. 네이버국어사전에 검색해 보면 "꼭두선이"란 말은 나오지 않습.. 2007. 8. 8. 두릅나무 두릅나무 : 두릅나무과, 갈잎떨기나무 식물체 자체에 가시가 많아 줄기와 가지에는 물론이고 잎자루에도 가시가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2~3회깃꼴겹잎이고 작은잎 가장자리에는 큰 톱니가 있습니다. 가지 끝에서 나오는 꽃자루는 밑에서 우산형태로 벌어지고 그 끝에서 겹총상꽃차례에 자잘한 흰색.. 2007. 8. 7. 개구리밥 개구리밥 : 개구리밥과, 여러해살이풀 개구리가 많이 사는 곳에 많다고 하여 "개구리밥"이라 부릅니다. 잎이 둥그스름하고 광택이 나며 물이 잘 묻지 않습니다. 잎맥은 5~11개이고 잎의 밑 부분에서 5~11개의 가느다란 뿌리를 물 속으로 내립니다. 반면에 좀개구리밥은 개구리밥에 비해 잎의 크기가 작고.. 2007. 8. 7. 코스모스 코스모스 : 국화과, 한해살이풀 동네 천변을 걷다가 무리 지어 피어 있길래 성급하게도 디카에 담아봤습니다. 가을 분위기 미리 느끼기에는 지금의 여름 날씨가 너무 덥네요. 잎은 2회깃꼴겹잎이고 작은잎은 선형입니다. 꽃은 국화과 식물의 특징대로 두상화인데 혀꽃은 6~8장이고 끝 부분이 톱니처럼 .. 2007. 8. 7. 이전 1 ··· 569 570 571 572 573 574 575 ··· 590 다음